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자신의견해점..;;
oys0**** 조회수 63,405 작성일2005.06.09
고등학교 수행평가인데용..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 (원인과 해결방안을 각각 명기하고 자신의 견해를 밝혀 A4 3쪽 정도로 제출)

청소년 문제의예두 들어주시면 더 조켓구영 ^^

잘 써주세용~☆

글이궁..

ohyun0317@hanmail.net <<일로 따로 메일 보내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당 ^ㅡ^*

귀차느시면 아래다 근향 달아주세용~☆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탈퇴한 사용자 답변
1. 연구의 목적과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청소년 보호 활동을 위한 지역사회 조직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도있는 이론적 접근이라기 보다는 실제적인 조직화 전략을 제시하여 직접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청소년 보호를 위한 사회복지학적 지역사회조직 전략에 관한 이론 검토

청소년 보호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지역사회 단위에서 다차원적인 청소년 보호 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수적인 요건이 되므로 이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사회복지학적 지역사회 네트워킹 관련 이론을 살펴본다.


2) 우리나라의 청소년 보호체계와 활동을 지역사회조직적 측면에서 실태를 분석하고 평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부와 검찰, 경찰, 그리고 민간단체의 청소년 보호활동의 실태를 확인하고 이것이 지역사회조직적 측면에서 가지고 있는 특성과 한계점들을 살펴본다.


3) 외국의 청소년 보호 지역사회 조직활동의 사례 검토

청소년 보호를 위한 지역사회단위의 조직화 활동 경험이 우리사회보다 앞선 외국의 사례들이 실제적 함의를 줄 수 있으므로 일본, 미국, 독일 등 외국의 사례를 검토한다.


4) 우리나라의 각 지역단위의 청소년 보호조직활동의 실제 분석

청소년 보호활동은 중앙정부 수준에서의 정책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각 지역사회에서 집행되어 구체적인 모습을 가지게 되므로 몇 개의 실제 지역사회 단위에서 청소년 보호활동의 조직화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양상을 분석한다.


5) 청소년 보호를 위한 한국적 지역사회조직전략의 제시

본 연구의 궁극적 초점은 청소년 보호를 위한 실제 조직화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현 수준에서 청소년 보호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사회 수준에서 조직화할 수 있는 지침과 전략을 제시한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문헌을 통해서는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각 지역사회단위에서의 청소년 보호활동의 조직 네트워킹의 실제 모습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몇 개 지역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토론회를 개최하여 그 결과를 활용한다.

먼저 2장에서는 청소년 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조직의 통합과 네트워킹에 관련된 사회복지학적 이론을 검토하여 분석과 대안제시를 위한 기초적 토대로 삼는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소년 보호활동 조직과 그 실태를 살펴본다. 4장에서는 일본, 미국, 독일 등 외국의 청소년 보호 지역사회조직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사회에 주는 함의를 찾는다. 5장에서는 강원, 광주,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보호 지역사회 조직화의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한국적 청소년 보호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의 모형을 제시한다.


제 2 장 청소년 복지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Networking 및 Integration에 대한 개념적 논의


본 장에서는 먼저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및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에 대한 고찰을 하고 아울러서 지역사회복지 실천 방법의 하나로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networking 및 integration 개념에 대해서 고찰하면서 그 내용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적 논의에 기초하여 지역사회 수준에서 청소년 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networking의 필요성 및 보다 통합적인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제 1 절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 개념에 대한 논의


지역사회라는 용어처럼 다양한 상황에 응용되어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어가 많지 않다. 1955년 Geroge Hillery, Jr.라는 사회학자는 지역사회에 대한 개념이 사회학 문헌들을 참고로 했을 때 94개정도 사용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지역사회라는 용어가 현대사회에서 참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사회의 개념이 이렇게 다양한 것은 지역사회복지를 논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지역사회의 의미와 지역사회복지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해 볼 수 있겠는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미는 무엇이겠는가에 정리해 보면서 다음 장의 지역사회 네트워킹 개념 논의의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1. 지역사회에 대한 정의


지역사회라는 개념에 대한 정의는 미국의 사회학자 Robert Park의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발전되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Park은 지역사회의 주요 특징을 영토를 기초로 구분되어지는 인구 집단과 그 구성원들의 상호의존적 관계로 보았다. Park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념 정의 이후에, 사회학자 George Hillery, Jr. (1955)는 지역사회라는 개념에는 상당히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는 영토성 (territorial area), 사회적 상호작용 (social interaction), 서로 공유하는 끈 혹은 연 (common ties) 등의 3가지라고 정리하고 있다. 즉 사람들은 영토를 기준으로 지역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상호작용을 하는 사회 구성원들에 대해서도 지역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공통된 특징에 기초하여 서로 연결되어지는 끈을 갖는 사회 구성원들에 대해서도 지역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3가지 지역사회 의미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임을 강조한다.

지역사회에 대해 다양한 정의가 사용되고 있지만, 사회복지 실천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지역사회의 의미가 영토, 지리적인 것에 기초한 의미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rthur Dunham은 지역사회는 관습, 전통, 언어 등과 같이 일상적인 삶에서 공유되는 것들을 지니는 일정 영토에 거주하는 인구 집단을 의미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전통적으로 지역사회의 의미가 지리적 공간을 기초로 문화적인 요소들을 공유하는 인구집단으로 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Warren(1963)도 지역사회를 지리적인 관련성을 기반으로 주요 사회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 구성 단위들 및 사회 시스템들의 결합체라고 정의하는데, 그의 지역사회 정의 역시 지리적 공간이 지역사회를 구성하는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구성요소임을 상당히 강조하고 있다.

Mattessich와 Monsey(1997)도 지역사회의 의미를 기본적으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선택의 문제로 인식한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입활동의 측면에서 지역사회의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 이들은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리적 공간, 그리고 그 공간에 거주하는 구성원들 및 그 공간과 사회심리적 연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져 있다고 본다. Mattessich와 Monsey는 지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이곳에 거주하는 자들로 지역사회의 의미를 파악할 때 이웃, 동네, 마을, 도시 등의 더 큰 지리적 공간 등을 포괄할 수 있고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한 개입 대상으로서의 지역사회에 대한 초점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앞에서 소개한 정의들은 지역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 지리적인 공간성을 상당히 강조하고 있는데 전통적으로 이러한 이해가 보다 보편적일 수 있으나 지역사회를 이러한 측면에서만 이해한다면 그것은 변화하는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적인 이해가 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지리적인 공간성을 기초로 하여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이러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활동이 전개되어져 왔으나, 현대 사회에서 개입의 대상으로서 지역사회는 지리적인 공간성에 기초한 지역사회와는 다른 의미를 갖는 지역사회를 포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가 갖는 또 다른 측면에서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많은 학자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지역사회는 영토적 구성, 지리적 구성과 다른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도 이해될 수 있고 실제로 사회에서는 영토적 구성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 지역사회 개념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Anderson과 Carter(1990)는 이렇게 또 다른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는 지역사회를 포괄적으로 보아 비영토적 지역사회(non-place community)라고 정리한다. 많은 학자들은 참으로 많은 종류의 비영토적 지역사회를 언급하는데 이 비영토적 지역사회 중에서 인종적 배경, 성에 대한 지향, 직업, 장애, 질병, 종교, 사회 계층 등과 같이 어떤 특징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지역사회(identificational and interest community) 역시 전문적 개입 활동과 관련해서 볼 때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영토적인 의미의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지역사회 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사소통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비영토적 지역사회는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비영토적 지역사회에 대한 정의로 McMillan과 Chavis(1986)의 정의를 먼저 소개하면, 이들은 지역사회는 어떤 그룹에 대해 그리고 그룹의 구성원들에 대해 각각의 구성원들이 갖는 소속감, 공유 신념 및 헌신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다. 즉 이들은 소속감, 공유 의식 및 헌신으로 구성된 일단의 인구집단을 지역사회로 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지역사회에서는 동성 연애라는 특징을 중심으로 공통의 신념과 소속감 및 그 그룹에 대한 헌신감 등을 지니고 있는 일단의 인구집단을 지역사회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영토적 지역사회에 대해 기능적 지역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논하기도 한다. Weil과 Gamble(1995)은 기능적 지역사회는 어떤 신분적 특징 및 이해관계를 기초로 해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린이들의 문제, 장애의 문제, 일정한 특징을 갖는 인구 집단에 대한 차별의 문제 등과 같이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즉 이러한 기능적 지역사회는 영토적 지역사회 내에서도 형성되어질 수 있고, 동시에 영토적 지역사회를 초월하여서도 형성되어질 수 있다.

지역사회라는 개념은 사회의 변화와 함께 과거에 비해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져 오고 있어 어느 하나의 의미로서 개념 정의를 내리는 것이 쉽지 않으나, 실천적 측면에서 그 개념을 보다 단순화해서 이해하고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지역사회의 개념을 간단히 정리한다면 지역사회는 영토성, 지리성의 의미와 더불어 비영토적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이러한 의미를 적용할 때 청소년의 복지는 영토성의 개념에 기초해서도 접근할 수 있는 것이고, 비영토성의 개념에 기초해서도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2. 지역사회의 중요성


청소년을 포함하는 우리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은 각각 다양한 지역사회와의 연관관계 속에서 살아나가고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는 우리들에게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을 제공한다. 지역사회는 우리의 생각하는 방식과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내재화하게 하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가 살아나가는데 있어 필요한 기회와 자원을 제공해 주기도 한다. 즉 지역사회는 삶의 장으로서 그리고 동시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지역사회는 동시에 사람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의 장으로서 기능을 하기도 하다. 즉 전통적으로 지역사회는 생산, 분배, 소비의 기능, 사회화의 기능, 사회통제의 기능, 사회참여의 기능, 상호부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사회시스템으로서 지역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강화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지역사회 환경과의 연계망을 통해 지역사회의 통합된 기능을 유지하면서 환경적 변화에 적응해 나가는 하나의 사회시스템으로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되어지는 내용은 이상적으로 전통적 의미의 지역사회를 상정해 보았을 때 생각할 수 있는 기능이지 실제로 현대사회의 모든 지역사회에서 발생되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실제에 있어 현대사회의 많은 지역사회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고, 과거에 가졌던 기능의 약화 문제를 갖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또한 지역사회내의 갈등의 문제로 지역사회에 요구되어지는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이러한 문제들과 함께 많은 지역사회는 역할의 상실, 자율성의 상실, 지역 구성원의 지역사회에 대한 무관심 등의 문제를 갖게 되고, 이러한 결과 지역사회는 빈곤의 문제를 야기하고, 청소년 비행을 창출하고, 실직의 문제를 악화시키고, 가정 붕괴의 문제를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여전히 청소년을 포함하는 현대인 모두에 있어 지역사회는 자원과 기회 및 학습으로서의 순기능적인 측면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많은 경우에 있어 기회와 자원의 분배를 제한하고, 구성원들 문제의 악화를 촉진하는 부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측면에서 우리가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바로 지역사회의 이러한 순기능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기능을 순기능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미


지역사회복지의 의미는 광의의 관점에서 보면 지역사회의 수준에서 지역사회가 갖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 구성원들의 복지와 안녕을 위해 전개되는 일체의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상당히 포괄적인 것이고, 사회복지 영역에서 지역사회복지라는 용어가 사용되어질 때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수준에서 지역사회가 갖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 구성원들의 복지와 안녕을 위해 전개되는 사회복지 서비스 활동 등을 포괄하는 일련의 개입 활동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사회복지 영역에서 지역사회복지의 용어는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활동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개입활동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보다 협의의 시각에서 보면,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수행되어지는 일련의 대인사회서비스 활동을 의미한다. 지역사회복지의 의미를 이렇게 협의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경향은 사회복지제도가 잘 구성되어져 있고, 국가가 사회복지서비스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영국과 같은 나라에서 보다 보편적인 것 같다. 즉 사회복지제도가 잘 구축되어져 있고, 사회적 불평등 등의 문제가 적은 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는 단지 문제와 욕구에 대응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고 본다.

한편 일본의 오하시 교수는 지역사회복지는 구성원들의 문제 특히 자립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이 가능하도록 관계망을 만들고 자립에 필요한 물리적, 정신적 환경 등의 필요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회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고, 제도를 확충하고 확립하는 것, 복지 교육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에서는 지역사회복지에 대해 영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가 갖는 의미보다 더 포괄적인 일련의 활동을 지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일본에서 사용되어지는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다음의 개념 정의도 그러한 경향성을 나타낸다. 이 정의에 의하면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구성원의 복지권 보장 및 확대를 위해 구성원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사회적 노력과 수단의 총체를 의미한다고 보는데, 이러한 정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를 이해하는 것보다는 보다 포괄적으로 지역사회복지를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사회복지의 의미와 관련하여 위에서 제시된 협의적 사회서비스 제공의 개념과 광의적 개입의 개념 모두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즉 일부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를 지역차원에서의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해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고, 또 다른 일부에서는 광의적 개입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수준의 문제 및 구성원들의 욕구와 관련하여 지역사회 내외에 존재하는 각종 제도에 영향을 주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일체의 사회적 노력으로 이해하는 경향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복지가 갖는 의미에 대한 이해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상황 및 복지 현황 등과 관련되어서 이해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는데, 앞으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발전 현황의 차원에서 지역사회복지는 보다 협의적인 사회서비스 제공의 의미를 넘어 광의적 개입의 의미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청소년의 문제, 청소년 복지의 증진의 문제도 바로 이러한 광의적 개입의 시각에서 전개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더불어서 우리가 새롭게 정리를 해야하는 개념이 바로 지역사회복지 실천이라는 개념이다. 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welfare practice)은 지역사회복지 증진 및 제고라는 목적을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제와 관련된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사회복지 개입 기술을 응용하고 사용하는 것이라고 단순화해서 이해해 볼 수 있다(Wenocur, 1997; Netting, 1998).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거론되어졌던 조직화, 계획, 개발, 변화의 과정들 및 각 과정에서의 실천 기술 등을 포함한다. 즉 지역사회복지실천은 과거에 지역사회복지 증진 활동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어졌던 용어인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계획 및 서비스 통합, 지역사회 주민의 조직화와 사회 행동 등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앞으로 보다 개발되어지고 구체화되어질 필요성이 있긴 하나 전문 활동적 측면에서 매우 유용성이 많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Weil, 1996). 즉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회복지 증진 및 제고라는 목적을 위해 전문적으로 개입하는 활동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해 내기 위한 활동들을 구체화하는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개념이 갖는 의미가 크다고 본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 복지를 증진시키는 목적과 관련해서도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전문 활동적 측면에서 즉 복지 전문 인력이 청소년 복지 증진 및 제고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가를 실질적으로 구체화하는 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4.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방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일반적 활동 방향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갖는 기본적 욕구들의 충족을 위해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Homan(1994)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방향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식, 즉 지역복지 정책, 서비스, 사람들의 행동과 태도, 실천 활동 등에 있어 지역사회가 지니는 문제를 제거하거나 개선시킴에 의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 활동의 방향은 지역사회의 문제 상황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음을 강조한다.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Fellin(1995)은 다양한 욕구에 대응할 수 있고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을 활용하고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지역사회의 역량(community competencies), 이것을 변화시키는 것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 활동 방향이라고 본다. Fellin(1995)은 지역사회가 역량 있는 지역사회로 변화하는데 있어 실제로 많은 어려움과 장벽들을 가질 수 있는데, 특히 빈곤한 사람들, 장애인들, 여성, 청소년 등과 같은 일부 구성원들에 대한 차별, 편견, 압제, 몰이해 등이 그 구성원들이 지역사회에서 바람직한 방식에서 생활해 나가는데 큰 장벽들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방향은 바로 이러한 장벽들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킴으로서 보다 역량 있는 지역사회로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과 함께 그는 사회 구성원 문제 해결은 지역사회 중심이어야 한다는 Specht(1989)의 논의에 기초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방향은 지역사회 구성원 각각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지역사회의 역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Martin과 O'Connor(1989)는 지역사회 변화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방향으로 많은 결함을 갖고 있는 지역사회 내외의 주요 연결망 개발을 언급한다. 즉 역량 있는 지역사회에서는 지역사회의 기능이 순조롭게 돌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결망들이 제대로 균형 있게 형성되어져 있는데, 현대사회의 많은 지역사회 문제는 바로 이러한 연결망의 약화와 절단에 의해서 발생되고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방향은 바로 있어야 할 연결망을 형성하고 개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지역사회의 문제는 지역사회의 3가지 연결망의 부재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첫 번째는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연결 부재로 인해 구성원 서로의 존재 및 생각과 가치와 행동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결핍되어지게 되고 관계가 단절되어지는 문제, 두 번째는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지역사회 의사결정 기구 및 정책들과의 연결 부재로 인해 일부의 구성원들이 소외되고 배제되어지는 문제, 세 번째는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환경과의 연결 약화 및 부재로 인해 지역사회가 적절히 기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로서 이들 문제와 관련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은 특히 지역사회에서 소외되는 구성원들을 위해 필요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개발하는 것을 기본적인 활동 방향으로 삼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인 활동 방향에 대해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라는 시각에서 설명하기도 하고 연결망 형성과 개발이라는 시각에서 설명하기도 하는데, 기본적으로 거시적인 차원에서 볼 때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방향은 문제 현상과 관련하여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청소년의 문제와 관련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본 방향도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전개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범주


지역사회의 변화를 지향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본 방향 내에서 수행되어질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구체적인 활동들에는 무엇이 있을 수 있는가? 참으로 많은 활동들이 나열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다음에서 몇 가지 기본적 범주로 나누어 정리를 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변화시키는 활동의 범주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주의 활동에는 서비스 프로그램 전달의 방식을 개선하는 활동, 기관들 사이의 협력 관계를 만들어 내는 활동, 새로운 서비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활동, 일부 구성원들의 배제를 가져오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규정을 변화시키는 활동, 문제를 갖는 구성원의 역량을 보다 강화시키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Homan, 1994).

둘째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구성원들의 지지와 지원을 이끌어내고 지역사회 내외로부터 자원을 동원해 내는 활동의 범주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주의 활동에는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해 지역사회가 주목하게 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 활동, 지역사회 문제 해결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자들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활동,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사회 내외로부터 물적 자원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

셋째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구성원들을 조직화하고, 이들이 처한 상황의 변화의 절실함과 그 필요성에 대해 대변하고, 이들이 다양한 사회 행동을 취하게 지원하고 이끄는 활동의 범주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주의 활동에는 문제 해결의 욕구를 갖는 구성원들 스스로 자조집단을 형성하게 지원하고 활동, 문제 해결의 욕구를 갖는 구성원들과 문제 해결에 관심 있는 구성원들이 함께 문제 해결을 조직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게 조직화하고 이를 지원하고 지도하는 활동, 문제 해결에 영향력이나 권한을 갖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서 문제를 갖는 구성원들의 상황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대변하는 활동,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법에 기초하여 대변을 하는 활동, 문제 해결을 위해 정말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관련 기관이나 부처를 대상으로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회적 시위를 기획하고 지도하는 활동 등을 포함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인 활동 내용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다양한 활동이 기술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큰 틀에서 정리해 보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활동 내용은 사회복지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활동과 관련된 것,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원을 동원해내는 활동과 관련된 것, 지역사회 구성원을 조직화하고, 대변하고, 사회행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활동과 관련된 것 등으로 범주화해 볼 수 있다. 청소년 문제와 관련한 지역사회복지실천 활동의 범주도 역시 이러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 내용이 구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 본다.



6.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선행조건: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의 하나는 바로 지역사회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역사회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이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이 효과성을 갖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보다 정확하게 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으로 Homan(1994)은 영토, 지리적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첫째로 지역사회의 역사, 인구 집단의 특성과 크기, 인구 밀도,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가족들의 구조적 특성 등과 같은 지역사회의 기본적 특징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육체적, 사회경제적, 정서적, 교육 욕구 등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지역사회의 기능이 어떠한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지역사회에서 충족되어지지 못하고 있는 욕구가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떠한 구성원들의 욕구가 문제가 될 만한 수준에서 충족되어지지 못하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네 번째로는 지역사회의 욕구와 관련하여 지역사회가 갖는 다양한 자원 체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원은 인적 자원, 물적 자원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지역사회의 기본적 가치 체계, 구성원들간의 관계, 사회 제도, 기술과 지식 및 정보 축적 등도 포함된다. 네 번째로는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지역사회가 갖는 강점과 제한점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지역사회의 역량, 지역사회의 변화에 대한 수용 정도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Homan(1994)이 제시하는 것과 비슷한 내용을 사회시스템 시각과 생태학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Fellin(1995)은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해 이러한 이론적 틀을 갖고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즉, Fellin(1995)은 사회시스템 시각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하면서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하부 시스템들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임을 강조한다. 그가 제시하는 하부 시스템으로는 자원활동 시스템과 구성 단체들, 지역사회복지 및 의료 보호 시스템과 구성 기관들, 지역사회 교육 시스템과 관련 조직들, 지역사회 경제 시스템과 관련 조직들, 지역사회 정치 시스템과 관련 조직들 등이다. Homan(1994)처럼 영토, 지리적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는 Fellin(1995)은 지역사회에서 이러한 시스템들 각각이 어떻게 구성되어져 있고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져 있으며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매우 필요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는 생태학적 시각에 기초하여 지역사회가 어떻게 과거의 구성과 모습에서 현재의 구성과 모습으로 변화되어지고 분화되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구집단의 구성, 이웃이라는 집단, 지역사회 내 다양한 사회 층화, 그리고 경제적 사회계층 등에 있어 지역사회가 환경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적응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가져오게 하였는가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즉 이러한 변화의 역동적인 과정과 변화를 주도하는 구성 요인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들을 보다 명확하게 구별해 내는 것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지역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효과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면서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개입 여부, 개입 방향과 수준 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지역사회 문제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초점을 두는 것은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고, 얼마나 오래된 것이고, 광범위한 것인지 등의 내용이다. 청소년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도 역시 기준에서 요구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한편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우리에게 요구되어지는 것은 문제의 해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사회의 권력 구조가 어떻게 분포되어져 있고 문제에 대한 각각의 이해 관계와 입장들은 어떠한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최근의 문헌들은 지금까지 이 부분에 대한 이해와 실제적인 활용이 중요함에 불구하고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이해가 상당히 많이 부족했음을 언급한다. 지역사회의 권력 구조는 현실이고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역시 현실에 기반한 개입 활동이기 때문에, 지역사회 의사 결정권자들, 자원의 배분자들, 정책의 형성자 및 집행자들 등과 같은 지역사회 권력의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 기초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이해가 필요한 요소에 대한 강조점이 다소 다르나 일반적으로 위에서 제시된 내용들과 중복되어지는 내용이거나 혹은 보다 상세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Martin과 O'Connor(1989)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선행조건으로서 지역사회 문제와 관련된 지역사회의 구조와 구성에 대한 이해를 언급하면서 특히 연결망(linkages)의 시각에서 각각의 연결망들이 어떠한 상태에 놓여있고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사회시스템 시각과 생태학적인 시각에서 지역사회를 이해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Fellin(1995)은 이러한 시각들에 기초하여 전반적인 지역사회의 구성과 특징을 이해할 때 기본적으로 우리가 보다 많은 초점을 두고 이해해야 하는 것이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역량(competencies) 및 문제와 관련된 각 부문의 역량(competencies)임을 강조한다. 즉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의 힘, 자원 및 잠재력 등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지역사회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을 논하는 많은 저자들은 특히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지역사회 내외의 인적, 물적 자원의 구조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현실적으로 문제 해결에 있어 자원의 지원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선행조건의 하나인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다양한 내용들이 강조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지역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지역사회문제의 배경, 원인 및 특징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문제와 관련하여 필요한 연결망 구조, 상태 및 기능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권력 구조와 구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지역사회 내외의 자원의 상황에 대한 이해 등이 효과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수행을 위해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청소년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도 이러한 측면에서의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가 지역사회복지실천 활동의 효과성과 효율성의 제고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으로 본다.





제 2 절 지역사회복지활동의 Networking 및 Integration에 대한 논의



1. Network과 Networking에 대한 논의


현대사회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논의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 사회에서 그러한 논의가 증가하는 이유의 하나는 현대사회 정보화의 확산(심재호, 2000)에 의한 것이고, 사회복지 부분에서는 사회 문제 해결에 있어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인식 때문이다(Speck & Attneave, 1973; Maguire, 1983; Trevillion, 1999).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개념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분야의 하나가 조직론 분야인데, 여기에서는 네트워크가 전통적 조직설계(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론, 관료제론)의 한계가 드러나게 되는 상황에서 현대사회에서 신축성의 요구, 변동에 대한 적응, 환경적 불확실성의 극복 등 새로운 조직구조의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박우순, 1998). 조직론에서는 조직의 구조 측면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전개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네트워크의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어지는 개념으로서의 네트워크의 의미를 간략히 살펴본 후에 네트워킹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네트워크의 의미는 상당히 다양하다. 즉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광의적으로 그 의미를 살펴보면, 네트워크는 사회에서 상호간 서로 연결된 형태이다(Trevillion, 1999). 좀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네트워크란 사회의 여러 점들간의 연계체계 또는 연계형태를 가리킨다(Seed, 1990).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라고 할 경우에 그 구성의 핵심은 서로 연결된 사람이나 장소 또는 행위로서 이들이 구성의 핵심 점들(points)이 되며, 지역복지 네트워크라고 할 경우에는 그 구성의 핵심은 서로 연결된 지역사회 내의 복지대상자와 사회복지관련기관 그리고 자원체계로서 이들이 구성의 핵심 점들(points)이 될 것이다(심재호, 2000).

Trevillion(1999)은 사회적 네트워크라고 했을 때 핵심 점들(points) 즉 행위자들(actors)을 포함하는 다음의 4가지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고 한다. 첫 째는 상호의존적인 사회 행위자들(social actors), 둘 째는 물질자원 혹은 비물질자원의 흐름으로 나타나는 연결상태(linkages), 셋째는 이 연결망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network environment), 관계의 지속 형태(lasting patterns of relations) 등이다. 즉 네트워크는 행위자들과 그들의 연결상태, 그리고 이를 둘러싸는 환경 및 관계 형태의 내용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통해 네트워크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관점에서는 무엇에 초점을 두어 이해하는가와 관련하여 Seed(1990)는 사회복지사가 관심을 갖게 되는 네트워크는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복지기관(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에 초점을 두어서 이해되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즉 사회복지 분야에서 네트워크를 논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Seed(1990)가 지적하는 바와 같이 사회적 네트워크는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어떻게 서비스를 전달할 것 인지의 차원에서 그 의미가 모색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반영하여 Franklin과 Streeter(1995)는 사회복지서비스와 공공학교의 연계에 대한 논의에서 이들 행위자들의 네트워크 관계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그 유형을 다섯 가지의 차원에서 설명한다. 즉 다섯 가지의 네트워크 차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차원은 '비공식적인 관계(Informal relationship)'로 필요에 따라 학생과 가족이 클라이언트로 있는 사회복지기관이 학교와 연계를 맺는 차원에서의 관계이다. 이 차원에서의 관계는 학교와 사회복지기관이 서로 큰 관계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의 관계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두 번째 차원은 '조정(Coordination)'으로 학교사회사업가가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의 접촉활동을 통해서 클라이언트를 위해 지역사회기관의 자원을 발굴하고 클라이언트를 의뢰하는 차원에서의 관계이다. 세 번째 차원은 '협조(Partnership)'로 학교에 대해 지지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회복지기관, 자원봉사조직 등과 학교사이에서 자발적 혹은 계약적 동의가 이루어지는 차원에서의 관계이다. 네 번째 차원은 '협력(Collaboration)'으로 학교와 사회복지서비스기관이 공통의 목적과 방향성을 함께 제시하고 이에 동의하며, 이를 이루기 위해 책임을 공유하는 차원에서의 관계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직원들이 전문성을 발휘하여 함께 일을 하며 자원을 끌어들여 전달체계를 만들고 개선시키고 지속적인 보호를 추구하면서 이것이 중단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다섯 번째 차원은 '통합(Integration)'으로 공공학교와 폭넓은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합하여 새로운 체계를 형성, 사회복지서비스와 교육적 서비스의 전달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것을 내용으로 해서 보다 새롭고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원에서의 관계이다. 유사한 시각에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간의 연계 유형을 설명하는 Bayley는 네트워크의 의미를 협력으로 표현하면서 이러한 네트워크는 세 단계의 발전과정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강조한다. 첫 번째 단계는 특정한 경우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네트워크이고, 두 번째 단계는 지역에 있는 여러 분야의 각 조직 직원들간에 정기적인 연락을 취하는 형태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이며, 세 번째 단계는 지역에 있는 여러 분야의 각 조직 직원들이 하나의 팀을 만들어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에서의 네트워크이다.

위에서 기술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논의는 네트워크의 의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인식케 한다. 첫 째로는 네트워크가 사회 행위자들의 연결 상태를 의미하고 있음을 즉 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인식케 한다. 그리고 둘 째로는 네트워크에는 차원이 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 형성 및 그 차원의 강도 강화를 위한 노력이 즉 동적인 모습이 네트워크가 필요한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업일 수 있음을 인식케 한다. 바로 이러한 두 번째 특징에 초점을 두어 보았을 때, 사회복지 활동에 있어서 네트워크 형성 및 그 차원에서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네트워킹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네트워킹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문헌들은 네트워킹을 사회적 행위자들간의 협조, 협력, 통합 등을 위한 활동으로 설명하고 있다. 박경숙(1996)은 네트워킹이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사회복지 조직들과 같은 관련 사회 행위자들 간에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다. 한편 변용찬(1996)은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 분야에서의 네트워킹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네트워킹은 관련 분야의 각 조직들이 서비스간 협조체계를 구성함으로써 단편적인 서비스가 아니라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최종적으로는 주어지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 즉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이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연계성과 통합성을 제고하는 노력을 의미한다고 본다.

Trevillion(1999)은 네트워크는 사회 행위자들의 연결망의 현 상태에 대한 시각을 내포하고 있다면, 네트워킹은 그 연결망 상태에 대한 사정 및 그 연결망의 생성 및 강화를 위한 개입의 시각을 내포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즉 Trevillion(1999)은 네트워킹은 사회적 행위자들이 어떻게 필요한 연결망을 형성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는 개념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 5가지 과정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첫 번째는 사회 행위자들간의 영역에 대한 이해의 재구조화, 두 번째는 그들을 중심으로 공유 의식에 기초하여 지역사회를 구축하기, 세 번째는 그 연결망이 신축적이면서도 경직되지 않게 하기, 네 번째는 의사소통을 최대화하기, 다섯 번째는 이러한 연결망의 추진 체계 및 자원을 동원하기이다.

Trevillion(1999)에 의해서 설명되는 네트워킹 각 과정의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회행위자들간의 영역(domain)에 대한 이해의 재구조화(restructuring)의 과정은 상호 존경, 자기에 대한 인식 및 성찰, 상호 호혜성에 대한 인식, 상호 연결성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기반 하여 관계 형성을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시키고 제고시키는 과정이다. 두 번째의 공유 의식에 기초하여 지역사회를 구축하는 과정은 참여하는 사회 행위자들의 집합적인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의 개발과 제고, 참여가 갖는 기회적 요소를 강화하여 네트워크의 역량 제고(empowerment), 참여하는 사회 행위자들간의 상호 지지(mutual support)를 강화하고 제고시키는 과정이다. 세 번째, 연결망이 신축적이면서도 경직되지 않게 하는 과정은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 행위자들이 클라이언트의 욕구 및 문제에 보다 반응적인 대응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구획이 된 영역을 뛰어 넘는 공유된 책임감에 갖고 이에 기초하여 공조의 기회를 포착하는 과정이다. 네 번째, 의사소통을 최대화하는 과정은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의사소통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를 구축하고, 의사소통 네트워크가 모두에게 개방된 의사소통 통로와 더불어 일부에게만 한정되어져 의사소통 되어야만 하는 폐쇄된 의사소통 통로 이 둘 모두를 적절하게 활용되게 하고, 정보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의사소통 관리가 실행되게 하고, 정보가 독점되지 않고 공유되게 하는 과정이다. 다섯 번째, 네트워크의 추진 체계 및 자원을 동원하는 과정은 네트워크 추진 구성원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활동이 진행되게 하고, 더 나아가 네트워크간의 관계가 형성되게 하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조직들이 공유하는 자원의 동원이 보다 효과적이게 하는 것, 즉 네트워크의 미래에 대해서 생각하고 계획하고 투자하게 하는 과정이다.

심재호(2000)는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조직들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네트워킹 작업에서의 고려사항과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심재호(2000)는 네트워킹을 할 때 기본적으로 분업과 조정 즉 업무를 어떻게 분할하여 참여자들에게 배분할 것인가와 어떻게 조직내의 개별적 노력 또는 단위조직의 업무를 통합하여 전체로 연결시킬 것인가에 기본적인 초점을 두면서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네트워크의 구축목적,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네트워크의 운영방식, 네트워크의 기능과 역할, 네트워크의 운영재원, 네트워크의 설치단위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제시하는 방향을 각 요소 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각 참여자들 간에 일치점을 찾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구축목적 설정에서는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즉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조직이 매우 다양하고 그들 중의 일부는 조직의 주요한 (또는 본래의) 목적이 사회복지와 일정한 거리가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 참여조직간에 일치된 의견을 찾기가 어려워 네트워크의 구축이 불가능할 수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분한 논의과정을 통해 각 참여조직의 입장을 반영하되 세밀하게 목적을 규정하려고 하기보다는 다소 일반적인 수준에서 합의된 목적을 도출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네트워크에 어떤 조직을 포함시킬 것인가의 문제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에서는 네트워크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회 행위자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조직들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사회조직들 자원을 제공할 조직을 포함시키는 것이 사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네트워크의 운영방식에 대한 사항에서는 네트워크는 위계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수평적 운영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즉 계획을 수립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결정을 내리기 위한 공식적 및 비공식적 회의를 개최하고, 특정한 문제나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이한 영역 및 전문분야를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임시특별팀을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일을 수행하며, 설득과 정보 교환을 통해서 역할을 조정해 나가는 수평적 방식의 운영을 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네 번째, 특정한 사업을 위해 공동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갈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사항에서는 네트워크의 기능과 역할이 무엇보다도 참여자들의 결속력에 기초하기 때문에 우선 결속력 제고를 통한 기능과 역할의 확대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다섯 번째, 네트워크의 운영재원에서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고 관리하는 부분에 초점을 두어서 그러한 운영재원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지역사회를 위한 특정한 사업을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그 참여자들의 대다수는 이미 그 사업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여 온 경우가 많고 그리고 재정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황이라는 가정하에서 네트워크의 운영재원은 관리운영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는 것이다. 그러할 때 지방자치단체나 민간단체 등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보다 원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한다. 여섯 번째, 네트워크의 설치단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기초자치단체의 관할구역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설치단위의 설정은 지역환경에 따라 보다 신축적인 모습을 가질 수도 있어야 함을 역설한다.

지금까지 네트워크의 의미, 네트워크의 구성, 네트워크의 유형, 네트워킹의 의미, 네트워킹의 과정, 네트워킹 구축에서의 고려 사항 등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해 보았다. 네트워크 및 네트워킹에 대한 이러한 논의들은 변화하는 사회에서 구성원들의 다양한 욕구와 바램, 다양한 문제들의 해결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특히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그 구성원들의 다양한 욕구 및 문제 해결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참으로 지역사회는 욕구와 문제가 존재하고 표현되는 사람들의 삶의 장이고 또한 동시에 그러한 욕구 충족과 문제 해결을 가능케 하는 자원들이 존재하는 사람들의 삶의 장이다. 따라서 네트워크와 네트워킹의 논의를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욕구 충족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문제해결능력 제고의 방향에서 이해하고 응용하고 연구를 통해 강화해 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차원에서 즉 지역사회에서 의 청소년 문제 해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개념으로 네트워크와 네트워킹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노력이 매우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2. 지역사회 복지활동 Integration의 의미 및 적용에 대한 논의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서비스 네트워킹을 논할 때 함께 사용되는 용어의 하나가 바로 서비스 통합(integration)이다. 서비스 통합이라는 개념은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되어져 왔기 때문에 한 측면에서의 정의만으로는 그 의미를 충분하게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활동의 네트워킹을 함에 있어 궁극적으로 추구되어지는 것의 하나가 바로 활동의 통합 즉 노력의 통합을 통해 문제 해결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일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 서비스 통합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들의 내용을 정리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을 것으로 본다.

Austin(1997)은 서비스 통합은 한편으로는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조직들의 활동의 조정(coordination)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에서 서비스들의 연계망을 형성(networking)하여 서비스들이 물리적으로 공존하게 하는 것으로서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즉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Hassett과 Austin(1997)은 지역사회에서 문제 상태에 대한 변화를 지향함에 있어서 변화 노력들을 통합(integration)하려는 시도들은 협동(collaboration), 조정(coordination), 사회서비스통합(human service integration), 한 장소에서의 문제 해결(one-stop shopping) 등의 다양한 용어로 다양한 시각에서 설명되어져 왔다고 보고한다. Hassett과 Austin(1997)은 이러한 다양한 용어들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 노력에서의 다른 수준의 강도(intensity) 및 초점 수준의 차이 등을 나타내고 있기는 하지만, 결국은 이 용어들 모두는 범주화되어 제공되어지는 서비스들 사이에서 존재하는 구분과 경계선을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일컫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편 통합과 관련된 위의 논의들은 기능적 통합화와 물리적 통합화의 시각에서도 정리될 수 있다. 즉 협동(collaboration)과 조정(coordination)을 논하는 통합화 시각은 기능적 통합화의 내용을 상당 부분 논의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사회서비스통합((human service integration), 한 장소에서의 문제 해결(one-stop shopping)을 논하는 통합화 시각은 물리적 통합화의 내용을 상당 부분 논의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먼저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의 기능적 통합화는 이러한 노력을 전개하는 기관들이 물리적으로 함께 존재하지는 않지만 그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연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변용찬 외, 1996). 즉 기능적 통합화는 관련 분야의 노력들, 서비스들간 협조 체계를 형성하여 단편적인 노력이 아닌 보다 포괄적인 노력이 전달되어지게 해서 그 대상자에게는 최종적으로는 높은 질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지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사회에서 이러한 기능적 종합화가 이루어지면 그 대상자가 어느 기관을 최초로 접촉하여 도움을 받든 간에 그 기관은 필요한 서비스에 연계를 해 주는 접점의 역할을 수행하여 의뢰를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대상자는 포괄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연계를 된 체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운영하는가에 대한 문제가 큰 과제로 남는다고 볼 수 있다.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의 물리적 통합화는 하나의 물리적 공간에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는 기관들이 함께 활동을 전개케 하여, 문제를 갖는 대상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같은 공간 안에서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변용찬 외, 1996). 이러한 물리적 통합은 공간적인 거리라는 문제점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의 비연계성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리적인 통합과 관련된 재정적인 문제의 해결 및 이해 관계의 해결 등등에서 많은 해결 과제를 갖고 있다고 본다.

Kusserow(1991)은 물리적 통합이든 기능적 통합이든 간에 통합은 일차적으로 지역사회 수준에서 대상자에 대한 서비스의 전달을 조직화하는 방식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통합은 기존의 이용 가능한 노력들, 서비스들을 통합된 구조의 형성을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 전달을 할 수 있게 합리화(rationalize)하고 강화(enrich)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된 구조의 형성의 주요 구성 요소는 대상자 중심의 노력이 되게 하기 위한 조정(coordination), 포괄적 접근(holistic approach), 지역사회에 기초한 접근(community based approach), 자원의 합리적 분배를 통한 접근 등임을 강조한다. 위에서 제시된 통합에 대한 다양한 이해들에 기초하여 통합의 의미를 단순화하여 정리해 보면, 서비스 통합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 노력에서의 구분과 경계선을 연계와 협동 및 조정 등의 합리화 과정을 통해 감소시키면서 문제를 갖는 사람들이 갖는 욕구를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해 보려는 시도 및 개혁의 과정으로 이해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Chynoweth(1994)는 지역사회에서의 문제 상황을 변화시키려는 다양한 노력들의 통합을 추구하는 통합 모형과 범주 모형으로 정리되는 과거의 전통적 지역사회 문제 해결의 모형의 차이를 다음의 표에서와 같이 정리한다. 즉 과거의 전통적 모형과는 달리 통합적 모형은 소비자 중심적이고, 문제를 갖는 개인 각자에 대한 초점을 넘어 가족을 단위로 개입의 단위를 확대하고, 활동에 있어 추구하는 결과에 대한 관심에 기초하고, 개입활동에 있어 사후 처리보다는 예방과의 균형을 모색하면서 개입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민간 자원의 활용을 모색하고 자원 개발의 공조를 꾀하며, 문제 해결을 전문가 중심만이 아닌 보다 참여적인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하고 통합적인 노력이 전개되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모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표 2-1> 전통적 모형과 통합적 모형의 비교

통합적 모델
전통적 모델

-소비자 중심

-가족의 문제에까지 그 단위를 확대

-결과 지향

-예방과 개입간의 균형을 추구

-지역사회 민간 자원의 활용 및 참여 기관들의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자원 개발 공조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

-결과에 의한 평가

-지역사회를 기반한 노력

-전문가들 및 이해 집단, 비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전달
-기관들의 활동에 중심

-개인단위에 초점

-input 지향

-문제 개입, 위기 개입, 사후 개입

-형식적인(formal) 서비스 전달체계 및 분리된 프로젝트들에 대한 재정지원(fund)

-제한적인 서비스, 범주적 서비스 각각 제공

-규칙과 규제에 대한 순응정도로 평가

-기관 사무실 내에서의 노력

-전문가들을 통한 서비스가 전달





그러나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서의 노력을 통합하려는 통합 모형의 실행이 단순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님을 많은 연구들은 지적하고 있다. OECD(1996) 보고서는 이러한 통합 모형이 실행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중요하다고 보고한다. 첫 째는 정치적인 지지, 즉 공공 행정 당국의 행정적인 지지가 필요하고, 둘 째로는 관련된 법규의 마련이 필요하며, 세 번째로는 그러한 노력이 더욱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재정 지원 방법의 마련이 필요하며, 네 번째로는 각 기관, 정부 조직, 전문가들 사이에서의 의사소통 및 각 기관 및 정부 조직 내에서의 위와 아래 사이의 의사소통이 필요하고, 다섯 번째는 이러한 통합 노력을 위한 훈련과 경험들이 필요하고, 여섯 번째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태도 및 관련된 개인들간 그리고 기관들간의 긍정적인 관계의 형성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 보고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 노력의 통합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관련된 각 개인 및 기관의 내적 요소들의 준비가 있어야 할 뿐만이 아니라 이들을 둘러싼 외적 요소들의 지원이 있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사회 문제 해결 노력의 통합에 관해 논하는데 있어, 최근에는 수평적 통합의 시각과 함께 수직적 통합의 시각이 강조되고 있는데 그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적 통합 접근(horizontally integrated approach)은 문제를 갖는 대상자, 특히 연령을 중심으로 하는 접근(age group approach)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수평적 통합 접근은 그 대상자가 가지는 문제점과 욕구가 종합적으로 해결되게 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즉 수평적 통합 접근은 일정한 연령대의 대상자와 관련하여 지역사회에서 기능하는 기관들의 서비스를 연계시키고 조정하여 통합된 노력이 제공되게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평적 접근과 함께 통합에 있어 수직적 접근(vertically integrated approach)의 필요성이 논의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직적인 통합 접근은 개발(development)에 초점을 두는 접근이라고 볼 수 있는데, 즉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많은 관심을 장기적인 연관 속에서 보아야 할 대상에 대한 접근(longitudinal approach)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수직적 통합의 적용은 아동 및 청소년에 더욱 적절하다. 수직적 통합 접근의 가장 중요한 대상은 아동 및 청소년인데, 여기서는 그들의 발달에 대응한 지역사회 노력들, 서비스들의 통합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적 통합 접근의 실행 방법과 관련하여 Shuyt(1995)는 우리는 청소년 발달의 과정에 있어서 부딪히게 되는 문제들에 대한 목록(inventory)을 상세하게 만들고, 청소년 일대기의 연속적인 연결 관계를 보면서 가능한 문제의 범주들을 고려하면서 특정한 부분에 책임성과 더불어 관련되는 연결 사슬들에 대한 개입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Shuyt(1995)는 우리가 수직적 통합 접근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연결 고리로서 다음과 같은 10가지를 제시한다. 가정 상황, 가족과 학교와의 관계, 학교 생활, 방과후의 생활, 학교 중퇴, 직업훈련, 일을 갖는 것으로의 전이, 일터에서 적응, 일이 없는 생활, 사회에의 참여 등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 및 그들 사이에서의 연결 고리에 대한 개입이 통합되어지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이러한 노력이 바로 수직적인 통합 접근의 모색을 통해 실현되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지금까지 통합(integration)의 의미, 통합을 논할 때 그 내용으로 언급되어지는 것들(coordination, collaboration, human service integration, one stop shopping), 통합의 유형(기능적 통합과 물리적 통합), 통합의 의미, 통합 모형과 전통 모형의 차이, 통합 구축에서의 고려 사항, 통합의 방법(수평적 통합과 수직적 통합) 등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해 보았다. 지역사회 문제 해결 노력의 통합에 대한 이러한 논의들은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현대사회의 욕구에 기반 한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러한 논의들은 전개되어질 것으로 본다. 특히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문제를 수평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동시에 수직적인 측면에서 조정과 협력을 통해 보다 신축적으로 해결하는 노력을 전개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가치 부여는 앞으로 보다 강화되어질 것으로 본다. 따라서 청소년 복지를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차원에서 즉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 문제 해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개념으로 네트워크와 네트워킹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통합의 개념과 실행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는 노력을 전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제 3 절 지역사회복지활동의 통합 모형들에 관한 논의


앞 절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복지 활동의 통합 내용 및 유형, 방법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의 정리가 통합과 관련된 이해의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보다 실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면서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이 어떻게 가능케 되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절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지역사회복지활동의 통합 모형이라는 개념을 통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Evans(1998)는 지역사회복지활동의 통합 모형을 경험적인 측면에서 볼 때 4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Evans가 4가지 모형을 설정하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역 구성원과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영향력이다. Evans가 제시하는 4가지 모형은 법적인 통합 모형(mandated model), 지방 자치 통합 모형(localized autonomy model), 아래로부터의 지역사회 자치적 통합 모형(community autonomy model), 혼합 경제 통합 모형(mixed economy model)이다.

법적인 통합 모형은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이 법을 통해 명령되어지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법적인 요구에 의해서 통합이 가능케 되는 경우 즉 위로부터의 통합을 의미하는데 보통 이러한 모형은 재정적인 지원과 연계되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모형의 예는 핀란드에서 1993년에 제정된 Integrated Customer Services Act에서 볼 수 있는데, 핀란드에서는 이 법으로 인해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모든 장벽을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보고한다(Evans, 1993).

지방 자치 통합 모형은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이 중앙 정부에서 지방 정부에 위임되어 지방 정부가 지방의 상황에 맞게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을 전개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지방의 시민 대표자들에 의해 통합과 관련된 상황에 맞게 통합 유형이 결정되고 전개되어지는 모형이라고 Evans는 설명한다. 이러한 모형의 예는 독일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관찰할 수 있는데, 독일의 브레멘 지방의 Huchting에서는 이 지역의 빈곤한 지역 주민들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one stop shopping 형태의 서비스 통합이 필요하다고 보고, 교육, 건강, 심리, 사회복지 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보고한다(Evans, 1998).

아래로부터의 지역사회 자치적 통합 모형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을 유도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시민들 스스로가 주도적으로 통합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지역사회 복지 전문 직업인들이 지원하는 모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형의 예는 카나다 Saskschewan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시민들이 Citizens' Group을 형성하고 이 그룹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복지 전문인들의 지지를 만들어 내고 지역사회 통합 서비스를 위한 재정을 지역 정부로부터 받아 내어 통합을 유도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고 보고한다(Evans, 1998).

혼합 경제 통합 모형은 위로부터의 통합 유도와 아래로부터의 통합 노력이 함께 진행되어지면서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이 만들어지는 모형이다. Evans(1992)에 따르면 이 모형이 선진 복지 국가들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어질 수 있는 모형이라고 한다. 이 모형은 정부 차원에서의 통합에 대한 지원과 함께 민간 차원에서의 통합 노력이 함께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형의 예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이 주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서비스들이 서로 조정되고 연계되도록 하기 위한 협의체를 각 지역(county)을 중심으로 둘 수 있게 하는 주 법과 함께 민간 재단들이 커소시엄을 구성하여 지역 대표들의 참여를 통해 재정 지원의 형태를 통해 조정되고 연계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 서비스를 유도하고 있다고 보고한다(Evnas, 1998).

지역사회 복지활동 통합 모형에 대한 논의에서 인식되어지는 것은 통합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행정적인 규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법적인 체계의 마련이나 혹은 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그 통합 체계를 가능케 하거나 지속케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아래로부터의 지역사회 자치적 통합 모형에서나 혼합 경제 통합 모형에서 재정적인 지원이 공통적인 현상임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강력한 정책적인 실행에 의한 통합이 아닌 경우에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재정적인 지원 체계의 마련임을 인식케 한다.

지금까지 지역사회 복지활동의 통합 모형에 관한 실증적인 논의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는데 이러한 논의는 지역사회에서의 서비스 통합을 가능케 하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 무엇인가를 인식케 하면서 우리나라에서 보다 효과적인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작업이 실질적으로 요구되어지는가를 생각해 보게 한다. 참으로 위의 논의는 비록 간단하게 구성되어져 있으나 우리나라 청소년 복지 서비스를 위한 통합 모형 모색에 있어 어떠한 노력이 기본적으로 전개되어지는 것이 필요한가를 인식케 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제 4 절 청소년 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networking의 필요성 및 보다 통합적인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에 대한 논의

성인으로의 발달은 청소년들이 가족과 사회에서 그들 자신만의 위치를 마련해가며 그들의 부모로부터 해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오늘날과 같은 사회적 변화의 시기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참으로 오늘날의 사회는 청소년들에게 분명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게 하는 기회가 보다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OECD(1995)는 청소년기의 전반을 위험에 놓여 있는 시기(at risk)라고 정의한다. OECD(1995)에 의한 위험에 놓여 있는 시기라는 단어의 조작적 정의는 학교적응의 실패, 진로결정과 성인으로서의 준비과정에 있어서의 어려움의 증가, 사회성의 실패 및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기여도의 감소 등의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설명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험에 놓인 청소년들을 위해서는 age group approach와 더불어 longitudinal approach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최근의 OECD의 보고서(1998)에서 보다 많이 강조되고 있다. 즉 각 사회는 청소년 시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인 인성(personality)과 능력(capabilities), 즉 인지적, 사회 정서적 능력, 원동력, 창조적인 능력 등이 균형 있게 잘 발달해 나가도록 우리의 도움을 최대화하는 것과 동시에 위험요소에 대항하고 이를 극복하게 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함이 상당히 많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 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networking의 필요성 및 보다 통합적인 새로운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 OECD(1996)의 보고에 의하면, 현재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을 위한 문제 해결 노력이 실패하는 경향성이 높고 그러한 실패의 이유를 다음에서 찾는다. 첫 째,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어려움, 두 번째, 필요한 서비스가 없는 것의 문제, 세 번째, 제공되는 서비스의 지속성의 부재, 네 번째, 서비스들의 사전 문제 해결 지향이 아닌 사후 문제 해결 지향, 다섯 번째, 서비스 노력들의 책임성 부재 등이 강조된다. 즉 과거의 모형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더 이상 간과하는 것은 적절치 않고 새로운 접근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노력의 네트워킹(networking)과 통합(integration)이다(OECD, 1996). 즉 협조(cooperation), 협력(collaboration), 조정(coordination)이라는 용어로 서술되는 이러한 대안은 이제 각 사회에서 청소년의 문제를 위해서는 이러한 대안적 활동이 유기적으로 전개되어지지 않는 한 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의 독립된 인격체로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즉 변화하는 가족의 구성과 기능, 학교의 기능, 그리고 사회 경제적인 구조 속에서 위기에 놓인 청소년들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 정부 및 민간 기관의 다양한 노력들이 제각기 일부의 부분만에 초점을 맞추는 과거의 방식에 머물지 말고 보다 체계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지고 한 걸음 더 나아가서는 통합되어지는 것이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다. 즉 네트워킹과 통합의 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에서의 청소년 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외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에서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접근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 특히 네트워킹(networking)과 통합(integration)의 차원에서 우리에게 적절한 접근의 모형이 무엇인가를 모색해 보는 것은 실천적인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 3 장 청소년 보호를 위한 활동 현황



제 1 절 청소년 보호 활동의 역사적 전개 양상


그간의 우리나라 청소년 보호 활동은 크게 불우청소년에 대한 보호, 문제청소년에 대한 통제와 선도, 일반청소년에 대한 개발기회 제공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어느 사회에서나 고아나 걸식아동과 같은 불우청소년은 그 사회의 능력과 여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보호되었다. 문제청소년에 대한 통제는 전통사회에서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되나, 아무래도 청소년문제가 심각한 양상으로 대두된 산업화 이후에 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위 두 부류에 속하지 않는 다수의 일반청소년을 위한 개발기회의 제공은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회의 전반적인 여력이 성숙되어감에 따라 뒤늦게 발전한 것이 보통이었다. 이상의 간략한 설명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3-1> 보호대상 청소년에 따른 보호활동

보호 대상 청소년
보호활동

집단명칭

주목표


불우청소년
고아, 걸식아, 소년소녀가장
보호
의식주의 제공, 학비감면 등

문제청소년
우범청소년, 비행청소년
통제와 선도
탈선방지, 교정, 보호관찰 등

일반청소년
학생 등
개발기회의 제공
인격도야, 심신단련, 청소년 참여






한편 청소년 보호에 있어서 보호의 제공주체는 크게 공공기관(정부, 지자체, 검 경), 민간조직(종교기관, 각종 법인 및 단체, 자생조직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 절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사회 이래 청소년 보호의 발전과정을 위 세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그리고 서비스 제공 주체들을 중심으로 간략히 고찰하고자 한다.



1. 전통사회의 청소년 보호 : 불우청소년을 위한 제한적 보호


전통사회나 근대사회, 혹은 현대사회를 막론하고 고아나 걸식아와 같은 불우청소년의 문제는 사회적 대응을 요하는 중요한 사회문제였다. 서구사회에서 고아문제에 대한 근대적 대응은 시설을 통한 보호였다. 일찍이 구빈법 시대의 구빈원(almshouse 또는 poorhouse)은 고아들을 여타 빈곤인구와 함께 수용보호한 전례를 남겼다. 서구에서는 후일 아동과 청소년을 별도로 격리하여 보호하는 고아원의 발전이 뒤따랐다.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 고아문제에 대한 접근은 시설보호가 아닌 다른 형태를 취했다. 고아에 대한 시설보호가 나타난 것은 서구 사회사업과의 조우 이후의 일이었던 것이다.

한국 전통사회에서 청소년문제에 대한 국가의 개입은 친족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부랑하는 고아와 자연재해로 아사의 위험에 직면한 기아(飢兒)를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요보호 청소년집단에 대한 국가의 정책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의식제공에 머문 것이 보통이었다.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는 한국 고대(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와 중세(고려시대~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청소년 보호는 주로 유교와 불교의 구제관에 입각한 것이었다. 한국 전통사회에서는 고아문제에 대해 일차적으로 친족책임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국가기구가 출현하기 훨씬 이전부터 이루어진 매우 오랜 사회적 개입방식이었다.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의 청소년 보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사회적인 보호가 필요한 청소년은 대략 13세까지의 고아 또는 기아(飢兒)였다. 둘째, 이들에 대한 보호에 있어서는 일차적으로 친족부양이 강조되었고, 그것이 여의치 못할 경우 국가에 의해서 한시적인 보호가 제공되었다. 셋째, 국가에 의한 청소년보호는 생존과 직결되는 먹을 것과 입을 것의 제공위주였고, 흉년시에는 일시적인 시설보호도 제공되었다. 넷째, 한국 전통사회에서 문제청소년에 대한 통제장치는 있었으나 일반청소년을 위한 개발기회 제공과 같은 적극적이고 발전적인 국가 정책들은 찾아보기 힘들다. 마지막으로 한국 전통사회에서 일반 청소년을 위한 개발기회의 제공이나 문제청소년에 대한 통제와 선도는 부분적으로 향약과 같은 지역사회 조직체에 의해 수행되기도 하였다.



2. 근대 초기 : 불우청소년에 대한 보호활동의 전개와 일반청소년을 위한 개발기회 제공의 시작


구한말과 일제시대를 거쳐 공공, 민간의 청소년 보호를 살펴본다면 우선 첫째로, 전통사회의 불우청소년을 위한 보호 활동이 서구 사회사업과의 조우를 통해 근대적인 형태로 발돋움하였다. 선교사들에 의한 고아원의 설립은 카돌릭 신부들에 의한 것이 효시이다. 1831년에 조선교구를 설립한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의 Monsignor Bruguiere 신부가 입국하여 대목(vicar apostolic)으로 임명되어 전 조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 단체는 1854년에 조선영해회(La Sainte Enfance)를 설립하였는데(조화영, 1990:7), 영해회는 오늘날의 고아원 사업과 유사한 시설사업을 전개하였다. 영해회는 1880년대 제7대 교구장으로 블랑(J.M.C.Blanc) 주교가 임명되면서 서울 곤당골에서 사업을 이어 나갔고, 고아원 사업은 샬트로 성 바오로회가 관장하여, 1888년 종현에 수녀원을 마련하면서 그 부속건물로 고아원을 설립, 145명의 고아를 양육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한편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시설로 1897년 "불구아동의 집"이 서울에 세워졌는데, 호주장로교선교부의 짐 페리(J.Perry)양의 관할하에 9명의 선교사로 이사회를 구성하였다. 1901년에 23명이 수용되어 있었고(19명은 남아), 이들에게 한글, 한문, 창가, 산술, 지리, 재봉, 기타 기초지식을 교육하였다.

구호사업에서는 구세군이 선구적이었다. 1919년 구세군은 거지수용시설을 구세군사관학교 안에 마련하였다(민경배,19??청소년 복지서비스의 행정적 실태와 관리

2005.06.1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