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큰아빠 : 양 승 만
아빠 : 양 승 창
저 : 양 한 별(여자)
입니다. 이걸로 뿌리를 알 수 있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대동족보를 봐야 알수 있읍니다
)관련항목 보기는 탐라 개국 설화에 나오는 삼신인(三神人) 가운데 한사람인 양을라(梁乙那)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중시조(中始祖) 양탕(梁宕)은 시조 탁라왕 양을라(良乙那)의 세손이다. 탐라국광순사(耽羅國廣巡使)로서 신라에 입조하여 광순사를 지냈으며, 383년(신라 내물왕 28)에 탐라 광순사로 안무사인 부계량(夫繼良)과 더불어 신라에 입조하니 신라 왕이 크게 환영하여 작록(爵祿)과 의관을 하사하고 아울러 양성(梁姓)을 사성하였다. 이로써 양을라 시조 이래로 써내려온 양성(良姓)을 바꾸어 양성(梁姓)으로 쓰기 시작하였다. 양씨는 제주양씨 외 남원·충주·양주·임천·나주 등에 있으나 모두가 제주양씨에서 분적되었기 때문에 대종은 역시 제주양씨이며 수효로는 남원양씨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양씨의 종파로는 성주공파(星主公派)·유격공파(遊擊公派)·대방군파(帶方君派)·용성군파(龍城君派)·병부공파(兵部公派) 등이 있다. 양씨는 제주의 양씨(濟梁)와 육지의 양씨(陸梁)로 대별되는데, 남원양씨를 중심으로 한 육양계가 전체의 70%를 차지한다. 또, 양씨는 모두가 탐라 삼성혈(三姓穴) 설화의 양을라(良乙那)를 단일 시조로 하는 동계 혈족이다. 제주양씨의 대표적 인물로는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과 양팽손의 아들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이 있다. 양팽손은 중종 때 교리로 재직하던 중 기묘사화로 삭직당하였다가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후 복관되어 용담현령을 지냈다. 또 양팽손에게는 아들 5형제가 있었는데 특히 동래부사를 지낸 양응태(梁應台)와 호당(湖堂)에 뽑히고 대사성을 지낸 양응정(梁應鼎)이 뛰어났다. 양응정의 아들 양산숙(梁山璹)은 임진왜란 때 진주(晉州)싸움에서 용전 끝에 순사하였다. 그 외 독립운동가로 33인중의 한 사람인 지강(芝江) 양한묵(梁漢黙) 등이 있다
2024.08.0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