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안녕하세요 저는 예비 고2 학생입니다.
전 문과를 가기로했는데.. 이제 슬슬 사탐 선택을 해야해서요 ㅠㅜ
근현대사 정치 사회문화 윤리와사상 한국지리 중 택 4를 하려 합니다.
근현대사는 꼭 할 거고..나머진 읔 나머지도 다 하고 싶은데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요;ㅁ;
만약 근현대사를 제외한 한 과목을 뺀 다면 무엇을 빼는게 가장 좋을까요?
(참고로 저는 지리를 무지 좋아하는데 인문지리는 정말 최악으로 못합니다.
그리고 윤리는 도덕에서 심화된거죠? 음 그럼 윤리는 잘해요 잘 할 수 있을 것 같구
정치는...싫은데 지리보단 잘해요 사회문환 안 하려고 했는데 선생님이 엄청 잘 가르치신
데요..이러니 고민을 안 할 수가 없네요 ;ㅁ; )
또 각 과목 중 뭐엇이 제일 어렵고 어떤 걸 가장 많이 선택하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고등학교 사회 과목 선택하기 어렵죠. 저도 고등학교를 졸업한 시점에서 1학년 때에 선택 과목을 뭘 할까하고 고민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일단은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리를 좋아하신다고 하셨는데요, 인문 지리를 못하신다면 좀 문제가 있을 듯 싶습니다. 흔히들 지리는 외우면 된다, 제일 쉬운 과목이라고들 하시는데 인문 지리 쪽에서 논리를 묻는 문제가 나오면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특히 공업 발전과 지리의 관계나 도시 발전과 인구 이동, 상업 발전 등과 연관을 지어서 출제하면 풀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이런 부분들이 인문 지리 쪽인데 지리 문제를 어렵게 내는 부분들이 이런 부분들입니다. 자연, 일반 지리는 문제 출제 부분에서 앞쪽에 출제가 되는 만큼 어려운 부분들은 전부 인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부분을 시험이 어려워 졌을 때 무너질 수 있다는 점 유의하세요.
정치, 윤리와 사상, 사회문화는 제가 선택을 하지 않았었던 부분이라 조언을 드리기 어렵네요.
제 경험상 사회 과목을 선택하는 것은 선생님들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자신이 관심이 있는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저는 선생님들이 어렵다고 선택하지 말라고 하셨던 '법과 사회'를 제가 하고 싶어서 선택 했었고, 쉽다고 해서 보험처럼 '한국 지리'를 했었습니다.
실제로 공부할 때 어렵기는 했지만 법과 사회는 너무 재미 있어서 한국 헌법을 따로 읽을 정도였고, 한국 지리는 정말 대강대강 했습니다. 의외로 대강한 한국지리는 항상 모의고사에서 1등급을 받았었고 법과 사회는 3등급까지 밖에 받지 못했었습니다.하지만 수능에서 결과가 뒤집어지더군요. 법과 사회 1등급, 유난히 어려웠던 한국 지리는 3등급을 받아서 제가 본 4개 중에서 제일 못 본 시험으로 전락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대학교 지원할 때에 법사, 국사, 경제 만 사용했죠. 제가 유난히 좋아했던 법사는 심도있게 공부를 해서 수능 문제를 잘 풀 수 있었고, 대강 수박 겉 핥기 식으로 한 지리는 인문 지리쪽에서 무너졌었던 것이죠. 그리고 실제 수능 문제가 모의고사 문제와 형식이 약간 다른 면이 성적을 좌우한 것 같습니다. (모의고사를 많이 풀어 보시면 실제로 사설 모의고사(대성, 종로, 고려), 평가원 시험, 수능 시험이 모두 시험하는 게 다르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시험이 어렵고 쉽고는 자신의 관심입니다. 난이도는 대체로 어려워지면 다 어렵고 쉬우면 다 쉬운 만큼 과목 간의 어렵고 쉬움을 가늠하는 것이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어렵더라도 '내가 하고 싶다!' 하면 하세요. 쉽다고 좋은 게 아니라는 것은 설명하지 않아도 아실겁니다. 표준점수 체제에서 제일 좋은 건 어려운 과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이죠. 설사 다른 쉬운 과목보다 어려운 과목을 못봤더라도 표준점수에서는 비슷하다는거 아시죠? ^^
남이 선택해 줄 문제가 아닙니다. 조언도 받으시되, 절대로 판단의 결정적인 근거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쉽고 어려움은 매우 주관적이라는 것을 명심하세요. 남한테 어려운 게 나한테는 쉬울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p.s: 전 고3 말에 어떤 참고서 보다도 사탐 교과서가 최고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겨울 방학 때에 사탐 완전 정리 반이 있습니다. 그런 학원들 수강하세요. 처음에 개념 잡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그리고 틈나는데로 정리를 하세요. 그리고는 교과서로 천천히 읽어 나가면서 교과서에 없는데 내가 아는 걸 교과서에 적고, 내가 모르는게 교과서에 나오면 외우세요. 본문 내용 뿐만 아니라 아래 박스로 나와있는 '학습활동"과 같은데에 나와있는 예제들은 꼭 보세요. 모의고사나 실제 수능에서 많이 응용되는 부분들입니다. 그리고 예비 2학년이라고 하셨는데 '언어' 준비 꼭 하세요. 그 어던 과목보다 오래 걸리고 힘든 과목입니다. 경험자의 조언입니다.
2006.11.1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