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증조 할아버지 김상환
고조 할아버지 김만복
고조 할머니 김상순
입니다 족보를찾고싶고 제조상님이 궁금합니다
가족이 없고 할아버지가족이 금강산쪽에 계신 가족입니다
제발찾아주세요 울산김씨입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울산 김씨입니다
저는 할아버지가 울산김씨이며
증조 할아버지 김상환
고조 할아버지 김만복입니다
족보를찾고싶고 제조상님이 궁금합니다
가족이 없고 할아버지가족이 금강산쪽에 계신 가족입니다
제발찾아주세요 울산김씨입니다.
답변 : 님은 울산 김씨 이시군요.
아래에 울산 김씨는 각파가 대동 항렬표를 쓰는 관계로 파는 찾아 드릴 수가 없습니다.
고조부님 : 31세 O휴(休)자 돌림이시나, 복자를 쓰셨고,
증조부님 : 32세 환(煥)O자 돌림이시며,
조부님 : 33세 ?자 돌림이라 하셨고,
부친님 : 34세 ?자 돌림이라 하셨으며,
님은 : 35세손 ?자 돌림 입니다. ※ 아래 항렬표를 참고 하세요.
아래는 울산김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울산김씨(蔚山金氏)에 대(對)하여
1. 울산 김씨(蔚山 金氏) 시조(始祖) : 김덕지(金德摯)
2. 울산 김씨(蔚山 金氏) 유래(由來) :
울산 김씨(蔚山金氏)의 시조(始祖) 김덕지(金德摯)는 신라(新羅) 경순대왕(敬順大王)의 별자(別子)이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935년(경순왕 9) 10월 경순왕(敬順王)이 고려(高麗) 태조(太祖)에게 신라(新羅)의 천년(千年) 사직(司直)을 양위(讓位)하려 하자 형인 마의태자(麻衣太子) 김일(金鎰)과 함께 이를 극력(極力)하게 반대(反對)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형(兄)과 함께 개골산(皆骨山)에 들어갔다고 하며,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와 《울산김씨족보(蔚山金氏族譜)》에 의하면 그는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에 봉군(封君)해졌다. 그 후(後)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고, 김덕지(金德摯)의 14세손 김환(金環)이 고려조에서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지고 충숙왕(忠肅王) 때 문숙(文肅)이란 시호(諡號)를 하사(下賜) 받았으므로, 후손(後孫)들이 본관(本貫)을 울산(蔚山)으로 하게 되었다.
3. 울산 김씨(蔚山 金氏) 본관 연혁
울산(蔚山)은 경상남도(慶尙南道) 동해안(東海岸)에 위치(位置)한 지역(地域)으로 본래(本來)는 진한(辰韓)의 땅이었으며, 삼국시대(三國時代)에는 신라(新羅)의 굴아화촌(屈阿火村)으로 파사왕(婆娑王) 때에 지변현(知邊縣 : 戒邊城·神鶴城·火城郡)을 설치(設置)하였다. 757년(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16)에 하곡현(河曲縣)으로 고쳐 임관군(臨關郡)의 영현을 삼았다. 고려(高麗) 태조(太祖) 때에 이 고장 사람인 박윤웅이 태조(太祖)를 도운 공으로 우풍현(虞風縣)과 동진현(東津縣)을 병합(倂合)해 흥려부(興麗府)로 승격(昇格)되었다가, 991년(성종 10)에 공화현(恭化縣)으로 강등(降等)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울주군(蔚州郡)이 되어 속현으로 동래현(東萊縣)과 헌양현(陽縣)을 관할하였다가 방어사로 고쳤다. 1397년(태조 6)에 진(鎭)을 두었으며 1413년(태종 13)에 진을 혁파하고 울산군(蔚山郡)으로 고쳤다. 1418년에는 염포(鹽浦)를 개항해 일본(日本)에 대한 문호를 열었으나, 1510년(중종 5) 삼포왜란으로 왜관이 폐지되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인 1598년(선조 31)에 울산도호부(蔚山都護府)로 승격(昇格)되어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부사를 겸하게 되었다가 1616년(광해군 8)에 다시 별도로 부사를 파견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동래부 울산군(廣域郡)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남도(慶尙南道) 울산군(蔚山郡)이 되었다. 고려(高麗) 성종(成宗) 때, 울산(蔚山)의 별칭(別稱)을 학성(鶴城)이라고 하였다. 1906년에는 월경지 정리에 의해 두입지(斗入地)인 외남면·웅상면이 양산군으로 이관된 대신 경주(慶州)의 두입지인 외남면이 편입(編入)되었다.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울산군(蔚山郡)의 21개 면이 14개 면으로 통합(統合)되었고, 언양군은 폐지되어 언양군의 6개 면이 5개 면으로 폐합, 울산군(蔚山郡)에 편입(編入)되었다. 1962년 경제개발(經濟開發) 5개년(個年) 계획(計劃)에 의해 울산읍(蔚山郡)을 시로 시에서 광역시(廣域市)로 승격(昇格)하였다. 이것이 1995년에 울산시(蔚山市)와 울산군(蔚山郡)을 통합(統合)하고, 1997년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로 하였다.
4. 경순대왕(敬順大王)을 살펴보면,
경순대왕(敬順大王)의 9왕자(王子)로 김덕지(金德摯)로 태어나고,
경순대왕(敬順大王 : 金閼智의 28세손)은 후백제(후百濟) 견훤(甄萱)이 경애왕(景哀王)을 죽게 한 뒤 왕위를 오르게 하였으나, 935년에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에게 나라를 넘겨주고, 왕건(王建)의 딸 낙랑공주(樂浪公主)와 결혼(結婚)하여 경주(慶州)를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아 사심관(事審官)으로 여생(餘生)을 보냈다.
경순대왕(敬順大王)의 9아들 중 첫째 아들 김일(鎰)과 김굉(宏)을 제외한 7아들은 낙랑공주(樂浪公主)의 몸에서 태어났다.
9아들중 마의태자(麻衣太子)로 잘 알려진 김일(金鎰)은 망국(亡國)의 한(恨)을 품고 개골산(愷骨山 : 금강산)으로 입산(入山)하였다.
첫째 김일(鎰)은 부안 김씨,
둘째 김굉의 아들(김운발(金雲發))은 나주 김씨,
셋째 김명종(鳴鐘)은 경주김씨의 영분공파,
넷째 김은열(殷說)은 경주김씨 은열공파, 김녕 김씨 등.
다섯째 김석(錫)은 의성김씨,
여섯째 김건,
일곱째 김선(鐥)은 언양김씨,
여덟째 김추(錘)의 아들(김위옹)은 삼척 김씨,
아홉째 김덕지(德摯)는 울산 김씨(蔚山 金氏) 등이 되었다.
이 중에서도
넷째 아들 김은설의 후손이 가장 번창했으며, 둘째 아들-구안동, 5세손 김봉기(鳳麒)의 넷째 아들-김녕김씨, 후손인 김방경의 넷째 아들-대구, 7세손-도강, 13세손-밀양, 5세손-서흥, 후손-안악, 후손-안산, 14세손-야성(영덕), 김녕에서 분관-양근, 9세손-양주, 후손-연주, 4세손-영광, 후손-영산(靈山), 15세손-월성, 8세손-전주, 첫째 아들 김정구의 11세손-청풍, 등이다.
기타
첫째 아들 김일(鎰)은 후손은 통천,
여덟째 아들 김추의 아들 김우(金佑)는 희천,
여섯째 아들 김건의 후손은 영월, 홍주,
김알지계 김씨에서 다른 성(他姓)으로 갈려간 성씨는 김행(幸)이 안동 권씨(權氏), 김순식(順式)은 강릉 왕씨(王氏), 김궁예(弓裔)의 후손 김순백(珣白)은 광산 이씨(李氏)로, 세광은 감천 문씨(文氏), 김은열(殷說)의 13세손 김영규(永奎)는 수성 최씨(崔氏) 등으로 각각 개성(改姓)하였다.
5. 울산 김씨(蔚山 金氏)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시조(始祖) 학성군 김덕지 왕자 : 신라 경순왕의 제2子로 휘 이고 .號는 德摯이며 아버지인 경순왕이 신라를 고려에 넘겨주려 하자 마의태자와 함께 극력 諫하였으나 받아들여 지지 않자 처자를 버리고 태자와 함께 개골산을 거쳐 해인산 입산후 梵空스님이 되어 생을 마치셨다.
- 중시조 흥려군 김온 :위화도 회군후 조선 건국 공신이며 양주목사 재임시 태종의 장자인 양녕대군를 교체, 세자 책봉관련 화를 입으시다.
- 하소부인 여흥민씨 조모 : 양주목사 김온의 부인으로 급작스런 부군의 사망으로 3형제 이끌고 장성땅으로 피란.오늘의 울산김씨가 있게 하였다.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명정리 복부혈 유적지가 있다.
- 문정공 하서 김인후(麟厚) : 조선조 인종조 세자(인종대왕)의스승, 충절공으로 불사이군 성리학의 대유학자로 동방18성현으로 호남에서는 유일하게 성균관 문묘에 배향. 영의정, 대제학등 7개의 관직제수. 유적지로는장성 맥동유택, 필암서원, 광주 대공원에 동상이 있음.
- 복양제 김수노 : 단종 충절신하. 함안군 가야읍 아라공원, 홍수면 검암리에 순절비가 있음.
- 백암 김대명 : 의금부도사로 명나라에서 이름을 날려 명나라 신종황제를 감동시킨 학자.
- 판관공 김천록 : 임진란시 의병을 모집 진주성을 지키다 순절하신 의병대장
- 손암 김신덕 : 단종 충절신하
- 오천 김경수 :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남문창의의 맹주
- 맥호 김수조 : 울산김씨 최초의 족보 서문 撰
- 맥촌 김형지 : 하서선조 추효사업을 이룩.
- 인촌 김성수(性洙) : 대한민국 2대 부통령. 동아일보, 고려대학설립 한국근대사의 거인.
- 가인 김병로(炳魯) : 대한민국 초대 대법원장 법조계의 영원한 사표.
- 수당 김연수 : 삼양사 창업등 대사업가.
- 일민 김상만 : 세계적인 언론인 동아일보 사장.
- 남재 김상협 : 국무총리,한국적십자사 총재등 한국지성의 거목.
- 백우 김녹영 : 12대 국회 부의장.
6. 울산 김씨(蔚山 金氏) 계파 분파
김온(金穩)의 3개파
첫째 아들 달근(부사정)이 장파(長派),
둘째 아들 달원(사정) 이 중파(中派),
셋째 아들 달지(부사정)가 季派(계파),
◈ 달근(達根) 장파(長派),
- 대종파.大宗派
- 울산파.蔚山派
- 광양파.光陽派
- 백암공파.白巖公派
- 황주파.黃州派
- 연산파.連山派
- 좌랑공파.佐郞公派
- 잠암파.簪岩派
- 신평파.莘坪派
- 은행정파.銀杏亭派
- 증산파.甑山派
- 함평공파.咸平公派)(12개사파.12個私派)
◈ 달원(達源) 중파(中派),
- 문정공대종파.文正公大宗派
- 신평파.莘坪派
- 중평파.中坪派
- 달성파.達城派
- 회암공파.檜巖公派
- 자연당파.自然堂派
- 맥동파.麥洞派
- 각제공파.覺霽公派
- 화산공파.華山公派
- 월평파.月坪派
- 학전파.鶴田派
- 순릉참봉공파.順陵參奉公派
- 참봉공파.參奉公派
- 신월파.新月派
- 주부공파.主簿公派
- 보령공파.保寧公派
- 구해파.九海派)(17개사파.17個私派)
◈ 달지(達枝) 季派(계파)
-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 백화옹공파.百花翁公派
- 선동파.善洞派
- 용산공파.龍山公派
- 죽청파.竹靑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복룡파.伏龍派
- 거마산파.巨馬山派
- 복호파.伏虎派
- 임천공파.林川公派
-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천총공파.千摠公派
- 작동파.雀洞派)(13개사파.13個私派)
총43개사파.總43個私派
7. 울산 김씨(蔚山 金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世 | 行列字 | 行列代字 | 世 | 行列字 | 行列代字 | 世 | 行列字 | 行列代字 |
17世 | 穩 (온) |
|
|
|
|
|
|
|
18世 | 達 ○ (달 ○) |
| 29世 | ○ 祖 (○ 조) |
| 40世 | 治 ○ (치 ○) |
|
19世 | 愼 ○ (신 ○) | 剛 | 30世 | 邦 ○ (방 ○) |
| 41世 | ○ 來 (○ 래) |
|
20世 | ○ 老 (○ 노) | 丸 | 31世 | ○ 休 (○ 휴) |
| 42世 | 光 ○ (광 ○) |
|
21世 | 碩 ○ (석 ○) | 靈 | 32世 | ○ 煥 (○ 환) | 宗景枯慶 | 43世 | ○ 杓 (○ 표) |
|
22世 | 麟 ○ (인 ○) |
| 33世 | 堯 ○ (요 ○) | 圭基奎 | 44世 | 鍊 ○ (연 ○) |
|
23世 | 從 ○ (종 ○) |
| 34世 | ○ 中 (○ 중) | 箕鐘奎 | 45世 | ○ 洪 (○ 홍) |
|
24世 | 南 ○ (남 ○) |
| 35世 | ○ 洙 (○ 수) | 鎰柱永 | 46世 | 秉 ○ (병 ○) |
|
25世 | 亨 ○ (형 ○) |
| 36世 | 相 ○ (상 ○) | 源容仁東敎燮 | 47世 | ○ 熙 (○ 희) |
|
26世 | ○ 夏 (○ 하) |
| 37世 | 炳 ○ (병 ○) | 炯 | 48世 | 老 ○ (노 ○) |
|
27世 | ○ 瑞 (○ 서) |
| 38世 | 載 ○ (재 ○) | 鎭 在 | 49世 |
|
|
28世 | ○ 賢 (○ 현) |
| 39世 | ○ 九 (○ 구) | 湜 鍾 | 50世 |
|
|
8. 울산 김씨(蔚山 金氏) 주요 세거지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하리
-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 금계리
-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 장산리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성산리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산평리
-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 일원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일원
- 경상남도 울주군 강동면 정자리
- 함경남도 문천군 천내읍 일원
9. 울산 김씨(蔚山 金氏) 인구수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울산 김씨는 11,270가구 총 36,225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2021.09.2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