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1.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안가요? 그렇다면 전체인구의 몇퍼센트가 고령인구인가요?
2. 전북지역은 고령화가 얼마나 진행되었나요?
3. 현재 우리나라의 남자,여자 평균수명을 알려주세요!!
^^ 감사여.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고령사회라는 기준은 노인(65세 이상)의 비율로 결정됩니다.
65세 이상 노인이 7% 이상이면 고령사회로 접어드는 고령화사회이고
14%가 넘어가면 완전한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입니다.
한국은 2000년에 7%를 넘어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고,
예상으로는 2020년에 고령사회, 2026년에 초고령사회로 들어갈 거라고 합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전북지역의 고령화지수는 14.2%로,
전남(17.7%) 경북(14.4%) 충남(14.3%)에 이어 4번째로 높습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가장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이 전라도 지역이지요.
한국인 평균수명은 78.2세로 남자는 74.2, 여자는 81.5세입니다.
2006.09.2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 우리나라의 고령사회 여부와 고령인구 비율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16.5%를 넘어섰습니다. 즉, 전체 인구의 16.5% 이상이 고령층인 셈입니다.
고령사회란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선 사회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이 기준을 넘어서면서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로 진입했음을 의미합니다.
2. 전북 지역의 고령화 진행 상황
전북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고령 인구 비율이 높아지면서 지역 사회의 활력 저하와 함께 다양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전북 지역의 경우, 농촌 인구의 감소와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가속화되면서 고령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젊은 인구의 부족으로 인한 지역 경제 침체, 노인 돌봄 문제, 사회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3. 우리나라 남녀 평균 수명
우리나라의 남성 평균 수명은 약 80세, 여성 평균 수명은 약 86세 정도입니다.
하지만 평균 수명은 단순히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평균 수명이 증가했다는 것은 국민들의 건강 수준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고령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도 더욱 커졌음을 의미합니다.
2024.07.21.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