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민간임대주택 보증보험 문의
비공개 조회수 1,307 작성일2023.07.06
안녕하세요 민감임대주택 보증보험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아이엠삼송이라는 삼송에있는 아파트에 갈 예정입니다.

매매가와 전세가를 비율을 보던중 ( 보증보험 가입 여부), 매매 시세가 안나와있어 부동산에 문의하니 

민간 임대 주택으로 되어있어서 그런거고 보증보험이 필수 가입이라 임차인 25% 임대인 75%해서 가입을

의무로 해야한다 더라구요 여기까지는 저도 조금 알고있어서 이해가 가는데 

이집이 전세가격이 5년안 기준으로 1억가량 떨어진 시점이고 (현재 2억 3500만원) 계약시 중개수수료가 

무료라고 하던데.... 보증보험 가입필수+저렴한 시세+중개수수료 무료 라면 정말 좋은 조건인것 같으나 

요즘 하도 전세사기가 많고 중개수수료 무료 또는 보증보험 가입비 지원 이런걸로 현혹하는 곳들이 

많다해서 거래를 해도 괜찮은가 해서 문의드립니다. 

추가적으로, 민간임대주택이라고한들 임차인으로써 꼭 봐야할게 무엇일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mide****
달신

많이 있습니다. 민간 임대 주택에 대한 보증보험은 일반적으로 임차인과 임대인이 각각 보험료의 일부를 부담하며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차인은 25%를, 임대인은 75%를 부담하게 됩니다.

전세가격이 현재 시세보다 많이 떨어진 경우에는 매우 유리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개수수료가 무료로 제공된다는 것도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전세 사기 사례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보증보험 가입이 필수적인 경우에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중개수수료 무료나 보증보험 가입비 지원 등의 혜택을 통해 소비자를 유인하는 부동산 중개업체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중개업체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보증보험 가입 시 보험사의 신용도와 보험 조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보험사의 신용도가 높고, 보험 조건이 충분히 보호적인 경우에 가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민간 임대 주택에 대한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전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3.07.0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사용자 신고를 받고, 운영원칙에 따라 삭제된 답변입니다.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