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봉사활동단체...;;
rsk0**** 조회수 148,962 작성일2004.06.20
봉사활동 단체에 대해 알려주세요 ㅠ;;


내용에는요. 단체 이름이랑, 하는 일하고,

단체에 들어가려면 어떤 자격있어야하는지(있다면)

그리고.. 자세한 내용들좀 마니 써주세요;

빨리 써주실수록 조쿠요 ㅠㅠ 부탁드려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5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해피빈콩 기부해요
달신
미술 16위, 예체능, 실과 1위, 봉사, 기부 14위 분야에서 활동

* 청소년자원봉사센터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kyvc.youthnet.re.kr
서울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sy0404.or.kr
대구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tinc.co.kr/tgbongs
인천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youth.ghil.co
강원도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kyvc.or.kr
충북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cbyouth.or.kr
전북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jb0479.or.kr
전남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cyvc.or.kr
경남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jabong2.or.kr


ㄱ.ㄴ.ㄷ.순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그리고 더 자세한 주소나 역할 등을 알고 싶으시면

각 사이트별로 그 기관의 연맹사이트나 인근지역 단체들에 대해서도 링크가 되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



강원도 청소년 상담실 - http://www.kwci.or.kr
경기도 청소년 종합 상담실 - http://www.hi1318.or.kr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http://www.nyc.or.kr
국립평창 청소년 수련원 - http://www.purumi.org
국제연합한국학생협회 - http://old.youthnet.re.kr
국제청소년문화협회 - http://old.youthnet.re.kr
그린 패밀리 녹색 소년단 - http://www.greenfamily.or.kr
근로청소년복지관 청소년상담실 - http://www.boram.or.kr


내친구 - http://www.myfriend.net
노원청소년수련관 - http://www.youthcenter.or.kr
농어촌청소년 육성재단 - http://www.fry.or.kr

대구광역시 청소년 상담실 - http://www.kyci.or.kr/daegu

대한 사회복지회 http://www.alovenest.com/    

대전 한국청소년마을 - http://www.kybc.org/dj
대한적십자사 http://www.redcross.or.kr/index.html
대한 YMCA 연합회 - http://www.ymca.or.kr

도움넷 http://www.bbbkorea.org/

따뜻한 세상만들기 http://www.ddase.com/


무등 청소년회 - http://mdyouth.or.kr
미래를 위한 만남 Space 1318 - http://www.1318.co.kr


보라매청소년수련관 - http://www.boramyc.or.kr
볼런티어21   http://www.volunteer21.org/
부산자원봉사센터 - http://www.volunteer.or.kr
부천 문화의집 - http://www.munhwa21.or.kr
북구청소년 회관 - http://www.bukguzzang.co.kr
북구짱 - http://www.bukguzzang.co.kr


사)우리누리청소년회 - http://www.munhwa21.or.kr
사이버유스 - http://www.cyberyouth.org
삼동청소년회 - http://www.samdongyouth.or.kr
서당골수련원 - http://www.seodanggol.co.kr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http://www.s-win.or.kr/

서울시립보라매청소년회관 - http://www.boramyc.or.kr
서울시립 신림 청소년쉼터 우리세상 - http://www.shelter.or.kr
서울특별시립 서울청소년수련관 - http://www.youthc.or.kr
서울특별시립 청소년 쉼터 - http://www.youthzone.or.kr

서울특별시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sy0404.or.kr

서울 청소년 지도 육성회 - http://www.youthc.co.kr
성산청소년육성재단 - http://www.fgic.or.kr
세계청소년단체협의회(WAY) - http://www.histeam.net/~love

세계청년봉사단 http://www.kopion.or.kr/

십대들의 쪽지 - http://edufinder.kornet.nm.kr/ppippo/jjokji


아동, 청소년 상담연구회 - http://plaza.snu.ac.kr/~kayhkim
아동학대문제 연구소 - http://www.1391.or.kr
아세아청소년단체협의회(AYC) - http://www.histeam.net/~love
안양시청소년수련관 - http://www.ayc.or.kr
야자(YAJA) - http://www.yaja.org
야호! - http://www.koya.or.kr
열린문쉼터 - http://www.opencenter.or.kr
열린사회자원봉사연합 - http://vufos.com.ne.kr

애원 http://www.aewon.org/index.php

에듀넷 - http://web.edunet4u.net
오운문화재단 - http://www.kolon.co.kr
우리넷 청소년 상담실 운영자 - http://my.netian.com/~ksy0603

유니세프한국위원회 http://www.unicef.or.kr/

유네스코 청소년 팀 - http://youth.unesco.or.kr/main/main.asp
유네스코청년회 국민청소년수련마을 - http://www.gukmin.or.kr

유알천사 http://www.ur1004.org/

유엔한국학생협회 - http://www.nownuri.net/nownuri
인천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youth.ghil.com
일암청소년육성재단 - http://www.nownuri.net/nownuri

월드비젼 http://www.worldvision.or.kr/


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운동 서울협의회 - http://www.safeschool.or.kr
자치행정국 체육청소년과 - http://www.provin.chonnam.kr
전국 재해 구호 협회 http://www.relief.or.kr/
전라남도청소년수련원 - http://www.cnytc.or.kr
전라남도 청소년 자원 봉사센터 - http://cyvc.or.kr
전북 문화관광국 체육청소년과 - http://www.provin.chonbuk.kr

전석 복지재단 http://www.jeonseuk.org/

중앙일보시민사회연구소 http://ngo.joongang.co.kr/

중앙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kyvc.youthent.re.kr
지킴넷 - http://www.jikim.net


청소년문화마을 - http://galaxy.channeli.net/dlpul
청소년보호 육성회 - http://user.chollian.net/~youthboy
청소년보호위원회 - http://www.youth.go.kr
청소년 봉사대 홈페이지 - http://users.unitel.co.kr/~boyboy
청소년 사이버 나눔터 - http://nontel.nonsan.chungnam.kr/~labbi
청소년사이버의회 - http://www.youthvol.net
청소년상담실 - http://www.myrest.co.kr
청소년 세계(YOUTH) 홈페이지 - http://www.youth.co.kr
청소년수련마을 보람원 - http://www.boramwon.co.kr
청소년웹진 - http://www.moo.inpia.net
청소년웹진 CH.10![채널텐] - http://www.ch10.com
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youthvol.net
청소년적십자 - http://www.rcy.org
청소년 정보원 - http://www.youthpia.net
청소년 지도 연구원 - http://www.koreayouth.or.kr
청소년폭력예방재단 - http://www.jikim.net


코리아 청소년 신문 - http://www.ynews.co.kr

키바   http://www.kiva.or.kr/kivamain.htm 국제자원봉사협회


펄벅재단 한국지회 http://www.pearlsbuck.or.kr/
 
품 청소년 문화공동체 - http://www.pumdongi.org


한국 우주정보 소년단 - http://www.yaknet.or.kr
한국 유스 호스텔 연맹 - http://www.kyha.or.kr
한국청소년개발원 - http://www.youthnet.re.kr
한국청소년교류진흥협회 - http://www.kyepa.or.kr
한국청소년단체 협의회 - http://www.koreayouth.net
한국청소년마을 - http://www.kybc.org/bs
한국로타리 청소년 인터-로타랙트 - http://www.rotarykorea.org
한국청소년마을 - http://kyvillage.org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http://www.youth.re.kr
한국청소년사랑회 - http://www.histeam.net/love
한국청소년상담원 - http://www.kyci.or.kr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 http://www.jikimi.or.kr
한국청소년연맹 - http://www.koya.or.kr
한국청소년인터넷방송국 - http://www.kybc.org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youthvol.net
한국청소년정보원 - http://www.youthpia.net
한국해양소년단 - http://www.sekh.or.kr
한국해양소년단연맹 - http://www.sekh.or.kr
한사랑청소년광장 - http://www.hansarang.or.kr

흥사단 - http://www.yka.or.kr

한국국제 협력단 http://www.kopion.or.kr/

한국 BBB운동  http://www.bbbkorea.org/

한국 BBS 중앙연맹 - http://www.bbs.or.kr

한국 boy scouts 연맹 - http://www.scout.or.kr
한국 girl scouts 연맹 - http://www.girlscout.or.kr
한국 LABO - http://labostay.or.kr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http://kucss.kcue.or.kr/

한국사랑의 집짓기운동연합 http://www.habitat.or.kr/

한국사회복지사협회 http://www.welfare.net/

한국서비스포피스 http://www.cgl.or.kr/index.asp

한국시민자원봉사회 http://www.civo.net/

한국자원봉사센터협회 http://www.kavc.or.kr/
기타

RCY - http://www.rcy.org
10대를 위한 웹진 - http://www.neteen.net
21세기 문화 공동체 - http://www.hanada.co.kr
아우리 진로 상담실 - http://www.auri.co.kr
EXPO과학소년단 - http://www.expopark.co.kr/main.html
Youth World - http://www.youth.co.kr
 내용출처: 다음카페 '천안대 청소년학'-청소년관련사이트
스카우트(보이스카우트)
걸스카우트
해양소년단-초등학교는 아람단  중학교는 누리단 고등학교는 한별단 대학교는 한울회
청소년연맹
청소년적십자
우주정보소년단
그린스카우트(녹색소년단)
YMCA
YWCA
흥사단


다일공동체  - 기독교 봉사단체 다일공동체, 서울다일교회, 다일복지재단 등 소개. 
 
    http://www.dail.org


한대봉(KUUSC)  - 한국대학생 연합봉사회 소개, 봉사활동 및 가족모임, 가입 안내, 회지보기 제공. 
     http://www.kuusc.net/       
 

 

 참길공동체  - 서울/경기 지역 봉사단체, 회원가입 안내, 자원봉사 및 장애인 교육자료, 홍보/행사 소식, 장애인 일기, 참길소식, 서울 봉사활동 현장 소개. 
 
    http://www.chamgil.org/     
 
 

 전라도 광주 사이버 사랑 모임  - 봉사 활동, 백과 사전, 관련 사이트, 가입 안내, 개인 사이트 소개, 비주얼 베이직 강좌,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 단체. 
 
    http://childs.kr21.net/  
 

아가들을 가르치는것과...
장애우 아저씨들 돕는것 그런것들이 있는데
www.barrom.com

www.withgo.or.kr

www.amsa3rc.or.kr
활동하고 있는 봉사할수 있는곳입니다..

*자세한건 직접 물어보세요
 
아름다운 재단 - 기부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캠페인을 전개하는 비영리 공익재단. 
 
     http://www.beautifulfund.org
 
아름다운 가게  http://www.beautifulstore.org 헌옷, 책, 가방, 신발, 주방용품, 가전제품, 액세서리 등 중고물품 기증 판매, 재활용품 수익금으로 공익사업 운영. 

 

 

 

저희 아동복지센터는 각 분야의 자원봉사자를 모십니다. http://www.seoul.go.kr/org/organ/center/childwelp/lovely_hand/4273_index.html
현재의 자원봉사자는 아동 급식 보조, 청소, 목욕, 옷정리 등부터 시작하여 음악, 미술, 영어, 놀이지도 등 아동의 교육분야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저희 아동복지세터에 보호되어 있는 아이들은 보통 3세부터 18세까지 다양한연령층을 이루고 있으며, 아동의 수준별 다양한 프로그램 지도가 필요합니다.

레크레이션이나, 학습지도 또는 특정 분야에서 자원봉사를 원하시는 분은 서울시 자원봉사센터(http://volunteer.seoul.go.kr) 에서 신청하여주십시오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 (135-220)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산4-1번지(대표전화 : 02- 3412-4030~4)
서울특별시청 : (100-744)서울시 중구 을지로1(태평로 1가 31), 대표안내전화(02) 731-6114 

 

http://volunteer.seoul.go.kr/home/under/volunteer_under.html
볼런티어(volunteer)란 용어는 선진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사회복지 이외의 분야에서는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채, 자원봉사자(volunteer) 혹은 자원봉사활동(volunteering)이라고 같은 뜻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는 자유의지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Voluntas에서 유래되었고, 자원봉사자라는 영어 단어 Volunteer는 라틴어 volo(의지)에서 나왔습니다. 즉, 자원봉사자란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사회봉사를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한자어로는 "스스로 자-自, 원할 원-願, 받들 봉-奉, 섬길 사-仕"라고 하여 "스스로 원하여 받들고 섬긴다"라는 뜻으로 역시 자발적인 의지로 남을 돕는 것을 말합니다.


 
 
 
 
자원봉사의 역사는 인류역사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성인과 종교의 창시자들은 자원봉사자였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4300여년전 이집트인들의 무덤에 자선행위가 동양에서도 중국의 전설적인 오제시절에 자선에 관한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희랍에는 개인의 고통을 덜어주는 일보다 사회문제의 답을 사회개혁에서 찾으려 했고 그래서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박애주의(Philanthropy)가 발달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신은 로마에서도 계속되어 공공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법이 기원전 150년경부터 있었고, 그러다가 기독교가 공인된 후 기독교의 자선 정신의 영향과 구원의 수단으로서 자선활동이 장려되면서 자선이라는 말이 박애를 포함한 형태로 산업혁명때까지 전해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19세기 후반기 미국에서부터 자선이 박애와 자원봉사로 분리되어 박애는 부유한 남성들이 주로 공익사업을, 자원봉사는 시간적으로 여유 있는 부인들이 어려운 사람들을 직접 돕는 활동으로 정착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일어난 영국에서부터 갖가지 자선기관, 자원봉사단체들이 설립되었으나 곧 많은 기능들이 국가에 의해서 실시되어서 자선과 자원봉사는 오히려 신대륙에서 더 발전하였습니다. 특히 복지 기능면에서 영국을 비롯한 구대륙 국가들(독일, 프랑스,이탈리아 등)은 국가의 역할이 거의 절대적인 만큼 커졌으나 신대륙(미국.캐나다)에서는 국가의 힘이 복지에 미치기 이전에, 사람들은 살길을 찾아 공동체를 형성했고 상호협력과 공동체를 위한 자원봉사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는 공익을 목적으로 삼는 민간단체들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고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욕구도 다양화되어 전문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자원봉사자를 수요처에 연결시켜주고 교육, 훈련, 상담, 홍보 등을 맡는 기록상 최초의 자원봉사센터가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20년 미네아폴리스시에서 자원봉사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각처에서 센터 또는 사무소가 생겼고 1950년대에 이러한 센터들이 연합회가, 1960년에는 자원봉사 전문조정자들의 모임이, 그리고 1970년에는 세계자원봉사협회(IAVE)가, 1984년에는 자원봉사전국센터, 1990년에는 촛불재단(자원봉사 전국센터와 1991년 통합)이 설립되어 미국의 자원봉사활동이 확산되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이 되는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발성
자원봉사활동은 타인의 강요나 억압에 의한 것이 아닌 사회와 이웃의 문제를 자신의 일을 받아들여 자신의 의지로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자발적인 의지에서 비롯한 자유스런 활동이어야 합니다.


무보수성
자원봉사의 대가로 정신적인 보람과 만족 외에는 아무런 경제적 보상이나 어떠한 대가도 바라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교통비나 식비 정도를 제공하는 기관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의 정신은 무보수성이라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이타성
자신의 이익이나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닌 타인을 존중하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이타주의적 정신에서 비롯됩니다.


계속성
충동적 활동으로 한두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계속되고 계획된 활동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봉사를 실천하는 활동이어야 합니다.


복지성
개인의 자아실현뿐 아니라 어려움에 처한 이웃에게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이바지하며, 더 나아가서는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자아실현성
남을 위한 봉사인 동시에 봉사자 스스로도 심리적 만족감, 성취감, 개인적, 전문적 성장의 기회, 새로운 기술 또는 경험의 습득 등과 같은 심리적 보상을 얻게 됩니다. 또한 자신에 대한 가능성과 잠재능력을 발견함으로써 만족감, 성취감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다양한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인격적 성장이 이루어집니다.


조직성
자원봉사의 효율성을 위해 활동에 필요한 교육을 한 후 적합한 곳에 배치하고, 필요한 인력과 재원을 마련하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필요합니다.


교육성
자원봉사활동은 체험학습인 동시에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는 복지교육과 민주시민으로서의 바람직한 역할과 자세를 배우는 시민교육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함과 동시에 자신의 관심분야에 전문성을 지니게 됩니다.


민주성
참여를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활동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능력과 개성이 발휘되도록 해야 하며 서로의 의견을 절충하여 공동의 목표를 이루어내는 민주적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사회적 측면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생각해 볼 때 복지국가 건설과 사회문제 예방에 있습니다. 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노력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데 전근대적인 형태로는 상호부조, 박애사업 등을 들 수 있고, 현대적 형태로는 사회보험, 공적부조, 사회복지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보장제도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적 형태인 사회보장 제도만으로는 다발적이고 편재적인 사회문제를 해결, 예방하기란 어렵습니다. 그것은 국가의 노력, 사회의 노력 및 사회구성원인 개개인의 노력이 하나로 뭉쳐질 때 가능한 것이고, 여기에서 개개인의 노력은 개인의 복지는 물론 이웃에 대한 복지, 더 나아가 사회, 국가의 복지 사회에 핵이 되며 주춧돌이 되는 것입니다.


수요기관 측면
자원봉사자들은 기관의 서비스와 기관 직원의 업무를 확대시키는 중요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이 있음으로 해서 기관 직원들은 보다 긴급한 업무 또는 그들의 전문적 탁월성을 요구하는 업무를 자유로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관 측에서는 서비스의 범위를 기관직원의 관심과 기술을 초월하여 확대시킬 수 있고 새로운 대상자에게까지 확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관직원과 자원봉사자는 상호 의존성과 보완성을 갖는 관계에 있는데 현재와 같이 기관직원이 부족한 실정에서 자원봉사들의 활동은 기관 및 기관직원의 서비스를 풍부하게 하며, 보조한다는데 필요성이 있습니다.


자원봉사자 개인 측면
- 자원봉사는 우선 마음의 평화, 자기 존엄성, 지역사회 존중의 감정을 가져다 줍니다, 즉 동료들 사이
  에 긍지 내지 위치를 확인하게 되어 마음의 안정을 찾고 이를 통해서 자아를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 자원봉사는 일을 성공적으로 처리한 후에 얻는 성취감으로부터 자신감과 즐거움을 맛보게 됩니다.
- 자원봉사는 인간이 무언가 가치 있는 부분에 소속되고 남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며, 사회에 의해 높이
  평가받는 한 부분이 되고자 하는 인간의 내적 욕구를 충족시켜 줍니다.
- 자원봉사는 개인을 활동적이고 유용하게 성장하도록 유지시키며, 새로운 삶의 목적을 제시하기 때문
  에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가져다 줍니다.
- 자원봉사는 많은 레크레이션 가치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즉 개인적인 안정감을 증진시키면서도 권태,
  단조로움, 외로움을 떨쳐버리게 합니다.
 
 
  100 - 110 서울시 중구 덕수궁길 15(서소문동 37번지) 서울시청별관 2동 1층 서울시자원봉사센터
    TEL (02)3707-8326~8 FAX (02)3707-8329  E-mail : volunteer@seoul.go.kr


 

시민단체를 흔히 NGO라고 하죠
NGO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NGO는 Non Government Organization의 약자 입니다.
비정부기구라는뜻이죠.

 

 

국제비정부기구 [ 國際非政府機構 ,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
국제연합(UN)에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

설립연도 : 1946년
목적 : 국제연합에 여론 반영
주요활동 : 환경·인권·빈곤추방·부패방지 관련 활동을 전세계적으로 전개, 유엔총회에서 결의한 내용에 관한 자문과 프로그램 제작
가입국가 : 세계 1600여 민간단체


엔지오(NGO) 또는 비정부기구라고도 한다. 개인이나 민간단체가 연합하여 국제적 기관을 조직한 INGO(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비정부간국제기구)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국제연합헌장에 따라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의 자문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국제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운영된다. 하나는 정부 차원의 활동으로 각 나라가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연합총회와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 국제연합신탁통치이사회 등을 통해 세계 문제를 해결한다. 다른 하나는 민간단체 차원의 활동으로 세계 여러 종교단체를 비롯한 민간단체들이 결속한 비정부기구가 국제연합 총회에서 결의된 사항들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UN을 보조한다.

1945년 국제연합이 창설된 당시부터 42개 비정부기구는 국제연합에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참신한 기획과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해마다 국제연합총회에서 결의되는 내용을 의뢰받아 자문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또 UN 사무국장 주최로 UN 임원진과 정기적으로 만나 국제연합총회 안건과 비정부기구의 정책에 대해 논의하며, 건의사항을 제안한다.

국제적으로 대중의 연대가 활발해짐에 따라 인권·환경·빈곤추방·부패방지 등의 문제에서 임무를 다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2001년 현재 세계 1600여 민간단체가 가입하였으며,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다.

국내 NGO는 약 500여개 이상이 활동하고
국내 활동중인 NGO를 알수 있는 곳은 http://www.ngoleaders.co.kr/ngo.asp


또 이외의 다른 ngo 사이트는 http://ngo.ww.or.kr/

로 가시면 (NGO의 국내외 사이트)
또 관련 사이트로는 http://www.worldngo.net

백과사전에는

국제비정부기구 민간단체가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비정부 국제 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 으로 국제연합(UN)에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를 말한다.

1946년에 UN에 여론을 반영키 위해 만들어진 엔지오는

 환경, 인권, 빈곤추방, 부패방지 관련 활동을 세계 1600여 민간단체가

전세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엔지오(NGO) 또는 비정부기구라고도 한다.

개인이나 민간단체가 연합하여

국제적 기관을 조직한 INGO(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비정부간국제기구)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국제연합헌장에 따라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의 자문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

국제비정부기구-國際非政府機構

국제연합(UN)에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
설립연도 : 1946년
목적 : 국제연합에 여론 반영
주요활동 : 환경·인권·빈곤추방·부패방지 관련 활동을 전세계적으로 전개, 유엔총회에서 결의한 내용에 관한 자문과 프로그램 제작
가입국가 : 세계 1600여 민간단체
본부소재지 : 미국 뉴욕

국제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운영된다.

하나는 정부 차원의 활동으로 각 나라가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연합총회와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 국제연합신탁통치이사회 등을 통해 세계 문제를 해결한다. 다른 하나는 민간단체 차원의 활동으로 세계 여러 종교단체를 비롯한 민간단체들이 결속한 비정부기구가 국제연합 총회에서 결의된 사항들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UN을 보조한다.
1945년 국제연합이 창설된 당시부터 42개 비정부기구는 국제연합에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참신한 기획과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해마다 국제연합총회에서 결의되는 내용을 의뢰받아 자문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또 UN 사무국장 주최로 UN 임원진과 정기적으로 만나 국제연합총회 안건과 비정부기구의 정책에 대해 논의하며, 건의사항을 제안한다.
국제적으로 대중의 연대가 활발해짐에 따라 인권·환경·빈곤추방·부패방지 등의 문제에서 임무를 다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2001년 현재 세계 1600여 민간단체가 가입하였으며,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다.


--------------------------------------------------------------------------------------------

(1)인권일반

Amnesty International -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인권단체 중의 하나. 인권 일반에 관한 문제 뿐만 아니라 양심수 문제와 정치범의 인권, 사형제도 폐지와 죄수에 대한 인권 보장을 등의 문제를 다루며 정치적인 차원에서의 인권탄압에 반대한다.

Canadian Human Rights Foundation - 캐나다와 전 세계에서 교육을 통해 인권을 보호하고 신장하기 위한 활동을 하는 단체. 주요 활동은 연례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부 유럽을 비롯한 개발 도상국에서 교육을 통한 인권 시장에 힘쓰고 있다.
Right International - 이 단체는 개인의 인권을 침해한 각국 정부들을 국제 법정에 고소하는 일을 한다. 고문, 검열, 공권력 남용, 실종 및 인종적, 성적, 종교적 차별 등 다양한 인권 관련 이슈들에 대해 법률적 소송을 제기한다.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 미국내 정치적 탄압, 범죄 정의 구축, 사이버상의 사생활 침해 문제, 사형문제 등을 다루는 단체. 그밖에 장애인 인권, 마약문제, 이성애자 권리, 복제 문제, 태러 대응문제 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음

Human Rights Watch - 전세계인의 인권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 정치적 자유, 전시 인권문제, 범죄자 인권 보호 등과 관련된 활동을 벌이고 있다.

Minority Rights Group - 전세계의 인종적, 종교적, 언어적 소수민족과 토착민의 권리 보장과 공동체간의 협력과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 소수민족과 토착민의 인권에 관한 광범위한 문제를 담고 있는 보고서, 훈련 안내서, 요약논문, 워크숍 책자 등을 발행한다

Asian Human Rights Commission - 아시아 지역 인권 실태를 파악하고, 인권 침해로 인한 피해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아시아와 국제적인 여론을 조성하는 활동을 한다. 시민적 정치적 자유 및 경제, 사회, 문화적 자유 증진을 도모한다.

Asia-Pacific Human Rights Information Center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인권 증진을 도모하는 단체. 아-태 지역의 인권 정보 교류의 중심점이 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Human Rights Education Associates - 자체 교육프로그램과 온라인기술들을 통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 활동가와 전문가들에 관한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있는 국제적인 인권교육단체이다.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Group - 인권보호와 신장을 위한 단체이자, 전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인권에 관한 법률적인 지원을 해주고 있다.

Asian Human Rights Commission(AHRC) - 아시아에서의 인권활동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1986년에 설립된 단체이다. 아시아지역에서의 인권에 대해 좀더 많은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일하고 있는 독립적인 단체이다.

Egyptian Organization for Human Rights -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가 인권과 자유라는 가치에 부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단체이다.

Human Rights Without Fronties - 민주주의를 신장시키고, 전세계 어느 곳에 있는 개인이든 - 여성, 남성, 어린이 등 - 그들의 권리에 관한 법적인 원칙들을 지켜나가고자 활동하고 있는 독립적인 운동.

Lawyers Committee for Human Rights (LCHR) - 1978년부터 미국에서 일해온 이 단체는 인류의 정의와 인권들의 실현을 위해 법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이슈화시켜왔다. 지역에서 가장 근본적인 개인의 인권을 위해 일하고 있는 활동가들을 지원하고 있다.

(2)인종문제

Artists Against Racism -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대중문화예술인들의 모임, 대중예술인들의 모임인만큼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과 홍보에 집중하고 있다.

Internet Centre Anti-Racism Europe -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인권 단체로, 인권 기준의 신장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인종차별을 반대하는 이들에 의해 조직되고 유지되는 네트워크이다.

American Anti-Slavery Group - 전 세계의 노예제에 반대하여 설립된 단체로 노예제에 대한 언론의 침묵 관행을 깨뜨리고 45000명 이상의 노예들을 해방시켰다. 노예제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인권문제임을 알리고, 강력한 반 노예제 운동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Anti-Slavery International - 1839년에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권 단체로 영국에서 유일하게 노예제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는 단이다. 각국 정부에 노예제 폐지 및 부작용을 해소할 것에 대해 압력을 행사하고 로비 활동을 펼친다. 또한 노예제의 현실에 대한 조사를 지원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한다.

Free The Slaves - 현대적 형태의 노예제를 근절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는 단체. 반-노예제 풀뿌리 단체에 대한 지원, 노예제의 현실에 대한 홍보, 노예제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품 소비 유도를 위한 정보 제공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 이 단체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미국 내 흑인 및 기타 소수 민족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다. 차세대 지도자를 육성하기 위한 학교 내 활동을 장려하고, 흑인들의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Coalition to Abolish Slavery and Trafficking - 현대사회에서의 노예제를 근절하기 위한 비영리서비스제공자, 풀뿌리행동주의자들의 연합체이다. 1998년 설립되었다.

European Network Against Racism - EU 회원국 내의 인종차별 문제 해결을 위한 유럽 비정부 단체들의 네트워트 조직이다.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에 반대하고 유럽 이민정책에서 인종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며, 문화적, 민족적, 인종적 다양성을 고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감옥문제/사형제도

The Tennessee Coalition to Abolish State Killing--TCASK - 사형제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여 사형 제도를 폐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형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홍보 및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Death Penalty Focus - DPF는 사형폐지 운동을 위해 1998년에 설립된 캘리포니아에 본부를 둔 비영리 기구이다. 사형반대를 지지하는 풀뿌리 조직을 꾸리고, 사형에 대한 조사와 연구 작업을 통한 정보를 공유한다. 계간으로 [파수꾼]이란 소식지를 발행해 캘리포니아와 미국 및 국제적인 사형사건에 대한 소식을 전하고 있다.

World Organisation Against Torture(OCMT) - 고문에 반대하는 세계 기구(OMCT)는 오늘날 고문과 사형, 실종 그리고 모든 형태의 잔인성에 대항하여 싸우는 비 정부 조직의 가장 큰 국제적인 연합이며, 인간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처우를 담당하고 있다.

Prison Moratorium Project - Prison Moratorium Project 는 정치적인 교육과 파트너 쉽에 기초한 공동체, 초창기의 단체, 감옥에 대한 운동을 하는 활동가를 훈련시키는 것 그리고 캠페인과 직접적인 활동을 통하여 Prison Industrial Complex 에 대항하고 저항하는 단체이다.

Campaign to End the Death Penalty - 사형제도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모임. 각 국가 및 지역 지부들이 공동으로 제작/운영하는 사형제도 관련 사이트

Catholics Against Capital Punishment (CACP) - 오늘날 세계에서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처벌제도에 대해 시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1992년 설립된 단체

National Coalition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 사형제도 폐지를 위해 시민 단체로 1976년에 설립되었다. 이 기관은 정보 제공, 사형제도 폐지, 개개인 협조 업무 등의 업무를 보고 있다. 사형제도는 모든 사람들의 삶의 가치를 하락 시키는 길이라 믿고 있다.

(4)아동인권

(Kids Can) Free the Children International - 전 세계 아이들을 가난과 착취로부터 보호하고, 아이들에게 발언권과 통솔력 훈련, 그리고 지역적인 작은 것에서부터 국제적인 수준까지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슈에 대해 스스로가 사고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일을 하고 있는 단체.

ECPAT International - 아동 매매춘, 아동 포르노그라피, 기타 성적인 목적의 아동 학대에 반대하는 단체와 개인들의 네트워크 조직. 전세계 모든 아동이 성적 상업적 착취에서 벗어나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한다.

Children's Defense Fund - 아동들 인생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5가지 출발 - 건강한 출발(정신적으로+육체적으로), Head start(학업의 출발), 공평한 출발(재정적으로), 안전한 출발(학대 없이), 도덕적인 출발(올바른 인격체로 자랄 수 있도록)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

Childwatch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 세계 아동 관련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와 같은 성향을 띈다. 6대주의 다양한 나라들의 아동관련인권단체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기도 하다. 아동인권의 실태를 조사한 자료를 제공한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아동인권에 대한 시민활동을 벌이기에는 적절한 단체가 아니다

Save the Children Federation - 세계 아동들의 안전하고 풍요로운 삶과 건강을 위해 1932년에 설립된 단체로 아프리카,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Children's Defense Foundation - 아동들이 방치되지 않고 편안한 가정과 공동체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이 설립한 단체로, 특히 저소득 층, 소외 계층의 아동들의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진다.

National Center for Missing and Exploited Children - 부모들과, 아동, 학교, 공동체가 실종된 아동을 찾는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설립된 단체로, 미아 방지, 아동의 학대 및 성적 착취를 예방하기 위한 대중의 의식을 고취시키는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American Indian Children Hunger Fund - 이 조직은 특히 북미와 중미 인디언 어린이들의 생존과 관련해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세워졌다.

Education and Vigilance Network (anti-racism) - 인종차별주의를 반대하는 단체 및 기사들을 모아 놓은 웹사이트임.

Child Rights Information Network (CRIN) - 세계의 모든 아동들이 차별없이 가져야 할 4개의 기본 권리를 정하고 정해진 권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자료들을 마련해 두었다.

(5)여성운동

Equality NOW : 소녀들과 여성들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시민적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인권조직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의 근절을 위해 일하고 있다.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 가장 큰 페미니스트 단체이다. 1966년에 창설된 이래 NOW의 가장 큰 목표는 여성 권리 신장을 위하여 모든 여성의 평등함을 실현시키기 위한 행동을 하는 것이었다.

Coalition Against Trafficking in Women -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한 단체.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성적 착취에 대항하여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아동과 청소면, 성인여성의 매춘과 인신매매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하고 있다.

Global Fund For Women - 여성에게 경제적 기회와 독립, 교육을 지원하고, 여성폭력을 근절하며, 여성의 정치참여를 강화하는 등 여성이슈를 다루는 미국 밖의 여성 인권 단체를 홍보, 지지, 강화하기 위해 보조금을 조성한다.

Feminist Majority Foundation -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연구 및 활동을 함. 여성의 법적 사회적, 정치적 평등에 중심을 둔 연구 및 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함.

Global Alliance Against Traffic in Women - 인신 매매된 사람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권위와 대리인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활동하는 단체. 인신매매에 대항하는 일에 여성의 참여를 장려하고 여성들을 희생자로서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힘을 주기 위해서 활동한다.

ISIS International - 여성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페미니스트 시민단체. 여성의 권리를 신장하고 리더십을 함양하며, 아-태 지역 여성들에게 힘을 실어 주기 위한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eminists for Life - 실제 생활 속에서 페미니스트들을 삶을 보여 주고 있다

Inter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Women ( ICRW ) - 여성연구를 위한 국제센타는 1976년 설립된 민간 비영리 조직으로 인도의 사무실과 함께 워싱턴 D.C.에 기반을 두고 있다.

International Womens Rights Action Watch (IWRAW) - 국제여권실행감시(IWRAW)는 1985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국제여성회의에서 조직된 단체로, 1979년 유엔에 의해 채택된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제거를 위해 만들어진 협약(CEDAW Convention)이 실행되는지를 감시한다.

Woman of Action and Vision - 이단체의 주요활동은 신념을 기반으로 한 활동은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원동력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활동가들을 후원하고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있음.

The Women's Foundation (TWF) - 여성과 소녀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재단이다.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정의라는 환경에 여성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6)동성애자인권

Campaign to End Homophobia - 본 사이트는 동성애자들을 혐오하는 인식들에 대해 그것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비영리 법인입니다.

The Lesbian and Gay Immigration Rights Task Force (LGIRTF) - 널리 퍼진 인종차별에 관한 영향에 대항하는 이민자(이주자)와 변호사 그리고 다른 활동가 등의 연결집단이다. 레즈비언,게이 , HIV를 가진 사람들의 삶에 벌률적인 서비스와 정보,지지 등을 보내줌으로서 그들에게 그들의 권리를 주장하도록 돕는다.

National Gay and Lesbian Task Force - 전국 게이와 레즈비언 특별 위원회. 강력한 정치적 활동을 통하여 게이, 레즈비언, 양성, 성전환자들의 인권을 옹호하기 위한 진보적인 전국 기구

National Youth Advocacy Coalition - 젊은 레즈비언이나 게이, 혹은 양성연애자나 성전환수술을 받은 젊은이들을 위한, 이들과 함꼐하는 사회정의 단체임. 이 단체는 이러한 젊은이들에 대한 차별을 종식시키고 이들의 정신적 감성적 치유를 위해 노력하는 단체이기도 함

THE INTERNATIONAL LESBIAN AND GAY ASSOCIATION - 레즈비언,게이,동성애자, 트랜스젠더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차별로부터 그들의 생활을 보호하고 존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7)장애우인권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 미국 시각장애인 협회(The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는 1921년 이후 줄곧 (헬렌 켈러는 40년 이상 그녀의 삶을 이단체에 헌신했습니다.) 시각장애인들이 그들의 잠재력과 비전을 실현시키기 위해 걸림돌이 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Computers to Help People - 장애를 가진 60%이상의 사람들이 실직한 상태이다. 이 단체는 이런 막대한 인간자원의 낭비를 기술점자센터(TBC)와 원조기술센터(ATC)를 통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고용하기 위해 일한다.

Disability Assistance of Central Texas - 이 단체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느끼는 소외감을 감소시키고, 공동체로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각 개인의 목적 달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Disability Rights Education and Defense Fund - DREDF 는 먼저 장애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관이다.

Hellen Keller International - 헬렌 켈러 기관은 직접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눈의 장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눈이 먼 사람들을 위해 복지 혜택을 제공하며 눈을 멀게 하는 원인이 되는 micronutrient
malnutrition을 줄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8)평화/전쟁반대

Veterans For Peace - 2차 세계대전, 한국전, 베트남 전, 걸프전 등에 참전한 사람들을 포함하고 있는 반전, 평화 단체.

Peace Action - 핵무기의 폐지를 위해 활동하는 단체. 평화적인 방법의 경제활동과 전 세계적인 무기 매매를 종식시키고 국가 간의 갈등 해결에 비군사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활동함

Abolition 2000 - 핵 확산 방지 및 핵무기 제거를 위하여 90개국 2000여개의 단체가 협력하여 만든 조직. 핵무기 제거를 위한 국제적인 조약을 체결시키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 대량 살상 무기와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바라며 활동하는 단체. 모든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가는 핵무기를 없애는데 대한 힘을 쏟고, (법의 국제적 룰을 촉진하고,) 교육과 운동을 통한 평화의 유지를 위해 활동한다

International Physicians for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 - 60개국 이상의 보건 관련 단체들의 연합체로 핵무기 제거, 무기 거래 금지, 군비 축소를 통한 시민들의 보건 복지 향상, 친환경적 개발 등을 위해 활동한다.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 전 세계의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로. 199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지뢰 제거를 위한 조약 체결 활동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지뢰로 인한 희생자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Peace Brigades International - 인권을 보호하고 분쟁의 비폭력적 해결을 주장하는 단체. 이 단체는 분쟁 지역에 자원봉사자들을 파견해 평화적 해결을 돕는다. 자원봉사자들은 정치적 폭력에 의해 위협받고있는 인권수호자들이나 단체들과 함께 일한다.

International A.N.S.W.E.R - 전쟁과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는 단체. 현재 미국의 이라크전에 반대하여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National Youth and Students Peace Coalition - 평화를 수호하는 젊은이와 학생 전국 연합회 / 최근 부시의 테러와의 전쟁과 관련하여 연합회는 미국의 군사적 행동에 대해 반대하고 대외정책에 있어 경제 사회적 정의 실현에 앞장 설 것을 주장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 Nuclear Age Peace Foundationf 은 대량 살상 무기기 없고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바라며 그에 힘쓰고 있는 단체이다.

Peace United - 평화연합(Peace United)은 인권과 사회의식을 위한 단체이다. 단체의 목적은 박애주의적 실천을 통해 불행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재정적 도움을 주고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Science for Peace - 평화를 위한 과학은 자선단체이고 법인조직이며, 약 40여 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있다. 이 단체는 자연과학자, 공학자, 사회과학자, 등의 학자들과 평범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평화와 정의 그리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만들기에 관심이 있는 교수, 대학원생, 대학생이 한데 모여 만든 캐나다의 조직이다.

The Peace and Justice Studies Association (PJSA) - 평화와 정의 연합(PJSA)은 평화 연구, 교육 및 개발 협회(COPRED)와 평화 연구 연합(PSA)의 합병으로 새로이 생겨난 단체이다.

War Child - War Child는 전쟁으로 인해 고통받은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독립적인 단체들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WarWidows International Peace Alliance - 전쟁미망인국제평화연대(WIPA)는 전쟁에 의해 심오한 영향을 받은 여성들의 목소리를 확대하여 들려주고 그를 통해 무장분쟁을 종결하고 조화를 이루며 세계의 평화를 이루고자 한다.

(9)원조/구호/기아

World Vision - 세계적으로 앞장서고 있는 구원과 발전 기관들중 하나이다. 거의 100개의 나라에서 75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가난과 기아, 부정에 대항해서 싸우고 있는 기독교 단체이다.

NetAid.org - 전 세계 빈곤을 퇴치를 위하여 지원할 수 있는 선진국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활동하는 단체. 2000 9월. 세계 정상들이 2015년까지 해결하기로 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Food for the Hungry International (FHI) - 극심한 가난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노력으로 삶의 구제하고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는데 역점을 두고 있는 국제단체

Catholic Fund for Overseas Development - 1962년부터 제 3세계의 빈곤을 타파하기 위해 일해온 영국의 자선 단체이다. 이 단체는 모든 개개인은 존경과 존귀함을 가질 자격이 있다 생각하며 세상이 있는 모든 자원은 인종과 국가와 종교를 뛰어 넘어 남녀노소가 똑같이 누릴 수 있는 선물이라 생각한다.

Food for the Poors(FFP) -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식량(FFP)는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의 극빈자들을 돕는 것을 목표로 1982년에 세워진 단체이다. 이 지역민들의 건강, 경제, 사회, 정신적 상황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동한다.

Oxfam International - Oxfam International 은 세계의 만연되어 있는 기아, 불평등, 고통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80개가 넘는 나라에서 같이 협력하여 12개의 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는 단체이다.

Share Our Strength (SOS) - Share Our Strength은 미국에서도 유명한 기아 및 가난에 반대하는 단체임. 이단체는 1984년 캐피톨 힐에 위치한 가난한 집의 지하에서 시작되었음. 현재, 이단체는 저임금 가정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의 추진, 디너 개최, 음식 및 영양학강의등을 다양한 활동을 함.

(10)노동일반

Labornet - 노동운동 안에서 민주적인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설립된 온라인 네트워크. 캐나다,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한국에도 형성이 되어있다.

Labour and Society International - 20년 동안 영국에서 발전한 노동조합 교육의 전문가적 경험을 이용하여, 개발도상국과 과도기에 처해 있는 나라의 조합을 지원하는 단체

The International Labor Rights Fund -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로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어린이 노동 및 강제노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필요에 따라 노동계와 정부, 기업 등과 적절히 연대하여 활동을 벌인다.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 노동자들의 연합체로, 사업장에서 새로운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원한다. 산업 노동자들의 커다란 조직체 구성을 목표로 하며, 노동자들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United Farm Workers of America - 농업 노동자들이 보다 나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라틴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다.

IL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은 사회 정의와 국제적으로 인식된 인권 및 노동권의 증진을 위한 국제연합의 전문 기관이다. 그것은 1919년에 창립되었고, 존재로 League of Nations를 가져 왔던 베르사유의 조약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주요 산물이며. 1946년에 UN의 첫 번째 전문 기관이 되었다.

Labour Start - 노동운동에 관한 전세계의 소식들을 알려주는 인터넷 독립미디어

Working Today - 노동운동에 관한 독립미디어

(11)노동착취감시

Sweatshop Watch - 노동 착취에 반대하는 여러 단체들이 참여하여 만든 연합 단체이다. 노동자들이 보다 낳은 환경에서 일하며 최소한의 임금 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착취 현장을 감시한다.

Clean Clothes Campaign - 1990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스웨트샵(노동착취공장)에서 만드는 옷을 입지 말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운동이다. 독일과 영국 등 10개 국가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 캠페인은 의류산업에서의 노동자들의 권리와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일을 하고 있다.

United Students Against Sweatshop(USAS) - 200개 캠퍼스의 학생과 커뮤니티 멤버로 구성된 기구.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원하고 기업 권력에 대항하는 운동을 펼친다. 캠퍼스내에서 이루어지는 국제적인 학생들의 운동으로 노동력을 착취하는 기업의 권력과 노동환경 개선에 앞장 섬.

Campaign for Labour Rights - 노동 권리들을 위한 캠페인, 노동 착취 공장들안에서 노동 권리들을 위한 캠페인이 노동자들의 투쟁들을 전공하는 노동 단체입니다.

Child Labor Coalition - The Child Labor Coalition (CLC) 은 성, 인종, 국적, 종교, 경제상황, 거주지 등에 관계없이 어린이 노동력 착취는 근절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 - 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은 전세계적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에 의해 느껴진 희망과 필요에 의해 태어난 운동이다.

The UK Campaign Against Sweatshop - 노동착취에 반대하는 영국에서의 캠페인

The NIKE Watch Campaign - 나이키사의 개발도상국에서의 노동착취에 대해 폭로하고 이러한 점을 시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사이트

(12)세계화

World Society Forum - 세계화에 반대하고 자본의 지배 혹은 제국주의적인 경제 지배 등에 반대한 시민 사회 단체들이 공개적으로 토론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

Jubilee 2000 - 국제 부채와 재정 등에 관련한 저명하고 급진적인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하고, 100% 회수 불가능한 개발국가의 부채에 대한 탕감들을 주장하는 단체.

ATTAC - 자본시장의 민주적인 조정을 주장하고, 신 자유주의에 반대하며 보다 효과적인 정보의 교류를 위해 활동하는 단체로 전세계 35개국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다.

Global Exchange - 세계적으로 정치, 사회, 환경의 정의를 증진시키는데 이바지하는 비영리 국제 인권 단체이다. 전세계에서의 협력을 형성하면서 미국 대중 사이에 세계적인 인식을 늘리기 위해 일하고 있다.

Just Act - 학생들과 젊은이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등과 보존 및 자기-보존적인 지역사회를 구축을 위한 시민운동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회 및 경제적 정의를 구현하고자 하는 단체

International Forum on Globalization - 세계화의 경제적 효과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를 제공함으로써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 내고, 세계화에 반하여 지역 경제를 회생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보다 긴 안목에서 생태적 안정을 확보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단체.

WTO Action - WTO 체제에 반대하고 그 활동을 감시하는 단체

Global Trade Watch - 세계화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책임을 촉구하기 위해 1995년 시작된 퍼블릭시티즌의 캠페인이다.

Alliance for Responsible Trade - 지속가능한 개발과 무역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동, 가족농, 여성환경, 개발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조직들의 연합체이다.

(13유권자권리/의회감시

Committee for the Study of the American Electorate - 기관의 주요 활동 목표는 시민의 정치 참여에 대한 이슈에 관한 연구성과를 내는 것이다. 주요 주제는 등록법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선거운동의 홍보, 선거운동의 재정, 미디어가 정치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 등

Common Cause - 열려있는 정부, 정직하고 믿을 수 있는 정부를 만들기 위해 설립된 시민들의 로비 단체이다. 정부의 부패와 특혜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목소리 대변하는 단체. 정치 자금 흐름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도 제공한다.

League of Women Voters - 정보화되고 적극적인 시민의 정치참여를 고무하고 주요한 공공정책 이슈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교육과 지원활동을 통해 공공정책에 영향을 준다. 여성유권자들의 의회감시운동

Public Campaign - 미국 선거에서 특정한 이익을 바라는 자금의 역할이 주는 것과 미국 정치에서의 거대 기부자들의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혁을 전파하는데 힘쏟고 있다.

League of Conservation Voters - 환경과 관련한 이슈에 대해 정치적인 목소리를 내고 친 환경적 의회 구성을 위한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는 단체. 환경 관련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의회감시를 하고 있다.

The Center for Responsive Politics - 정치자금을 추적하고 그것이 선거와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컴퓨터를 활용해서 선거운동자금관련 문제를 연구해 언론, 연구자, 학자, 활동가들과 일반인에게 제공한다.

Electoral Reform Society - 정치인, 정당, 의사 결정자에 대한 로비, 서적과 리플렛 발행, 학교, 대학, 일반대중을 위한 선거교육프로그램 운영, 강의와 세미나 개최, 선거에 있어 분석과 조언, 선거와 선거과정에 대한 질문에 반응하는 정보서비스 제공 등의 활동을 하는 단체.

Charter88 - Charter88은 아무런 당파성을 표방하지 않는 독자적 조직이다. 이들은 영국 정치 개혁의 가능성을 믿는 8만 이상의 후원자를 갖고 있다고 한다. 챠터88은 국민이 그들이 통치받고 싶은 방식이나 국민을 위한 정책에 대해 얼마든지 말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Congressional Accountability Project - 미 의회의 부패에 맞서 싸우는 단체이다. 의원의 윤리성과 정치 자금의 투명성을 세우기 위한 감시와 비판을 한다. 의원들의 급여나 수당성 특전에 대한 조사에서부터 의원 개개인이 지위를 이용해 저지른 비리나 이권개입 사건에 대한 수사 요청까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책임있는 의원상을 만들고자 한다.

Democracy Net - Democracy Net(DNet)은 투표자의 정보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고 보다 교육받은 선거인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쌍방향 웹사이트입니다

Project Vote Smart - 현명한 투표 프로젝트(Project Vote Smart)는 정치개혁과 시민참여를 위해 조직된 단체다. 전직 대통령들과 상원의원들이 미국적 가치로의 자유를 주창하며 이를 통한 미국의 번영을 지속해나가기 위한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설득한다.

(13)납세자권리/예산감시

Taxpayers Against Fraud - 세금의 부적절한 사용 및 청구에 대한 감시를 하고 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촉진하고 시민들, 정부 관료들이 건강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한다.

The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 예산 정책을 분석하고 예산 작성과 설립에 증진을 도모하는 비정부기구와 리서치를 도와주며 특히 진행중인 정책 논의에 유용한 리서치와 빈민 예산 정책 리서치를 원조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Green Scissors Campaign - 이 단체는 1994년부터 환경에 유해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의회와 정부의 정책 시정을 요구하는 캠페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Citizens against Government Waste - 연방 정부의 재정적 낭비, 관리 부실, 비효율성에 대한 감시를 하는 단체

National Taxpayers Union - 미국 의회에서 국민이 낸 세금, 즉 예산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있는 단체들간의 연합체

Americans for Fair Taxation - 미국의 세금제도 안에서 납세자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이고, 정부는 예산을 어떻게 운영하는게 가장 좋은지를 연구하는 조직이다.

Government Accountability Project - 내부고발를 활성화하고 내부고발자를 보호함으로써 부패를 근절하는 운동을 하고 있는 단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교육하고 있다.

Project on Government Oversight - 에너지와 환경 분야에 있어서 예산의 사용과 낭비를 감시하는 조직이다. 기본적으로 정부기관의 일을 감시하는 일을 한다.

Taxpayers for Common Sense - 미국 납세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조직이다. 시민들이 살아가는데 좀더 책임있고, 효율적인 정부의 운영을 위해 정부의 예산낭비에 대해 감시하고 있다.

(14)소비자권리

Ethical Consumer Research Association - 기업윤리성에 관한 정보를 대중에 제공하고 기업에 대한 비판세력과 연구단체를 지원한다. 보편적 인권, 지속가능한 발전, 동물복지. 이를 지킬 수 있도록 이에 위반되는 기업활동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공개해 소비자가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National Consumers League - 소비자와 노동자들의 사회적, 경제적 권익을 규정하고 보호하는 비영리 단체. 세계의 경제시장과 노동시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현안(미성년 노동, 식품안전, 의료·의약 정보 등)에 대해 소비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활동을 주로 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비자 단체이다.

Consumer International -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소비자 관련 단체를 연결하는 단체로서, 115개국의 250개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빈민자,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소비자의 인권향상을 위해 활동한다. 주로 회원 단체를 지원하고, 소비자관련 정책에 관한 범세계적인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Consumer Union - 소비자를 위한 정보제공에 주력하고 있는 단체. 제품과 서비스, 개인 재정, 건강과 식품 영양 등 소비자가 관심있어하는 분야에 관해 편향되지 않은 조언을 하고 있다. 1936년에 설립된 이 단체는 'Consumer Reports(소비자 보고서)' 라는 이름의 정기간행물 판매수입과,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The International Baby Food Action Network - 아이들이 먹는 식품의 안전과 산모의 건강을 위해 일하고 있는 소비자단체들간의 연합조직이다. 세계 각 지역에 지부를 두고 있다.

Consumer Federation of America - 미국내의 소비자들의 권리를 신장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간의 연합체이다.

Consumers' Association of Canada - 지역별로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사회의 각 영역에서 소비자들의 권리보호를 위해 일하고 있는 캐나다 소비자단체들의 연합

European Research into Consumer Affairs (ERICA) - 유럽 각 지역에서 소비자보호를 위해 캠페인을 벌이고 연구활동을 하고 사람들에 의해 1980년에 설립된 소비자단체이다.

American Council on Consumer Interests (ACCI)

(15)환경/생태

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 반핵, 아시아 태평양 지역보존, 생물다양성, 기업의 환경에 대한 책무, 숲보호, 토지와 숲지의 정화, 토지관리, 해양보존, 강과 수자원보호등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Earthday Network - 184개국의 5000개 단체가 연합하여 만든 단체로 건강하고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환경적 문제에 대해 교육과 홍보를 통해 시민들의 인식을 높이는 활동을 한다.

Sierra Club - 환경에 관한 문제를 이슈와 지역별로 나누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관계자들에게 편지를 쓰거나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네티즌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소개한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환경단체중의 하나.

World Wide Fund - 지구환경의 보호와 생물다양성 존중, 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일하고 있는 단체들을 지원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세계적인 단체

Friends of the Earth International - 이 단체는 환경을 보호하고 손상된 환경을 복구하며, 지구의 생태학적, 문화적, 윤리학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경 보호를 위한 국민들의 참여와 민주적 결정을 증대시키고 사회경제적, 정치적 정의를 달성하며 모든 사람이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키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Center for Science and Environment - 인도의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천연 자원의 사용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 특히 각 지역의 하층민들과 여성을 대상으로 환경 보호의 당위성에 관한 교육을 강화하고, 환경 운동가를 육성하는 일을 한다.

GreenPeace - 환경의 모든 분야에 관여하고 있는 종합적인 환경 운동 단체이다. 이 단체의 목적은 생물의 다양성을 지키고, 토양/대기/해양/수질 등 모든 종류의 오염을 방지하며, 지구상에서 모든 핵 위험을 종식시키고, 평화 비무장 비폭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Rainforest Action Network - 전세계의 열대 우림을 보호하고 교육과 풀뿌리 조직, 비폭력 직접 행동을 통하여 그곳에 사는 토착민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Conservation International - 이 단체의 임무는 지구의 살아있는 자연 유산과 생태적 다양성을 보호하고 인간 사회가 자연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는 것이다.

Climate Action Network - 세계 287개 단체들이 인간의 환경 파괴로 인한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하여 연합하여 설립한 국제 조직이다.

Earth Pledge Foundation -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UNEP의 지원하에 설립된 비영리단체

Earthwatch -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과학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고 과학자들의 지도 아래 자연환경탐사에서 공중보건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The Earth Council -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명제하에 세계 정상회담 결과로 만들어진 비영리조직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 지구 생물자원의 보호에 관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분석, 편집, 제공하는 비영리, 비정부 단체이다.

(16)정보통신/인터넷

Econnect (Easy Connect) - 체코 공화국 내 다른 비영리의 조직이 전자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정보 산업에 쉽게 접근하는 것을 돕는 체코의 비영리 단체이다.

CPSR(Computer Professionals for Social Responsbility) - 컴퓨터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단체로 컴퓨터와 기술의 발전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기술의 발전만으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가정에 반대하며, 컴퓨터 관련 사회 이슈들에 대한 진단을 실시한다.

Privacy International - 증가하는 프라이버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40개국에서 백명 이상의 프라이버시 전문가와 인권조직들이 연대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만든 세계 조직이다.

Global Internet Liberty Campaign - 이 단체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우선검열제 반대, 콘텐츠 제공업자들의 책임과 데이터 제공자들 사이의 책임을 구분짓기 위한 법안 마련하기등에 관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The 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 - 이 단체는 디지털 시대에 민주적 가치와 헌법상의 자유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활동한다.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 이 단체는 디지털 시대의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기 위해 태어났다. 온라인에서의 사고와 표현의 자유, 정보와 생각을 공유할 자유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자유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잘못 입안된 법률에 대한 반대운동을 펼치고, 개인의 권리를 옹호할 수 있도록 법적 대리인으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The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 평화, 인권, 환경개발 및 보호와 관련된 개인과 그룹을 정보의 전략적 사용과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기술을 이용해 후원하기 위한 시민 사회 단체의 국제적인 네트워크이다.

Free Software Foundation - 이들은 지불된 비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일단 소프트웨어를 입수한 뒤에는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친구나 동료와 함께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자유. 소스코드를 원용해서 이를 개작할 수 있는 자유,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자유의 보장으로 공동체 발전에도 기여한다.

Electron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 미 수정헌법 1조의 표현의 자유 등에 대한 헌법적 가치와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부의 정책과 기업의 활동에 대한 공공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하는 단체이다.

 


 

 

 

 

 

시민참여연대

제 1사무실
110-240 서울시 종로구 안국동 175-3 안국빌딩 신관 3층
대표전화 02-723-5300 팩스 02-723-5055

오시는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출구 1층에 '뚜레주르'빵집있는 건물(1사무실)


일반버스
1사무실앞 정차 : 2, 8-1, 16, 20, 84, 84-1, 153, 205, 205-1, 543
종로경찰서앞 정차 : 2, 6, 8, 16, 84, 84-1, 205, 205-1, 543

주차장
1사무실 오른쪽 30분마다 1,500원
※ 3층 사무실 입구 안내데스크에서 방문확인 도장을 받으시면 30분은 무료입니다.


제 2사무실 (참여사회연구소) 02-764-9581
110-340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30-6 운현신화타워빌딩 205호
3호선 안국역 4번출구 도보 5분 덕성여대 평생교육원과 경운학교 사잇길

참여연대는 1994년 9월 10일 200여명의 회원으로 창립되었습니다.
당시는 민주화 운동의 결과로 이른바 '문민정부'가 등장했지만 집권 초기의 금융실 명제 실시와 같은 개혁적 시도가 과거 기득권층의 반발로 유야무야되어 가던 어수 선한 시기였습니다.

참여연대 창립회원들은 민주화를 위한 오랜 노력이 제대로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반독재투쟁을 넘어서서 보다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권력감시운동이 시작되어야 한다 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민주화운동은 거리 위에서만이 아니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생활 곳곳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참된 민주주의는 누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라 시민 모두가 스스로 잃어버린 권리를 찾아 나서고 모든 지혜와 전문적인 역 량을 모아 연대할 때만 비로소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참여연대 창립선언문에 이러한 정신이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창립선언문은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 하기 위해 연대의 깃발을 들고자 한다"고 천명하고 "지금 우리는 시대적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나 우리의 민주주의 기반이 얼마나 취약한가를 절감한다"며 "참된 민 주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행동은 이제 사회와 정치무대의 한복판에서, 그리고 국민생 활의 과정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 "국민이 명실상부한 나라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 국가권력을 엄정히 감시하는 파숫꾼이 되어야 한 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참여연대'라는 명칭에도 이러한 정신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참여'는 국가권력의 남용과 재벌의 횡포, 그 밖의 모든 권리침해를 용납하지 말고 시민 스스로 권리와 정의를 찾아 나서자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연대"는 학연과 지 연을 넘어 사익이 아닌 공익을 위해 뭉치자는 뜻을 표현했습니다.

참여연대 명칭은 처음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약칭 참여연대) 이후 2차례 개정을 거쳐 참여연대로 확정되었습니다.

참여연대 창립선언문 전문 - 참여와 인권이 보장되는 민주사회를 함께 열어갑시다

지금 우리는 시대적 전환기에 서 있습니다.

경제성장이라는 구실을 내걸며 30년이 넘는 긴 세월동안 국민 위에 군림하던 군부정권은 마침내 국민의 결집된 힘 앞에 굴복했습니다. 소련과 동유럽 공산권 의 붕괴를 계기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도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 다. 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경쟁이 가속되면서 세계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개편 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피땀 속에 출범한 문민정부는 국 민의 열망을 외면한 채 개혁의 과제를 표류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 김일성 주석의 사망 후에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경색된 공안정국의 분위기는 우리의 민주주의적 토대가 얼마나 취약한가를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 한 역사적 시점에 선 우리는 민주주의의 알맹이를 채우고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국민 여러분의 의지와 지혜를 모아가야 하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우리는 변화에 변화를 거듭해 온 현실을 직시하면서 모두가 참여하는 사회,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연대의 깃발을 들고자 합니다.

80년대까지는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행동은 최루탄 연기가 자욱한 길거리 에서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다릅니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참 된 민주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행동은 사회와 정치무대의 한복판에서, 그리고 국 민의 일상생활의 과정에서 일어나야 합니다. 민주주의란 문자 그대로 국민이 나 라의 주인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주인이 머슴처 럼 취급받고 국민의 공복에 불과한 사람들이 주인 위에 군림하는 시대착오적인 현상이 만연해 왔습니다. 누가 권력을 잡든 이러한 본말전도적 현상을 스스로 개선하려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민 스스로의 참여와 감시가 필요합니다. 몇 년에 한 번씩 투표를 함으로써 나라의 주인의 지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닙 니다. 명실상부한 나라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 국가권력이 발동되는 과정을 엄정히 감시하는 파수꾼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민주주의는 인간성의 존엄이 실현되고 인권보장을 으뜸의 가 치로 삼는 정치이념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비인도적, 반인권적 권력에 맞서 싸우 면서 자유롭게 말하고 평화롭게 행동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자 힘써 왔습니 다.

그러나 시민적, 정치적 권리를 확보하는 과제는 미완의 숙제로 남아있습니 다. 새로운 세기의 도래를 눈앞에 두고 있는 지금 우리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수많은 사회문제, 인권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소외된 자, 억압받는 자에 대한 무 관심은 동료시민으로서의 신성한 의무를 방기하는 태도입니다. 우리는 기필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이웃들이 보다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여건을 함께 만들어 가야하겠습니다.

지난 몇 달에 걸쳐 우리는 지방자치와 남북통일, 복지사회의 미래상과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 가슴을 열고 논의를 펼쳐 왔습니다. 각계 각층의 인사들 이 토론의 장에 참여하였습니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 시민운동과 인권운동에 앞장섰던 사람들, 뜨거운 정열이 넘쳐흐르는 청년학도들, 권력에 의해 부당한 피 해를 받았다고 느끼면서도 벙어리 냉가슴 앓듯 하소연할 곳을 찾지 못하던 시민 들이 허심탄회하게 토론을 벌였습니다.

오랜 산고 끝에 우리는 새로운 사회의 지향점을 '참여'와 '인권'을 두 개의 축으로 하는 희망의 공동체 건설로 설정했습 니다. 우리는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약칭 참여연대)가 여러 시 민들이 함께 모여, 다같이 만들어 가는 공동체의 조그만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 마지 않습니다. 모두가 힘을 합쳐 새로운 시대, 참여와 인권의 시대를 만들어 갑시다.

기본정신
시민참여

참여연대의 조직과 구성 그리고 활동의 근원적 정당성은 회원과 잠재적 회원으로서 모든 시민들에게 있다. 참여연대의 의사결정과 집행은 궁극적으로 회원들의 의사로 귀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참여연대의 재정은 소액다수의 회원 회비만으로 충당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회원과 간사와 임원이 모두 한데 어울려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시민연대

참여연대는 모든 사회적 편견과 이기심의 벽을 허물어뜨려야 희망을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 목표를 위하여 뜻을 같이하는 개인이나 단체와 연대함으로써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큰 명분과 정치적 구호에 가려 시민의 삶을 위한 진정한 가치가 외면당하지 않도록 한다. 흩어져 있는 시민의 작은 권리 하나하나가 모이면 그것이 우리 사회의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소외된 사람이나 제도적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소수자를 위해 노력한다.


시민감시

참여연대는 권력이 있는 곳에 감시의 눈을 잠시라도 늦추지 않는다. 국가권력을 감시하여 그 권한의 행사가 주권자의 의사에서 벗어나지 않게 한다. 기업을 감시하여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경제활동의 주체가 집중된 경제력을 권력화하지 않고 도덕성을 잃지 않도록 한다. 그 어떤 다수의 세력도 힘으로 지배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참여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시민대안

참여연대는 각종 대안을 연구하고 주장합니다.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명시해 사회복지정책의 기준을 제시한 국민복지기본선확보운동은 그 좋은 예입니다.
정경유착 근절을 위한 부패방지종합대책, 재벌개혁을 위한 소액주주의 경영참가방안, 정치관계법 개정 등 정치개혁방안에 이르기 까지......
참여연대 부설 사단법인 '참여사회연구소'를 비롯한 참여연대 각 활동기구의 500여 전문가들이 이 일을 함께합니다.

참여연대는 창립선언문에 담겨 있는 창립 취지를 지키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기본정신으로 활동합니다.

 

 

시민단체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기
1. 사회개혁
경실련, 참여연대, 정치개혁시민연대, 인간성회복운동 추진협의회 등.

2. 사회복지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백혈병 어린이 후원회 등.

3. 환경.교통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녹색교통운동 등.

4. 여성.청소년
한국여성정치연맹, 청소년 폭력 예방재단 등.

5. 소비자.생활
녹색소비자연대, 한국소비생활연구원, 우리농산물살리기운동본부 등.

6. 교육.문화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등.

7.자원.봉사
사랑의먹거리나누기 운동본부, 한국자원봉사포럼 등.

*시민단체의 활동내용
-정치 관련시민단체들은 바른정치를 이루기 위한 활동을 한다.
예)깨끗한 선거가 이루어지는지 감시하는 활동, 청문회 내용 보고활동 등.
-환경 관련시민단체들은 환경보호를 위한 활동을 한다.
예)환경파괴가 우려되는 댐 건설및 간척사업 중지를 위한 활동등.
-경제관련 시민단체들은 경제 민주화 실천을 위한 활동을 한다.
예)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행정감시활동, 납세자의 권리보호운동등을 통하여
예산 낭비를 감시하는 활동 등.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은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한다.
예)교육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 등.

한국청년회의소
JC는 'Junior Chamber'의 약자로서, 청년회의소를 말한다.
JC는 1915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페기라는 소녀가 길가에서 놀다가 교통사고로 참변을 당하는 장면을 목격한 후 어린이에게 공원을 만들어 교통사고의 재발을 막고 지역사회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해야겠다는 헨리 기젠비어의 숭고한 창시이념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후 JC는 20세 이상 40세 이하의 청년이 지도역량개발, 지역사회개발, 국제와의 우호증진이라는 3대 이념을 실천하는 국제민간단체로 발전, 청년회원들이 지닌 무한한 잠재력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개발 및 세계회원국가와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세계 평화와 인류 번영을 이루는데 기여하고 있다.

 

신앙은 인간 생활에 의의와 목적을 부여하며, 인류는 국경을 초월하여 형제가 될 수 있으며, 경제적 정의는 자유기업을 통하여 자유인에 의하여 최선으로 달성되며, 정치는 법률에 기반을 두며, 인간의 자의로 행해질 수 없으며 이 지구상에 가장 위대한 보배가 인간의 개성속에 있으며 인류에의 봉사가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사업임을 우리는 믿는다.

 

우리는 시대적, 사회적 사명을 자각하고 JC 본연의 이념을 같이하는 청년들의 웅지와 정열을 한데 모아 자주적, 자립적, 자발적 실천력으로 복지사회 건설과 세계평화를 이룩하는데 총력을 다한다.

 

? 국제단체이다
한국JC는 국제청년회의소(JCI)의 회원국으로 국제사회를 위해 헌신하고 있다. 특히 천재지변이나 내전으로 고통받고 있는 지역을 지원하고 있으며 매년 세계대회와 지역대회에 참가 전세계 JC인과 JC우정을 나누고 있다.

? 청년이 중심된 단체이다
재능있는 젊은이를 발굴 엘리트 청년으로 육성, 이 사회에 유익한 청년지도자를 양성하는 사회의 사관학교이다.
JC는 다양한 경험과 견문을 넓히는 경영대학원이요, 젊은이의 재능을 키워주는 요람이요, 훈련도장이다.

? 민주주의 학교이다.
JC의 모든 직책은 1년 단임으로 회원들이 고르게 직위를 맡고 있으며 선거와 합리적인 절차에 의해 공정하게 선출된다.
각종 토론문화와 행사 운영을 통해 합리적인 사고를 갖게 된다.
토론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JC 고유문화는 회원들의 발표력과 표현력을 향상시켜 능동적인 인간상을 만들어 간다.
한국JC는 각종 선거 때 후보자 초청 토론회를 개최, 올바른 선거문화와 대의정치를 실현 민주주의 사회를 선도해 가고 있다.

? 우리나라 NGO의 선두주자이다.
1951년 전쟁으로 폐허된 조국을 JC운동으로 살리자는 숭고한 정신아래 창립한 이래로 조국재건운동 및 형제애 발양운동을 실시해 왔다.
이후 시대적 상황의 요청에 따라 대 지역민 물질 지원운동, 사회문제 해소 및 추방운동, 지역간 격차 해소운동, 정신 계도성 의식개혁운동을 비롯해 21세기 환태평양 시대를 위한 사회현실 참여운동을 실시했다.
최근에는 다원화 전문화 시대를 맞아 정보화 추진운동을 실시하는 한편 다양화된 NGO의 물결속에서 한국JC와 뜻을 같이하는 NGO와 교류를 강화 NGO의 선두주자로서의 면모를 대외에 과시하고 있다.


녹색연합회
녹색연합은 배달민족 유일한 삶 터인 금수강산을 오염으로부터 되찾고, 나아가 대안문명운동으로서의 녹색생명운동을 널리 펼쳐, 궁극으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어 살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립과 그에 바탕한 녹색대동세상 건설을 목적으로 합니다.

1991년 6월 창립하여 전국 1만여 명의 회원들과 함께하는 환경운동을 하고 있는 순수 민간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은,

밝고 희망찬 모습을 제시할 수 있는 아름다운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단순한 환경운동의 차원을 넘어 우리가 지향하는 생명운동으로서의 대안있는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작은 실천을 중시하고 그 실천이 우리들의 가치관과 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활속의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딱딱하고 기술적인 수치와 자료를 쉽게 풀어 재미있게 실천할 수 있는 재미있는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무엇보다 이 모든 것들을 국민, 정부, 기업, 전문가 등 모두가 하나되어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는 함께하는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부문별 주요활동 - 녹색연합은 이런 활동을 합니다


자연생태계보존활동
생태순환형 사회

모든 생명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여 생태계 질서의 보전과 회복을 위해 노력합니다. 자연과 생물의 권리를 인정하고 이들의 서식지인 자연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활동합니다.

○ 백두대간 보존운동
○ 갯벌보존운동과 간척사업 반대운동
○ 야생동물보호운동
○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무분별한 도시팽창과 도시문화는 우리의 삶터를 파괴시키고 있습니다.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자립가능한 도시와 마을 만들기를 통해 삶 속에서 대안을 만들고 있습니다.

○ 생태도시·마을만들기 운동
○ 도심 생태계 회복 운동
○ 환경자치의 실현

에너지운동
생명안전운동

핵발전과 화석연료 중심의 잘못된 에너지체계를 극복하고 재생가능한 에너지개발과 보급, 에너지 효율화 확산을 위해 노력합니다.

○ 핵발전소반대운동
○ 재생가능에너지보급 운동
○ 대형 송전탑건설로 인한 환경문제 대응
○ 에너지절약운동
생태계를 교란하고 생명윤리를 위협하는 유전자조작을 반대하며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생명안전과 생태계 질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 유전자조작식품(GMO)반대 운동
○ 환경호르몬 문제 대응활동
○ 생명복제 반대활동

비폭력평화의 실현
생태문화운동

우리는 전쟁의 종식과 평화를 위협하는 핵무기 등 살상무기 폐기, 전쟁위협을 야기하는 군비경쟁과 군수산업 중단을 위해 노력합니다.

○ 남북환경문제 대응
○ 미군·군기지로 인한 환경문제대응
○ MD 반대활동
○ 대인지뢰금지활동
자연과 더불어 살았던 우리의 문화를 존중하며 단순소박한 삶의 실천을 통해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운동을 합니다. 더불어 사람들 마음 속의 생태적 감수성을 일깨우기 위해 문화활동을 펼칩니다.

○ 월간『작은것이 아름답다』출판
○ 매년 녹색순례 진행
○ 어린이자연학교, 청년생태학교, 갯벌교육자양성워크샵 등의 정기교육사업
○ 월례 녹색포럼 개최

시민참여
시민환경권 실현

시민이 주인되어 환경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시민·회원모임, 자원활동모임이 운영되어 자발적인 환경운동을 진행합니다.

○ 산악모임 <녹색친구들>
○ 청년모임 <늘푸른청년의모임>
○ 청소년모임 <아이지엘>
○ 영상모임 <녹색다큐>
○ 회원모임 <녹색바람>
○ 국제연대 자원활동가모임
○ <생명운동공부모임>
○ <야생동물소모임>
○ <지하환경개선시민모임>
환경문제로 인한 인권침해를 방지하고 시민의 환경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 환경소송센터 운영
○ 환경민원대응
○ 환경피해자 법률구제활동
○ 공익환경소송

주소 및 연락처 안내 - 녹색연합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 주 소
136-821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113-34

☎ 대 표 전 화
02-747-8500

☎ 회원안내전화
02-745-5001, 5002



 

2004.06.3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10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ha****
초수

30쪽..

●개인이나 작은 단체의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 노인을 위한 자원 봉사, 119구조대원, 고아원 방문등...

●국가적 또는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 유니세프, 적십자 등

31쪽..

단체이름 : 한국 야생 동물 보호 협회

하는 일 : 야생에서 사는 짐승들의포획 방지와 다친 동물 들을 치료해 주는일이다.

 

단체이름 : 천염 기념물 보존회

하는일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동식물중이 미 멸종 우위기에 처한 품종만 아니라도 구

조하여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는일

 

단체이름:동물보호캠페인
하는 일:다친 동물을 치료해주고, 건강을 회복해준다.

 

2008.04.22.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wi****
시민
 청소년자원봉사센터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kyvc.youthnet.re.kr
서울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sy0404.or.kr
대구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tinc.co.kr/tgbongs
인천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youth.ghil.co
강원도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kyvc.or.kr
충북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cbyouth.or.kr
전북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jb0479.or.kr
전남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cyvc.or.kr
경남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jabong2.or.kr


ㄱ.ㄴ.ㄷ.순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그리고 더 자세한 주소나 역할 등을 알고 싶으시면

각 사이트별로 그 기관의 연맹사이트나 인근지역 단체들에 대해서도 링크가 되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



강원도 청소년 상담실 - http://www.kwci.or.kr
경기도 청소년 종합 상담실 - http://www.hi1318.or.kr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http://www.nyc.or.kr
국립평창 청소년 수련원 - http://www.purumi.org
국제연합한국학생협회 - http://old.youthnet.re.kr
국제청소년문화협회 - http://old.youthnet.re.kr
그린 패밀리 녹색 소년단 - http://www.greenfamily.or.kr
근로청소년복지관 청소년상담실 - http://www.boram.or.kr


내친구 - http://www.myfriend.net
노원청소년수련관 - http://www.youthcenter.or.kr
농어촌청소년 육성재단 - http://www.fry.or.kr

대구광역시 청소년 상담실 - http://www.kyci.or.kr/daegu

대한 사회복지회 http://www.alovenest.com/    

대전 한국청소년마을 - http://www.kybc.org/dj
대한적십자사 http://www.redcross.or.kr/index.html
대한 YMCA 연합회 - http://www.ymca.or.kr

도움넷 http://www.bbbkorea.org/

따뜻한 세상만들기 http://www.ddase.com/


무등 청소년회 - http://mdyouth.or.kr
미래를 위한 만남 Space 1318 - http://www.1318.co.kr


보라매청소년수련관 - http://www.boramyc.or.kr
볼런티어21   http://www.volunteer21.org/
부산자원봉사센터 - http://www.volunteer.or.kr
부천 문화의집 - http://www.munhwa21.or.kr
북구청소년 회관 - http://www.bukguzzang.co.kr
북구짱 - http://www.bukguzzang.co.kr


사)우리누리청소년회 - http://www.munhwa21.or.kr
사이버유스 - http://www.cyberyouth.org
삼동청소년회 - http://www.samdongyouth.or.kr
서당골수련원 - http://www.seodanggol.co.kr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http://www.s-win.or.kr/

서울시립보라매청소년회관 - http://www.boramyc.or.kr
서울시립 신림 청소년쉼터 우리세상 - http://www.shelter.or.kr
서울특별시립 서울청소년수련관 - http://www.youthc.or.kr
서울특별시립 청소년 쉼터 - http://www.youthzone.or.kr

서울특별시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sy0404.or.kr

서울 청소년 지도 육성회 - http://www.youthc.co.kr
성산청소년육성재단 - http://www.fgic.or.kr
세계청소년단체협의회(WAY) - http://www.histeam.net/~love

세계청년봉사단 http://www.kopion.or.kr/

십대들의 쪽지 - http://edufinder.kornet.nm.kr/ppippo/jjokji


아동, 청소년 상담연구회 - http://plaza.snu.ac.kr/~kayhkim
아동학대문제 연구소 - http://www.1391.or.kr
아세아청소년단체협의회(AYC) - http://www.histeam.net/~love
안양시청소년수련관 - http://www.ayc.or.kr
야자(YAJA) - http://www.yaja.org
야호! - http://www.koya.or.kr
열린문쉼터 - http://www.opencenter.or.kr
열린사회자원봉사연합 - http://vufos.com.ne.kr

애원 http://www.aewon.org/index.php

에듀넷 - http://web.edunet4u.net
오운문화재단 - http://www.kolon.co.kr
우리넷 청소년 상담실 운영자 - http://my.netian.com/~ksy0603

유니세프한국위원회 http://www.unicef.or.kr/

유네스코 청소년 팀 - http://youth.unesco.or.kr/main/main.asp
유네스코청년회 국민청소년수련마을 - http://www.gukmin.or.kr

유알천사 http://www.ur1004.org/

유엔한국학생협회 - http://www.nownuri.net/nownuri
인천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youth.ghil.com
일암청소년육성재단 - http://www.nownuri.net/nownuri

월드비젼 http://www.worldvision.or.kr/


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운동 서울협의회 - http://www.safeschool.or.kr
자치행정국 체육청소년과 - http://www.provin.chonnam.kr
전국 재해 구호 협회 http://www.relief.or.kr/
전라남도청소년수련원 - http://www.cnytc.or.kr
전라남도 청소년 자원 봉사센터 - http://cyvc.or.kr
전북 문화관광국 체육청소년과 - http://www.provin.chonbuk.kr

전석 복지재단 http://www.jeonseuk.org/

중앙일보시민사회연구소 http://ngo.joongang.co.kr/

중앙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kyvc.youthent.re.kr
지킴넷 - http://www.jikim.net


청소년문화마을 - http://galaxy.channeli.net/dlpul
청소년보호 육성회 - http://user.chollian.net/~youthboy
청소년보호위원회 - http://www.youth.go.kr
청소년 봉사대 홈페이지 - http://users.unitel.co.kr/~boyboy
청소년 사이버 나눔터 - http://nontel.nonsan.chungnam.kr/~labbi
청소년사이버의회 - http://www.youthvol.net
청소년상담실 - http://www.myrest.co.kr
청소년 세계(YOUTH) 홈페이지 - http://www.youth.co.kr
청소년수련마을 보람원 - http://www.boramwon.co.kr
청소년웹진 - http://www.moo.inpia.net
청소년웹진 CH.10![채널텐] - http://www.ch10.com
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youthvol.net
청소년적십자 - http://www.rcy.org
청소년 정보원 - http://www.youthpia.net
청소년 지도 연구원 - http://www.koreayouth.or.kr
청소년폭력예방재단 - http://www.jikim.net


코리아 청소년 신문 - http://www.ynews.co.kr

키바   http://www.kiva.or.kr/kivamain.htm 국제자원봉사협회


펄벅재단 한국지회 http://www.pearlsbuck.or.kr/
 
품 청소년 문화공동체 - http://www.pumdongi.org


한국 우주정보 소년단 - http://www.yaknet.or.kr
한국 유스 호스텔 연맹 - http://www.kyha.or.kr
한국청소년개발원 - http://www.youthnet.re.kr
한국청소년교류진흥협회 - http://www.kyepa.or.kr
한국청소년단체 협의회 - http://www.koreayouth.net
한국청소년마을 - http://www.kybc.org/bs
한국로타리 청소년 인터-로타랙트 - http://www.rotarykorea.org
한국청소년마을 - http://kyvillage.org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http://www.youth.re.kr
한국청소년사랑회 - http://www.histeam.net/love
한국청소년상담원 - http://www.kyci.or.kr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 http://www.jikimi.or.kr
한국청소년연맹 - http://www.koya.or.kr
한국청소년인터넷방송국 - http://www.kybc.org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 http://www.youthvol.net
한국청소년정보원 - http://www.youthpia.net
한국해양소년단 - http://www.sekh.or.kr
한국해양소년단연맹 - http://www.sekh.or.kr
한사랑청소년광장 - http://www.hansarang.or.kr

흥사단 - http://www.yka.or.kr

한국국제 협력단 http://www.kopion.or.kr/

한국 BBB운동  http://www.bbbkorea.org/

한국 BBS 중앙연맹 - http://www.bbs.or.kr

한국 boy scouts 연맹 - http://www.scout.or.kr
한국 girl scouts 연맹 - http://www.girlscout.or.kr
한국 LABO - http://labostay.or.kr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http://kucss.kcue.or.kr/

한국사랑의 집짓기운동연합 http://www.habitat.or.kr/

한국사회복지사협회 http://www.welfare.net/

한국서비스포피스 http://www.cgl.or.kr/index.asp

한국시민자원봉사회 http://www.civo.net/

한국자원봉사센터협회 http://www.kavc.or.kr/
기타

RCY - http://www.rcy.org
10대를 위한 웹진 - http://www.neteen.net
21세기 문화 공동체 - http://www.hanada.co.kr
아우리 진로 상담실 - http://www.auri.co.kr
EXPO과학소년단 - http://www.expopark.co.kr/main.html
Youth World - http://www.youth.co.kr
 내용출처: 다음카페 '천안대 청소년학'-청소년관련사이트
스카우트(보이스카우트)
걸스카우트
해양소년단-초등학교는 아람단  중학교는 누리단 고등학교는 한별단 대학교는 한울회
청소년연맹
청소년적십자
우주정보소년단
그린스카우트(녹색소년단)
YMCA
YWCA
흥사단


다일공동체  - 기독교 봉사단체 다일공동체, 서울다일교회, 다일복지재단 등 소개. 
 
    http://www.dail.org


한대봉(KUUSC)  - 한국대학생 연합봉사회 소개, 봉사활동 및 가족모임, 가입 안내, 회지보기 제공. 
     http://www.kuusc.net/       
 

 

 참길공동체  - 서울/경기 지역 봉사단체, 회원가입 안내, 자원봉사 및 장애인 교육자료, 홍보/행사 소식, 장애인 일기, 참길소식, 서울 봉사활동 현장 소개. 
 
    http://www.chamgil.org/     
 
 

 전라도 광주 사이버 사랑 모임  - 봉사 활동, 백과 사전, 관련 사이트, 가입 안내, 개인 사이트 소개, 비주얼 베이직 강좌, 정보화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 단체. 
 
    http://childs.kr21.net/  
 

아가들을 가르치는것과...
장애우 아저씨들 돕는것 그런것들이 있는데
www.barrom.com

www.withgo.or.kr

www.amsa3rc.or.kr
활동하고 있는 봉사할수 있는곳입니다..

*자세한건 직접 물어보세요
 
아름다운 재단 - 기부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캠페인을 전개하는 비영리 공익재단. 
 
     http://www.beautifulfund.org
 
아름다운 가게  http://www.beautifulstore.org 헌옷, 책, 가방, 신발, 주방용품, 가전제품, 액세서리 등 중고물품 기증 판매, 재활용품 수익금으로 공익사업 운영. 

 

 

 

저희 아동복지센터는 각 분야의 자원봉사자를 모십니다. http://www.seoul.go.kr/org/organ/center/childwelp/lovely_hand/4273_index.html
현재의 자원봉사자는 아동 급식 보조, 청소, 목욕, 옷정리 등부터 시작하여 음악, 미술, 영어, 놀이지도 등 아동의 교육분야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저희 아동복지세터에 보호되어 있는 아이들은 보통 3세부터 18세까지 다양한연령층을 이루고 있으며, 아동의 수준별 다양한 프로그램 지도가 필요합니다.

레크레이션이나, 학습지도 또는 특정 분야에서 자원봉사를 원하시는 분은 서울시 자원봉사센터(http://volunteer.seoul.go.kr) 에서 신청하여주십시오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 (135-220)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산4-1번지(대표전화 : 02- 3412-4030~4)
서울특별시청 : (100-744)서울시 중구 을지로1(태평로 1가 31), 대표안내전화(02) 731-6114 

 

http://volunteer.seoul.go.kr/home/under/volunteer_under.html
볼런티어(volunteer)란 용어는 선진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사회복지 이외의 분야에서는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채, 자원봉사자(volunteer) 혹은 자원봉사활동(volunteering)이라고 같은 뜻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는 자유의지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Voluntas에서 유래되었고, 자원봉사자라는 영어 단어 Volunteer는 라틴어 volo(의지)에서 나왔습니다. 즉, 자원봉사자란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사회봉사를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한자어로는 "스스로 자-自, 원할 원-願, 받들 봉-奉, 섬길 사-仕"라고 하여 "스스로 원하여 받들고 섬긴다"라는 뜻으로 역시 자발적인 의지로 남을 돕는 것을 말합니다.


 
 
 
 
자원봉사의 역사는 인류역사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성인과 종교의 창시자들은 자원봉사자였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4300여년전 이집트인들의 무덤에 자선행위가 동양에서도 중국의 전설적인 오제시절에 자선에 관한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희랍에는 개인의 고통을 덜어주는 일보다 사회문제의 답을 사회개혁에서 찾으려 했고 그래서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박애주의(Philanthropy)가 발달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신은 로마에서도 계속되어 공공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법이 기원전 150년경부터 있었고, 그러다가 기독교가 공인된 후 기독교의 자선 정신의 영향과 구원의 수단으로서 자선활동이 장려되면서 자선이라는 말이 박애를 포함한 형태로 산업혁명때까지 전해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19세기 후반기 미국에서부터 자선이 박애와 자원봉사로 분리되어 박애는 부유한 남성들이 주로 공익사업을, 자원봉사는 시간적으로 여유 있는 부인들이 어려운 사람들을 직접 돕는 활동으로 정착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일어난 영국에서부터 갖가지 자선기관, 자원봉사단체들이 설립되었으나 곧 많은 기능들이 국가에 의해서 실시되어서 자선과 자원봉사는 오히려 신대륙에서 더 발전하였습니다. 특히 복지 기능면에서 영국을 비롯한 구대륙 국가들(독일, 프랑스,이탈리아 등)은 국가의 역할이 거의 절대적인 만큼 커졌으나 신대륙(미국.캐나다)에서는 국가의 힘이 복지에 미치기 이전에, 사람들은 살길을 찾아 공동체를 형성했고 상호협력과 공동체를 위한 자원봉사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는 공익을 목적으로 삼는 민간단체들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고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욕구도 다양화되어 전문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자원봉사자를 수요처에 연결시켜주고 교육, 훈련, 상담, 홍보 등을 맡는 기록상 최초의 자원봉사센터가 제1차 세계대전 후인 1920년 미네아폴리스시에서 자원봉사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각처에서 센터 또는 사무소가 생겼고 1950년대에 이러한 센터들이 연합회가, 1960년에는 자원봉사 전문조정자들의 모임이, 그리고 1970년에는 세계자원봉사협회(IAVE)가, 1984년에는 자원봉사전국센터, 1990년에는 촛불재단(자원봉사 전국센터와 1991년 통합)이 설립되어 미국의 자원봉사활동이 확산되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이 되는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발성
자원봉사활동은 타인의 강요나 억압에 의한 것이 아닌 사회와 이웃의 문제를 자신의 일을 받아들여 자신의 의지로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자발적인 의지에서 비롯한 자유스런 활동이어야 합니다.


무보수성
자원봉사의 대가로 정신적인 보람과 만족 외에는 아무런 경제적 보상이나 어떠한 대가도 바라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교통비나 식비 정도를 제공하는 기관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의 정신은 무보수성이라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이타성
자신의 이익이나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닌 타인을 존중하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이타주의적 정신에서 비롯됩니다.


계속성
충동적 활동으로 한두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계속되고 계획된 활동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봉사를 실천하는 활동이어야 합니다.


복지성
개인의 자아실현뿐 아니라 어려움에 처한 이웃에게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이바지하며, 더 나아가서는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자아실현성
남을 위한 봉사인 동시에 봉사자 스스로도 심리적 만족감, 성취감, 개인적, 전문적 성장의 기회, 새로운 기술 또는 경험의 습득 등과 같은 심리적 보상을 얻게 됩니다. 또한 자신에 대한 가능성과 잠재능력을 발견함으로써 만족감, 성취감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다양한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인격적 성장이 이루어집니다.


조직성
자원봉사의 효율성을 위해 활동에 필요한 교육을 한 후 적합한 곳에 배치하고, 필요한 인력과 재원을 마련하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 필요합니다.


교육성
자원봉사활동은 체험학습인 동시에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는 복지교육과 민주시민으로서의 바람직한 역할과 자세를 배우는 시민교육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함과 동시에 자신의 관심분야에 전문성을 지니게 됩니다.


민주성
참여를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활동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능력과 개성이 발휘되도록 해야 하며 서로의 의견을 절충하여 공동의 목표를 이루어내는 민주적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사회적 측면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생각해 볼 때 복지국가 건설과 사회문제 예방에 있습니다. 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노력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데 전근대적인 형태로는 상호부조, 박애사업 등을 들 수 있고, 현대적 형태로는 사회보험, 공적부조, 사회복지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보장제도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적 형태인 사회보장 제도만으로는 다발적이고 편재적인 사회문제를 해결, 예방하기란 어렵습니다. 그것은 국가의 노력, 사회의 노력 및 사회구성원인 개개인의 노력이 하나로 뭉쳐질 때 가능한 것이고, 여기에서 개개인의 노력은 개인의 복지는 물론 이웃에 대한 복지, 더 나아가 사회, 국가의 복지 사회에 핵이 되며 주춧돌이 되는 것입니다.


수요기관 측면
자원봉사자들은 기관의 서비스와 기관 직원의 업무를 확대시키는 중요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이 있음으로 해서 기관 직원들은 보다 긴급한 업무 또는 그들의 전문적 탁월성을 요구하는 업무를 자유로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관 측에서는 서비스의 범위를 기관직원의 관심과 기술을 초월하여 확대시킬 수 있고 새로운 대상자에게까지 확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관직원과 자원봉사자는 상호 의존성과 보완성을 갖는 관계에 있는데 현재와 같이 기관직원이 부족한 실정에서 자원봉사들의 활동은 기관 및 기관직원의 서비스를 풍부하게 하며, 보조한다는데 필요성이 있습니다.


자원봉사자 개인 측면
- 자원봉사는 우선 마음의 평화, 자기 존엄성, 지역사회 존중의 감정을 가져다 줍니다, 즉 동료들 사이
  에 긍지 내지 위치를 확인하게 되어 마음의 안정을 찾고 이를 통해서 자아를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 자원봉사는 일을 성공적으로 처리한 후에 얻는 성취감으로부터 자신감과 즐거움을 맛보게 됩니다.
- 자원봉사는 인간이 무언가 가치 있는 부분에 소속되고 남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며, 사회에 의해 높이
  평가받는 한 부분이 되고자 하는 인간의 내적 욕구를 충족시켜 줍니다.
- 자원봉사는 개인을 활동적이고 유용하게 성장하도록 유지시키며, 새로운 삶의 목적을 제시하기 때문
  에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가져다 줍니다.
- 자원봉사는 많은 레크레이션 가치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즉 개인적인 안정감을 증진시키면서도 권태,
  단조로움, 외로움을 떨쳐버리게 합니다.
 
 
  100 - 110 서울시 중구 덕수궁길 15(서소문동 37번지) 서울시청별관 2동 1층 서울시자원봉사센터
    TEL (02)3707-8326~8 FAX (02)3707-8329  E-mail : volunteer@seoul.go.kr


 

시민단체를 흔히 NGO라고 하죠
NGO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NGO는 Non Government Organization의 약자 입니다.
비정부기구라는뜻이죠.

 

 

국제비정부기구 [ 國際非政府機構 ,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
국제연합(UN)에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

설립연도 : 1946년
목적 : 국제연합에 여론 반영
주요활동 : 환경·인권·빈곤추방·부패방지 관련 활동을 전세계적으로 전개, 유엔총회에서 결의한 내용에 관한 자문과 프로그램 제작
가입국가 : 세계 1600여 민간단체


엔지오(NGO) 또는 비정부기구라고도 한다. 개인이나 민간단체가 연합하여 국제적 기관을 조직한 INGO(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비정부간국제기구)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국제연합헌장에 따라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의 자문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국제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운영된다. 하나는 정부 차원의 활동으로 각 나라가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연합총회와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 국제연합신탁통치이사회 등을 통해 세계 문제를 해결한다. 다른 하나는 민간단체 차원의 활동으로 세계 여러 종교단체를 비롯한 민간단체들이 결속한 비정부기구가 국제연합 총회에서 결의된 사항들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UN을 보조한다.

1945년 국제연합이 창설된 당시부터 42개 비정부기구는 국제연합에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참신한 기획과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해마다 국제연합총회에서 결의되는 내용을 의뢰받아 자문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또 UN 사무국장 주최로 UN 임원진과 정기적으로 만나 국제연합총회 안건과 비정부기구의 정책에 대해 논의하며, 건의사항을 제안한다.

국제적으로 대중의 연대가 활발해짐에 따라 인권·환경·빈곤추방·부패방지 등의 문제에서 임무를 다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2001년 현재 세계 1600여 민간단체가 가입하였으며,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다.

국내 NGO는 약 500여개 이상이 활동하고
국내 활동중인 NGO를 알수 있는 곳은 http://www.ngoleaders.co.kr/ngo.asp


또 이외의 다른 ngo 사이트는 http://ngo.ww.or.kr/

로 가시면 (NGO의 국내외 사이트)
또 관련 사이트로는 http://www.worldngo.net

백과사전에는

국제비정부기구 민간단체가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비정부 국제 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 으로 국제연합(UN)에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를 말한다.

1946년에 UN에 여론을 반영키 위해 만들어진 엔지오는

 환경, 인권, 빈곤추방, 부패방지 관련 활동을 세계 1600여 민간단체가

전세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엔지오(NGO) 또는 비정부기구라고도 한다.

개인이나 민간단체가 연합하여

국제적 기관을 조직한 INGO(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비정부간국제기구)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국제연합헌장에 따라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의 자문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

국제비정부기구-國際非政府機構

국제연합(UN)에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
설립연도 : 1946년
목적 : 국제연합에 여론 반영
주요활동 : 환경·인권·빈곤추방·부패방지 관련 활동을 전세계적으로 전개, 유엔총회에서 결의한 내용에 관한 자문과 프로그램 제작
가입국가 : 세계 1600여 민간단체
본부소재지 : 미국 뉴욕

국제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운영된다.

하나는 정부 차원의 활동으로 각 나라가 국제연합에 가입하여

국제연합총회와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 국제연합신탁통치이사회 등을 통해 세계 문제를 해결한다. 다른 하나는 민간단체 차원의 활동으로 세계 여러 종교단체를 비롯한 민간단체들이 결속한 비정부기구가 국제연합 총회에서 결의된 사항들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UN을 보조한다.
1945년 국제연합이 창설된 당시부터 42개 비정부기구는 국제연합에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참신한 기획과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해마다 국제연합총회에서 결의되는 내용을 의뢰받아 자문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또 UN 사무국장 주최로 UN 임원진과 정기적으로 만나 국제연합총회 안건과 비정부기구의 정책에 대해 논의하며, 건의사항을 제안한다.
국제적으로 대중의 연대가 활발해짐에 따라 인권·환경·빈곤추방·부패방지 등의 문제에서 임무를 다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2001년 현재 세계 1600여 민간단체가 가입하였으며,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다.


--------------------------------------------------------------------------------------------

(1)인권일반

Amnesty International -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인권단체 중의 하나. 인권 일반에 관한 문제 뿐만 아니라 양심수 문제와 정치범의 인권, 사형제도 폐지와 죄수에 대한 인권 보장을 등의 문제를 다루며 정치적인 차원에서의 인권탄압에 반대한다.

Canadian Human Rights Foundation - 캐나다와 전 세계에서 교육을 통해 인권을 보호하고 신장하기 위한 활동을 하는 단체. 주요 활동은 연례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부 유럽을 비롯한 개발 도상국에서 교육을 통한 인권 시장에 힘쓰고 있다.
Right International - 이 단체는 개인의 인권을 침해한 각국 정부들을 국제 법정에 고소하는 일을 한다. 고문, 검열, 공권력 남용, 실종 및 인종적, 성적, 종교적 차별 등 다양한 인권 관련 이슈들에 대해 법률적 소송을 제기한다.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 미국내 정치적 탄압, 범죄 정의 구축, 사이버상의 사생활 침해 문제, 사형문제 등을 다루는 단체. 그밖에 장애인 인권, 마약문제, 이성애자 권리, 복제 문제, 태러 대응문제 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음

Human Rights Watch - 전세계인의 인권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 정치적 자유, 전시 인권문제, 범죄자 인권 보호 등과 관련된 활동을 벌이고 있다.

Minority Rights Group - 전세계의 인종적, 종교적, 언어적 소수민족과 토착민의 권리 보장과 공동체간의 협력과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 소수민족과 토착민의 인권에 관한 광범위한 문제를 담고 있는 보고서, 훈련 안내서, 요약논문, 워크숍 책자 등을 발행한다

Asian Human Rights Commission - 아시아 지역 인권 실태를 파악하고, 인권 침해로 인한 피해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아시아와 국제적인 여론을 조성하는 활동을 한다. 시민적 정치적 자유 및 경제, 사회, 문화적 자유 증진을 도모한다.

Asia-Pacific Human Rights Information Center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인권 증진을 도모하는 단체. 아-태 지역의 인권 정보 교류의 중심점이 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Human Rights Education Associates - 자체 교육프로그램과 온라인기술들을 통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 활동가와 전문가들에 관한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있는 국제적인 인권교육단체이다.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Group - 인권보호와 신장을 위한 단체이자, 전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인권에 관한 법률적인 지원을 해주고 있다.

Asian Human Rights Commission(AHRC) - 아시아에서의 인권활동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1986년에 설립된 단체이다. 아시아지역에서의 인권에 대해 좀더 많은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일하고 있는 독립적인 단체이다.

Egyptian Organization for Human Rights -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가 인권과 자유라는 가치에 부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단체이다.

Human Rights Without Fronties - 민주주의를 신장시키고, 전세계 어느 곳에 있는 개인이든 - 여성, 남성, 어린이 등 - 그들의 권리에 관한 법적인 원칙들을 지켜나가고자 활동하고 있는 독립적인 운동.

Lawyers Committee for Human Rights (LCHR) - 1978년부터 미국에서 일해온 이 단체는 인류의 정의와 인권들의 실현을 위해 법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이슈화시켜왔다. 지역에서 가장 근본적인 개인의 인권을 위해 일하고 있는 활동가들을 지원하고 있다.

(2)인종문제

Artists Against Racism -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대중문화예술인들의 모임, 대중예술인들의 모임인만큼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과 홍보에 집중하고 있다.

Internet Centre Anti-Racism Europe -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인권 단체로, 인권 기준의 신장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인종차별을 반대하는 이들에 의해 조직되고 유지되는 네트워크이다.

American Anti-Slavery Group - 전 세계의 노예제에 반대하여 설립된 단체로 노예제에 대한 언론의 침묵 관행을 깨뜨리고 45000명 이상의 노예들을 해방시켰다. 노예제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인권문제임을 알리고, 강력한 반 노예제 운동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Anti-Slavery International - 1839년에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권 단체로 영국에서 유일하게 노예제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는 단이다. 각국 정부에 노예제 폐지 및 부작용을 해소할 것에 대해 압력을 행사하고 로비 활동을 펼친다. 또한 노예제의 현실에 대한 조사를 지원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한다.

Free The Slaves - 현대적 형태의 노예제를 근절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는 단체. 반-노예제 풀뿌리 단체에 대한 지원, 노예제의 현실에 대한 홍보, 노예제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품 소비 유도를 위한 정보 제공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 이 단체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미국 내 흑인 및 기타 소수 민족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다. 차세대 지도자를 육성하기 위한 학교 내 활동을 장려하고, 흑인들의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Coalition to Abolish Slavery and Trafficking - 현대사회에서의 노예제를 근절하기 위한 비영리서비스제공자, 풀뿌리행동주의자들의 연합체이다. 1998년 설립되었다.

European Network Against Racism - EU 회원국 내의 인종차별 문제 해결을 위한 유럽 비정부 단체들의 네트워트 조직이다.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에 반대하고 유럽 이민정책에서 인종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며, 문화적, 민족적, 인종적 다양성을 고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감옥문제/사형제도

The Tennessee Coalition to Abolish State Killing--TCASK - 사형제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여 사형 제도를 폐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형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홍보 및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Death Penalty Focus - DPF는 사형폐지 운동을 위해 1998년에 설립된 캘리포니아에 본부를 둔 비영리 기구이다. 사형반대를 지지하는 풀뿌리 조직을 꾸리고, 사형에 대한 조사와 연구 작업을 통한 정보를 공유한다. 계간으로 [파수꾼]이란 소식지를 발행해 캘리포니아와 미국 및 국제적인 사형사건에 대한 소식을 전하고 있다.

World Organisation Against Torture(OCMT) - 고문에 반대하는 세계 기구(OMCT)는 오늘날 고문과 사형, 실종 그리고 모든 형태의 잔인성에 대항하여 싸우는 비 정부 조직의 가장 큰 국제적인 연합이며, 인간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처우를 담당하고 있다.

Prison Moratorium Project - Prison Moratorium Project 는 정치적인 교육과 파트너 쉽에 기초한 공동체, 초창기의 단체, 감옥에 대한 운동을 하는 활동가를 훈련시키는 것 그리고 캠페인과 직접적인 활동을 통하여 Prison Industrial Complex 에 대항하고 저항하는 단체이다.

Campaign to End the Death Penalty - 사형제도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모임. 각 국가 및 지역 지부들이 공동으로 제작/운영하는 사형제도 관련 사이트

Catholics Against Capital Punishment (CACP) - 오늘날 세계에서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처벌제도에 대해 시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1992년 설립된 단체

National Coalition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 사형제도 폐지를 위해 시민 단체로 1976년에 설립되었다. 이 기관은 정보 제공, 사형제도 폐지, 개개인 협조 업무 등의 업무를 보고 있다. 사형제도는 모든 사람들의 삶의 가치를 하락 시키는 길이라 믿고 있다.

(4)아동인권

(Kids Can) Free the Children International - 전 세계 아이들을 가난과 착취로부터 보호하고, 아이들에게 발언권과 통솔력 훈련, 그리고 지역적인 작은 것에서부터 국제적인 수준까지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슈에 대해 스스로가 사고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일을 하고 있는 단체.

ECPAT International - 아동 매매춘, 아동 포르노그라피, 기타 성적인 목적의 아동 학대에 반대하는 단체와 개인들의 네트워크 조직. 전세계 모든 아동이 성적 상업적 착취에서 벗어나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한다.

Children's Defense Fund - 아동들 인생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5가지 출발 - 건강한 출발(정신적으로+육체적으로), Head start(학업의 출발), 공평한 출발(재정적으로), 안전한 출발(학대 없이), 도덕적인 출발(올바른 인격체로 자랄 수 있도록)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

Childwatch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 세계 아동 관련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와 같은 성향을 띈다. 6대주의 다양한 나라들의 아동관련인권단체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기도 하다. 아동인권의 실태를 조사한 자료를 제공한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아동인권에 대한 시민활동을 벌이기에는 적절한 단체가 아니다

Save the Children Federation - 세계 아동들의 안전하고 풍요로운 삶과 건강을 위해 1932년에 설립된 단체로 아프리카,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Children's Defense Foundation - 아동들이 방치되지 않고 편안한 가정과 공동체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이 설립한 단체로, 특히 저소득 층, 소외 계층의 아동들의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진다.

National Center for Missing and Exploited Children - 부모들과, 아동, 학교, 공동체가 실종된 아동을 찾는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설립된 단체로, 미아 방지, 아동의 학대 및 성적 착취를 예방하기 위한 대중의 의식을 고취시키는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American Indian Children Hunger Fund - 이 조직은 특히 북미와 중미 인디언 어린이들의 생존과 관련해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세워졌다.

Education and Vigilance Network (anti-racism) - 인종차별주의를 반대하는 단체 및 기사들을 모아 놓은 웹사이트임.

Child Rights Information Network (CRIN) - 세계의 모든 아동들이 차별없이 가져야 할 4개의 기본 권리를 정하고 정해진 권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자료들을 마련해 두었다.

(5)여성운동

Equality NOW : 소녀들과 여성들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시민적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인권조직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의 근절을 위해 일하고 있다.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 가장 큰 페미니스트 단체이다. 1966년에 창설된 이래 NOW의 가장 큰 목표는 여성 권리 신장을 위하여 모든 여성의 평등함을 실현시키기 위한 행동을 하는 것이었다.

Coalition Against Trafficking in Women - 여성 인권 신장을 위한 단체.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성적 착취에 대항하여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아동과 청소면, 성인여성의 매춘과 인신매매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하고 있다.

Global Fund For Women - 여성에게 경제적 기회와 독립, 교육을 지원하고, 여성폭력을 근절하며, 여성의 정치참여를 강화하는 등 여성이슈를 다루는 미국 밖의 여성 인권 단체를 홍보, 지지, 강화하기 위해 보조금을 조성한다.

Feminist Majority Foundation -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연구 및 활동을 함. 여성의 법적 사회적, 정치적 평등에 중심을 둔 연구 및 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함.

Global Alliance Against Traffic in Women - 인신 매매된 사람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권위와 대리인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활동하는 단체. 인신매매에 대항하는 일에 여성의 참여를 장려하고 여성들을 희생자로서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힘을 주기 위해서 활동한다.

ISIS International - 여성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페미니스트 시민단체. 여성의 권리를 신장하고 리더십을 함양하며, 아-태 지역 여성들에게 힘을 실어 주기 위한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eminists for Life - 실제 생활 속에서 페미니스트들을 삶을 보여 주고 있다

Inter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Women ( ICRW ) - 여성연구를 위한 국제센타는 1976년 설립된 민간 비영리 조직으로 인도의 사무실과 함께 워싱턴 D.C.에 기반을 두고 있다.

International Womens Rights Action Watch (IWRAW) - 국제여권실행감시(IWRAW)는 1985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국제여성회의에서 조직된 단체로, 1979년 유엔에 의해 채택된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제거를 위해 만들어진 협약(CEDAW Convention)이 실행되는지를 감시한다.

Woman of Action and Vision - 이단체의 주요활동은 신념을 기반으로 한 활동은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원동력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활동가들을 후원하고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있음.

The Women's Foundation (TWF) - 여성과 소녀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재단이다.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정의라는 환경에 여성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6)동성애자인권

Campaign to End Homophobia - 본 사이트는 동성애자들을 혐오하는 인식들에 대해 그것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비영리 법인입니다.

The Lesbian and Gay Immigration Rights Task Force (LGIRTF) - 널리 퍼진 인종차별에 관한 영향에 대항하는 이민자(이주자)와 변호사 그리고 다른 활동가 등의 연결집단이다. 레즈비언,게이 , HIV를 가진 사람들의 삶에 벌률적인 서비스와 정보,지지 등을 보내줌으로서 그들에게 그들의 권리를 주장하도록 돕는다.

National Gay and Lesbian Task Force - 전국 게이와 레즈비언 특별 위원회. 강력한 정치적 활동을 통하여 게이, 레즈비언, 양성, 성전환자들의 인권을 옹호하기 위한 진보적인 전국 기구

National Youth Advocacy Coalition - 젊은 레즈비언이나 게이, 혹은 양성연애자나 성전환수술을 받은 젊은이들을 위한, 이들과 함꼐하는 사회정의 단체임. 이 단체는 이러한 젊은이들에 대한 차별을 종식시키고 이들의 정신적 감성적 치유를 위해 노력하는 단체이기도 함

THE INTERNATIONAL LESBIAN AND GAY ASSOCIATION - 레즈비언,게이,동성애자, 트랜스젠더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차별로부터 그들의 생활을 보호하고 존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7)장애우인권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 미국 시각장애인 협회(The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는 1921년 이후 줄곧 (헬렌 켈러는 40년 이상 그녀의 삶을 이단체에 헌신했습니다.) 시각장애인들이 그들의 잠재력과 비전을 실현시키기 위해 걸림돌이 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Computers to Help People - 장애를 가진 60%이상의 사람들이 실직한 상태이다. 이 단체는 이런 막대한 인간자원의 낭비를 기술점자센터(TBC)와 원조기술센터(ATC)를 통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고용하기 위해 일한다.

Disability Assistance of Central Texas - 이 단체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느끼는 소외감을 감소시키고, 공동체로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각 개인의 목적 달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Disability Rights Education and Defense Fund - DREDF 는 먼저 장애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관이다.

Hellen Keller International - 헬렌 켈러 기관은 직접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눈의 장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눈이 먼 사람들을 위해 복지 혜택을 제공하며 눈을 멀게 하는 원인이 되는 micronutrient
malnutrition을 줄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8)평화/전쟁반대

Veterans For Peace - 2차 세계대전, 한국전, 베트남 전, 걸프전 등에 참전한 사람들을 포함하고 있는 반전, 평화 단체.

Peace Action - 핵무기의 폐지를 위해 활동하는 단체. 평화적인 방법의 경제활동과 전 세계적인 무기 매매를 종식시키고 국가 간의 갈등 해결에 비군사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활동함

Abolition 2000 - 핵 확산 방지 및 핵무기 제거를 위하여 90개국 2000여개의 단체가 협력하여 만든 조직. 핵무기 제거를 위한 국제적인 조약을 체결시키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 대량 살상 무기와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바라며 활동하는 단체. 모든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가는 핵무기를 없애는데 대한 힘을 쏟고, (법의 국제적 룰을 촉진하고,) 교육과 운동을 통한 평화의 유지를 위해 활동한다

International Physicians for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 - 60개국 이상의 보건 관련 단체들의 연합체로 핵무기 제거, 무기 거래 금지, 군비 축소를 통한 시민들의 보건 복지 향상, 친환경적 개발 등을 위해 활동한다.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 전 세계의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로. 199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지뢰 제거를 위한 조약 체결 활동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지뢰로 인한 희생자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Peace Brigades International - 인권을 보호하고 분쟁의 비폭력적 해결을 주장하는 단체. 이 단체는 분쟁 지역에 자원봉사자들을 파견해 평화적 해결을 돕는다. 자원봉사자들은 정치적 폭력에 의해 위협받고있는 인권수호자들이나 단체들과 함께 일한다.

International A.N.S.W.E.R - 전쟁과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이는 단체. 현재 미국의 이라크전에 반대하여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National Youth and Students Peace Coalition - 평화를 수호하는 젊은이와 학생 전국 연합회 / 최근 부시의 테러와의 전쟁과 관련하여 연합회는 미국의 군사적 행동에 대해 반대하고 대외정책에 있어 경제 사회적 정의 실현에 앞장 설 것을 주장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 Nuclear Age Peace Foundationf 은 대량 살상 무기기 없고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바라며 그에 힘쓰고 있는 단체이다.

Peace United - 평화연합(Peace United)은 인권과 사회의식을 위한 단체이다. 단체의 목적은 박애주의적 실천을 통해 불행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재정적 도움을 주고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Science for Peace - 평화를 위한 과학은 자선단체이고 법인조직이며, 약 40여 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있다. 이 단체는 자연과학자, 공학자, 사회과학자, 등의 학자들과 평범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평화와 정의 그리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만들기에 관심이 있는 교수, 대학원생, 대학생이 한데 모여 만든 캐나다의 조직이다.

The Peace and Justice Studies Association (PJSA) - 평화와 정의 연합(PJSA)은 평화 연구, 교육 및 개발 협회(COPRED)와 평화 연구 연합(PSA)의 합병으로 새로이 생겨난 단체이다.

War Child - War Child는 전쟁으로 인해 고통받은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독립적인 단체들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WarWidows International Peace Alliance - 전쟁미망인국제평화연대(WIPA)는 전쟁에 의해 심오한 영향을 받은 여성들의 목소리를 확대하여 들려주고 그를 통해 무장분쟁을 종결하고 조화를 이루며 세계의 평화를 이루고자 한다.

(9)원조/구호/기아

World Vision - 세계적으로 앞장서고 있는 구원과 발전 기관들중 하나이다. 거의 100개의 나라에서 75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가난과 기아, 부정에 대항해서 싸우고 있는 기독교 단체이다.

NetAid.org - 전 세계 빈곤을 퇴치를 위하여 지원할 수 있는 선진국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활동하는 단체. 2000 9월. 세계 정상들이 2015년까지 해결하기로 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Food for the Hungry International (FHI) - 극심한 가난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노력으로 삶의 구제하고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는데 역점을 두고 있는 국제단체

Catholic Fund for Overseas Development - 1962년부터 제 3세계의 빈곤을 타파하기 위해 일해온 영국의 자선 단체이다. 이 단체는 모든 개개인은 존경과 존귀함을 가질 자격이 있다 생각하며 세상이 있는 모든 자원은 인종과 국가와 종교를 뛰어 넘어 남녀노소가 똑같이 누릴 수 있는 선물이라 생각한다.

Food for the Poors(FFP) -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식량(FFP)는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의 극빈자들을 돕는 것을 목표로 1982년에 세워진 단체이다. 이 지역민들의 건강, 경제, 사회, 정신적 상황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동한다.

Oxfam International - Oxfam International 은 세계의 만연되어 있는 기아, 불평등, 고통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80개가 넘는 나라에서 같이 협력하여 12개의 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는 단체이다.

Share Our Strength (SOS) - Share Our Strength은 미국에서도 유명한 기아 및 가난에 반대하는 단체임. 이단체는 1984년 캐피톨 힐에 위치한 가난한 집의 지하에서 시작되었음. 현재, 이단체는 저임금 가정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의 추진, 디너 개최, 음식 및 영양학강의등을 다양한 활동을 함.

(10)노동일반

Labornet - 노동운동 안에서 민주적인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설립된 온라인 네트워크. 캐나다,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한국에도 형성이 되어있다.

Labour and Society International - 20년 동안 영국에서 발전한 노동조합 교육의 전문가적 경험을 이용하여, 개발도상국과 과도기에 처해 있는 나라의 조합을 지원하는 단체

The International Labor Rights Fund -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로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어린이 노동 및 강제노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필요에 따라 노동계와 정부, 기업 등과 적절히 연대하여 활동을 벌인다.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 노동자들의 연합체로, 사업장에서 새로운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원한다. 산업 노동자들의 커다란 조직체 구성을 목표로 하며, 노동자들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United Farm Workers of America - 농업 노동자들이 보다 나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라틴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다.

IL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은 사회 정의와 국제적으로 인식된 인권 및 노동권의 증진을 위한 국제연합의 전문 기관이다. 그것은 1919년에 창립되었고, 존재로 League of Nations를 가져 왔던 베르사유의 조약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주요 산물이며. 1946년에 UN의 첫 번째 전문 기관이 되었다.

Labour Start - 노동운동에 관한 전세계의 소식들을 알려주는 인터넷 독립미디어

Working Today - 노동운동에 관한 독립미디어

(11)노동착취감시

Sweatshop Watch - 노동 착취에 반대하는 여러 단체들이 참여하여 만든 연합 단체이다. 노동자들이 보다 낳은 환경에서 일하며 최소한의 임금 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착취 현장을 감시한다.

Clean Clothes Campaign - 1990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스웨트샵(노동착취공장)에서 만드는 옷을 입지 말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운동이다. 독일과 영국 등 10개 국가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 캠페인은 의류산업에서의 노동자들의 권리와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일을 하고 있다.

United Students Against Sweatshop(USAS) - 200개 캠퍼스의 학생과 커뮤니티 멤버로 구성된 기구.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원하고 기업 권력에 대항하는 운동을 펼친다. 캠퍼스내에서 이루어지는 국제적인 학생들의 운동으로 노동력을 착취하는 기업의 권력과 노동환경 개선에 앞장 섬.

Campaign for Labour Rights - 노동 권리들을 위한 캠페인, 노동 착취 공장들안에서 노동 권리들을 위한 캠페인이 노동자들의 투쟁들을 전공하는 노동 단체입니다.

Child Labor Coalition - The Child Labor Coalition (CLC) 은 성, 인종, 국적, 종교, 경제상황, 거주지 등에 관계없이 어린이 노동력 착취는 근절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 - 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은 전세계적으로 수천 명의 사람들에 의해 느껴진 희망과 필요에 의해 태어난 운동이다.

The UK Campaign Against Sweatshop - 노동착취에 반대하는 영국에서의 캠페인

The NIKE Watch Campaign - 나이키사의 개발도상국에서의 노동착취에 대해 폭로하고 이러한 점을 시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사이트

(12)세계화

World Society Forum - 세계화에 반대하고 자본의 지배 혹은 제국주의적인 경제 지배 등에 반대한 시민 사회 단체들이 공개적으로 토론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

Jubilee 2000 - 국제 부채와 재정 등에 관련한 저명하고 급진적인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하고, 100% 회수 불가능한 개발국가의 부채에 대한 탕감들을 주장하는 단체.

ATTAC - 자본시장의 민주적인 조정을 주장하고, 신 자유주의에 반대하며 보다 효과적인 정보의 교류를 위해 활동하는 단체로 전세계 35개국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다.

Global Exchange - 세계적으로 정치, 사회, 환경의 정의를 증진시키는데 이바지하는 비영리 국제 인권 단체이다. 전세계에서의 협력을 형성하면서 미국 대중 사이에 세계적인 인식을 늘리기 위해 일하고 있다.

Just Act - 학생들과 젊은이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등과 보존 및 자기-보존적인 지역사회를 구축을 위한 시민운동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회 및 경제적 정의를 구현하고자 하는 단체

International Forum on Globalization - 세계화의 경제적 효과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를 제공함으로써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 내고, 세계화에 반하여 지역 경제를 회생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보다 긴 안목에서 생태적 안정을 확보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단체.

WTO Action - WTO 체제에 반대하고 그 활동을 감시하는 단체

Global Trade Watch - 세계화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책임을 촉구하기 위해 1995년 시작된 퍼블릭시티즌의 캠페인이다.

Alliance for Responsible Trade - 지속가능한 개발과 무역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동, 가족농, 여성환경, 개발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조직들의 연합체이다.

(13유권자권리/의회감시

Committee for the Study of the American Electorate - 기관의 주요 활동 목표는 시민의 정치 참여에 대한 이슈에 관한 연구성과를 내는 것이다. 주요 주제는 등록법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선거운동의 홍보, 선거운동의 재정, 미디어가 정치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 등

Common Cause - 열려있는 정부, 정직하고 믿을 수 있는 정부를 만들기 위해 설립된 시민들의 로비 단체이다. 정부의 부패와 특혜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목소리 대변하는 단체. 정치 자금 흐름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도 제공한다.

League of Women Voters - 정보화되고 적극적인 시민의 정치참여를 고무하고 주요한 공공정책 이슈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교육과 지원활동을 통해 공공정책에 영향을 준다. 여성유권자들의 의회감시운동

Public Campaign - 미국 선거에서 특정한 이익을 바라는 자금의 역할이 주는 것과 미국 정치에서의 거대 기부자들의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혁을 전파하는데 힘쏟고 있다.

League of Conservation Voters - 환경과 관련한 이슈에 대해 정치적인 목소리를 내고 친 환경적 의회 구성을 위한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는 단체. 환경 관련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의회감시를 하고 있다.

The Center for Responsive Politics - 정치자금을 추적하고 그것이 선거와 공공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컴퓨터를 활용해서 선거운동자금관련 문제를 연구해 언론, 연구자, 학자, 활동가들과 일반인에게 제공한다.

Electoral Reform Society - 정치인, 정당, 의사 결정자에 대한 로비, 서적과 리플렛 발행, 학교, 대학, 일반대중을 위한 선거교육프로그램 운영, 강의와 세미나 개최, 선거에 있어 분석과 조언, 선거와 선거과정에 대한 질문에 반응하는 정보서비스 제공 등의 활동을 하는 단체.

Charter88 - Charter88은 아무런 당파성을 표방하지 않는 독자적 조직이다. 이들은 영국 정치 개혁의 가능성을 믿는 8만 이상의 후원자를 갖고 있다고 한다. 챠터88은 국민이 그들이 통치받고 싶은 방식이나 국민을 위한 정책에 대해 얼마든지 말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Congressional Accountability Project - 미 의회의 부패에 맞서 싸우는 단체이다. 의원의 윤리성과 정치 자금의 투명성을 세우기 위한 감시와 비판을 한다. 의원들의 급여나 수당성 특전에 대한 조사에서부터 의원 개개인이 지위를 이용해 저지른 비리나 이권개입 사건에 대한 수사 요청까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책임있는 의원상을 만들고자 한다.

Democracy Net - Democracy Net(DNet)은 투표자의 정보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고 보다 교육받은 선거인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쌍방향 웹사이트입니다

Project Vote Smart - 현명한 투표 프로젝트(Project Vote Smart)는 정치개혁과 시민참여를 위해 조직된 단체다. 전직 대통령들과 상원의원들이 미국적 가치로의 자유를 주창하며 이를 통한 미국의 번영을 지속해나가기 위한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설득한다.

(13)납세자권리/예산감시

Taxpayers Against Fraud - 세금의 부적절한 사용 및 청구에 대한 감시를 하고 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촉진하고 시민들, 정부 관료들이 건강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한다.

The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 예산 정책을 분석하고 예산 작성과 설립에 증진을 도모하는 비정부기구와 리서치를 도와주며 특히 진행중인 정책 논의에 유용한 리서치와 빈민 예산 정책 리서치를 원조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Green Scissors Campaign - 이 단체는 1994년부터 환경에 유해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의회와 정부의 정책 시정을 요구하는 캠페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Citizens against Government Waste - 연방 정부의 재정적 낭비, 관리 부실, 비효율성에 대한 감시를 하는 단체

National Taxpayers Union - 미국 의회에서 국민이 낸 세금, 즉 예산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있는 단체들간의 연합체

Americans for Fair Taxation - 미국의 세금제도 안에서 납세자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이고, 정부는 예산을 어떻게 운영하는게 가장 좋은지를 연구하는 조직이다.

Government Accountability Project - 내부고발를 활성화하고 내부고발자를 보호함으로써 부패를 근절하는 운동을 하고 있는 단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교육하고 있다.

Project on Government Oversight - 에너지와 환경 분야에 있어서 예산의 사용과 낭비를 감시하는 조직이다. 기본적으로 정부기관의 일을 감시하는 일을 한다.

Taxpayers for Common Sense - 미국 납세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조직이다. 시민들이 살아가는데 좀더 책임있고, 효율적인 정부의 운영을 위해 정부의 예산낭비에 대해 감시하고 있다.

(14)소비자권리

Ethical Consumer Research Association - 기업윤리성에 관한 정보를 대중에 제공하고 기업에 대한 비판세력과 연구단체를 지원한다. 보편적 인권, 지속가능한 발전, 동물복지. 이를 지킬 수 있도록 이에 위반되는 기업활동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공개해 소비자가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National Consumers League - 소비자와 노동자들의 사회적, 경제적 권익을 규정하고 보호하는 비영리 단체. 세계의 경제시장과 노동시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현안(미성년 노동, 식품안전, 의료·의약 정보 등)에 대해 소비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활동을 주로 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비자 단체이다.

Consumer International -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소비자 관련 단체를 연결하는 단체로서, 115개국의 250개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빈민자,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소비자의 인권향상을 위해 활동한다. 주로 회원 단체를 지원하고, 소비자관련 정책에 관한 범세계적인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Consumer Union - 소비자를 위한 정보제공에 주력하고 있는 단체. 제품과 서비스, 개인 재정, 건강과 식품 영양 등 소비자가 관심있어하는 분야에 관해 편향되지 않은 조언을 하고 있다. 1936년에 설립된 이 단체는 'Consumer Reports(소비자 보고서)' 라는 이름의 정기간행물 판매수입과,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The International Baby Food Action Network - 아이들이 먹는 식품의 안전과 산모의 건강을 위해 일하고 있는 소비자단체들간의 연합조직이다. 세계 각 지역에 지부를 두고 있다.

Consumer Federation of America - 미국내의 소비자들의 권리를 신장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간의 연합체이다.

Consumers' Association of Canada - 지역별로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사회의 각 영역에서 소비자들의 권리보호를 위해 일하고 있는 캐나다 소비자단체들의 연합

European Research into Consumer Affairs (ERICA) - 유럽 각 지역에서 소비자보호를 위해 캠페인을 벌이고 연구활동을 하고 사람들에 의해 1980년에 설립된 소비자단체이다.

American Council on Consumer Interests (ACCI)

(15)환경/생태

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 반핵, 아시아 태평양 지역보존, 생물다양성, 기업의 환경에 대한 책무, 숲보호, 토지와 숲지의 정화, 토지관리, 해양보존, 강과 수자원보호등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Earthday Network - 184개국의 5000개 단체가 연합하여 만든 단체로 건강하고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환경적 문제에 대해 교육과 홍보를 통해 시민들의 인식을 높이는 활동을 한다.

Sierra Club - 환경에 관한 문제를 이슈와 지역별로 나누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관계자들에게 편지를 쓰거나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네티즌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소개한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환경단체중의 하나.

World Wide Fund - 지구환경의 보호와 생물다양성 존중, 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일하고 있는 단체들을 지원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세계적인 단체

Friends of the Earth International - 이 단체는 환경을 보호하고 손상된 환경을 복구하며, 지구의 생태학적, 문화적, 윤리학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경 보호를 위한 국민들의 참여와 민주적 결정을 증대시키고 사회경제적, 정치적 정의를 달성하며 모든 사람이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키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Center for Science and Environment - 인도의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천연 자원의 사용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 특히 각 지역의 하층민들과 여성을 대상으로 환경 보호의 당위성에 관한 교육을 강화하고, 환경 운동가를 육성하는 일을 한다.

GreenPeace - 환경의 모든 분야에 관여하고 있는 종합적인 환경 운동 단체이다. 이 단체의 목적은 생물의 다양성을 지키고, 토양/대기/해양/수질 등 모든 종류의 오염을 방지하며, 지구상에서 모든 핵 위험을 종식시키고, 평화 비무장 비폭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Rainforest Action Network - 전세계의 열대 우림을 보호하고 교육과 풀뿌리 조직, 비폭력 직접 행동을 통하여 그곳에 사는 토착민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Conservation International - 이 단체의 임무는 지구의 살아있는 자연 유산과 생태적 다양성을 보호하고 인간 사회가 자연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는 것이다.

Climate Action Network - 세계 287개 단체들이 인간의 환경 파괴로 인한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하여 연합하여 설립한 국제 조직이다.

Earth Pledge Foundation -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UNEP의 지원하에 설립된 비영리단체

Earthwatch -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과학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고 과학자들의 지도 아래 자연환경탐사에서 공중보건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The Earth Council -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명제하에 세계 정상회담 결과로 만들어진 비영리조직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 지구 생물자원의 보호에 관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분석, 편집, 제공하는 비영리, 비정부 단체이다.

(16)정보통신/인터넷

Econnect (Easy Connect) - 체코 공화국 내 다른 비영리의 조직이 전자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정보 산업에 쉽게 접근하는 것을 돕는 체코의 비영리 단체이다.

CPSR(Computer Professionals for Social Responsbility) - 컴퓨터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단체로 컴퓨터와 기술의 발전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기술의 발전만으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가정에 반대하며, 컴퓨터 관련 사회 이슈들에 대한 진단을 실시한다.

Privacy International - 증가하는 프라이버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40개국에서 백명 이상의 프라이버시 전문가와 인권조직들이 연대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만든 세계 조직이다.

Global Internet Liberty Campaign - 이 단체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우선검열제 반대, 콘텐츠 제공업자들의 책임과 데이터 제공자들 사이의 책임을 구분짓기 위한 법안 마련하기등에 관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The 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 - 이 단체는 디지털 시대에 민주적 가치와 헌법상의 자유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활동한다.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 이 단체는 디지털 시대의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기 위해 태어났다. 온라인에서의 사고와 표현의 자유, 정보와 생각을 공유할 자유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자유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잘못 입안된 법률에 대한 반대운동을 펼치고, 개인의 권리를 옹호할 수 있도록 법적 대리인으로 역할을 하기도 한다.

The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 평화, 인권, 환경개발 및 보호와 관련된 개인과 그룹을 정보의 전략적 사용과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기술을 이용해 후원하기 위한 시민 사회 단체의 국제적인 네트워크이다.

Free Software Foundation - 이들은 지불된 비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일단 소프트웨어를 입수한 뒤에는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친구나 동료와 함께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자유. 소스코드를 원용해서 이를 개작할 수 있는 자유,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자유의 보장으로 공동체 발전에도 기여한다.

Electronic Privacy Information Center - 미 수정헌법 1조의 표현의 자유 등에 대한 헌법적 가치와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관련된 정부의 정책과 기업의 활동에 대한 공공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하는 단체이다.

 


 

 

 

 

 

시민참여연대

제 1사무실
110-240 서울시 종로구 안국동 175-3 안국빌딩 신관 3층
대표전화 02-723-5300 팩스 02-723-5055

오시는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출구 1층에 '뚜레주르'빵집있는 건물(1사무실)


일반버스
1사무실앞 정차 : 2, 8-1, 16, 20, 84, 84-1, 153, 205, 205-1, 543
종로경찰서앞 정차 : 2, 6, 8, 16, 84, 84-1, 205, 205-1, 543

주차장
1사무실 오른쪽 30분마다 1,500원
※ 3층 사무실 입구 안내데스크에서 방문확인 도장을 받으시면 30분은 무료입니다.


제 2사무실 (참여사회연구소) 02-764-9581
110-340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30-6 운현신화타워빌딩 205호
3호선 안국역 4번출구 도보 5분 덕성여대 평생교육원과 경운학교 사잇길

참여연대는 1994년 9월 10일 200여명의 회원으로 창립되었습니다.
당시는 민주화 운동의 결과로 이른바 '문민정부'가 등장했지만 집권 초기의 금융실 명제 실시와 같은 개혁적 시도가 과거 기득권층의 반발로 유야무야되어 가던 어수 선한 시기였습니다.

참여연대 창립회원들은 민주화를 위한 오랜 노력이 제대로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반독재투쟁을 넘어서서 보다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권력감시운동이 시작되어야 한다 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민주화운동은 거리 위에서만이 아니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생활 곳곳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참된 민주주의는 누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라 시민 모두가 스스로 잃어버린 권리를 찾아 나서고 모든 지혜와 전문적인 역 량을 모아 연대할 때만 비로소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참여연대 창립선언문에 이러한 정신이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창립선언문은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 하기 위해 연대의 깃발을 들고자 한다"고 천명하고 "지금 우리는 시대적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나 우리의 민주주의 기반이 얼마나 취약한가를 절감한다"며 "참된 민 주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행동은 이제 사회와 정치무대의 한복판에서, 그리고 국민생 활의 과정에서 일어나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 "국민이 명실상부한 나라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 국가권력을 엄정히 감시하는 파숫꾼이 되어야 한 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참여연대'라는 명칭에도 이러한 정신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참여'는 국가권력의 남용과 재벌의 횡포, 그 밖의 모든 권리침해를 용납하지 말고 시민 스스로 권리와 정의를 찾아 나서자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연대"는 학연과 지 연을 넘어 사익이 아닌 공익을 위해 뭉치자는 뜻을 표현했습니다.

참여연대 명칭은 처음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약칭 참여연대) 이후 2차례 개정을 거쳐 참여연대로 확정되었습니다.

참여연대 창립선언문 전문 - 참여와 인권이 보장되는 민주사회를 함께 열어갑시다

지금 우리는 시대적 전환기에 서 있습니다.

경제성장이라는 구실을 내걸며 30년이 넘는 긴 세월동안 국민 위에 군림하던 군부정권은 마침내 국민의 결집된 힘 앞에 굴복했습니다. 소련과 동유럽 공산권 의 붕괴를 계기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도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 다. 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경쟁이 가속되면서 세계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개편 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피땀 속에 출범한 문민정부는 국 민의 열망을 외면한 채 개혁의 과제를 표류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 김일성 주석의 사망 후에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경색된 공안정국의 분위기는 우리의 민주주의적 토대가 얼마나 취약한가를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 한 역사적 시점에 선 우리는 민주주의의 알맹이를 채우고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국민 여러분의 의지와 지혜를 모아가야 하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우리는 변화에 변화를 거듭해 온 현실을 직시하면서 모두가 참여하는 사회,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연대의 깃발을 들고자 합니다.

80년대까지는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행동은 최루탄 연기가 자욱한 길거리 에서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다릅니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참 된 민주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행동은 사회와 정치무대의 한복판에서, 그리고 국 민의 일상생활의 과정에서 일어나야 합니다. 민주주의란 문자 그대로 국민이 나 라의 주인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주인이 머슴처 럼 취급받고 국민의 공복에 불과한 사람들이 주인 위에 군림하는 시대착오적인 현상이 만연해 왔습니다. 누가 권력을 잡든 이러한 본말전도적 현상을 스스로 개선하려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민 스스로의 참여와 감시가 필요합니다. 몇 년에 한 번씩 투표를 함으로써 나라의 주인의 지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닙 니다. 명실상부한 나라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 국가권력이 발동되는 과정을 엄정히 감시하는 파수꾼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민주주의는 인간성의 존엄이 실현되고 인권보장을 으뜸의 가 치로 삼는 정치이념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비인도적, 반인권적 권력에 맞서 싸우 면서 자유롭게 말하고 평화롭게 행동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자 힘써 왔습니 다.

그러나 시민적, 정치적 권리를 확보하는 과제는 미완의 숙제로 남아있습니 다. 새로운 세기의 도래를 눈앞에 두고 있는 지금 우리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수많은 사회문제, 인권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소외된 자, 억압받는 자에 대한 무 관심은 동료시민으로서의 신성한 의무를 방기하는 태도입니다. 우리는 기필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이웃들이 보다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여건을 함께 만들어 가야하겠습니다.

지난 몇 달에 걸쳐 우리는 지방자치와 남북통일, 복지사회의 미래상과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 가슴을 열고 논의를 펼쳐 왔습니다. 각계 각층의 인사들 이 토론의 장에 참여하였습니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 시민운동과 인권운동에 앞장섰던 사람들, 뜨거운 정열이 넘쳐흐르는 청년학도들, 권력에 의해 부당한 피 해를 받았다고 느끼면서도 벙어리 냉가슴 앓듯 하소연할 곳을 찾지 못하던 시민 들이 허심탄회하게 토론을 벌였습니다.

오랜 산고 끝에 우리는 새로운 사회의 지향점을 '참여'와 '인권'을 두 개의 축으로 하는 희망의 공동체 건설로 설정했습 니다. 우리는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약칭 참여연대)가 여러 시 민들이 함께 모여, 다같이 만들어 가는 공동체의 조그만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 마지 않습니다. 모두가 힘을 합쳐 새로운 시대, 참여와 인권의 시대를 만들어 갑시다.

기본정신
시민참여

참여연대의 조직과 구성 그리고 활동의 근원적 정당성은 회원과 잠재적 회원으로서 모든 시민들에게 있다. 참여연대의 의사결정과 집행은 궁극적으로 회원들의 의사로 귀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참여연대의 재정은 소액다수의 회원 회비만으로 충당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회원과 간사와 임원이 모두 한데 어울려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시민연대

참여연대는 모든 사회적 편견과 이기심의 벽을 허물어뜨려야 희망을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 목표를 위하여 뜻을 같이하는 개인이나 단체와 연대함으로써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큰 명분과 정치적 구호에 가려 시민의 삶을 위한 진정한 가치가 외면당하지 않도록 한다. 흩어져 있는 시민의 작은 권리 하나하나가 모이면 그것이 우리 사회의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소외된 사람이나 제도적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소수자를 위해 노력한다.


시민감시

참여연대는 권력이 있는 곳에 감시의 눈을 잠시라도 늦추지 않는다. 국가권력을 감시하여 그 권한의 행사가 주권자의 의사에서 벗어나지 않게 한다. 기업을 감시하여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경제활동의 주체가 집중된 경제력을 권력화하지 않고 도덕성을 잃지 않도록 한다. 그 어떤 다수의 세력도 힘으로 지배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참여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시민대안

참여연대는 각종 대안을 연구하고 주장합니다.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명시해 사회복지정책의 기준을 제시한 국민복지기본선확보운동은 그 좋은 예입니다.
정경유착 근절을 위한 부패방지종합대책, 재벌개혁을 위한 소액주주의 경영참가방안, 정치관계법 개정 등 정치개혁방안에 이르기 까지......
참여연대 부설 사단법인 '참여사회연구소'를 비롯한 참여연대 각 활동기구의 500여 전문가들이 이 일을 함께합니다.

참여연대는 창립선언문에 담겨 있는 창립 취지를 지키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기본정신으로 활동합니다.

 

 

시민단체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기
1. 사회개혁
경실련, 참여연대, 정치개혁시민연대, 인간성회복운동 추진협의회 등.

2. 사회복지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백혈병 어린이 후원회 등.

3. 환경.교통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녹색교통운동 등.

4. 여성.청소년
한국여성정치연맹, 청소년 폭력 예방재단 등.

5. 소비자.생활
녹색소비자연대, 한국소비생활연구원, 우리농산물살리기운동본부 등.

6. 교육.문화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등.

7.자원.봉사
사랑의먹거리나누기 운동본부, 한국자원봉사포럼 등.

*시민단체의 활동내용
-정치 관련시민단체들은 바른정치를 이루기 위한 활동을 한다.
예)깨끗한 선거가 이루어지는지 감시하는 활동, 청문회 내용 보고활동 등.
-환경 관련시민단체들은 환경보호를 위한 활동을 한다.
예)환경파괴가 우려되는 댐 건설및 간척사업 중지를 위한 활동등.
-경제관련 시민단체들은 경제 민주화 실천을 위한 활동을 한다.
예)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행정감시활동, 납세자의 권리보호운동등을 통하여
예산 낭비를 감시하는 활동 등.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은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한다.
예)교육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 등.

한국청년회의소
JC는 'Junior Chamber'의 약자로서, 청년회의소를 말한다.
JC는 1915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페기라는 소녀가 길가에서 놀다가 교통사고로 참변을 당하는 장면을 목격한 후 어린이에게 공원을 만들어 교통사고의 재발을 막고 지역사회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해야겠다는 헨리 기젠비어의 숭고한 창시이념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후 JC는 20세 이상 40세 이하의 청년이 지도역량개발, 지역사회개발, 국제와의 우호증진이라는 3대 이념을 실천하는 국제민간단체로 발전, 청년회원들이 지닌 무한한 잠재력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개발 및 세계회원국가와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세계 평화와 인류 번영을 이루는데 기여하고 있다.

 

신앙은 인간 생활에 의의와 목적을 부여하며, 인류는 국경을 초월하여 형제가 될 수 있으며, 경제적 정의는 자유기업을 통하여 자유인에 의하여 최선으로 달성되며, 정치는 법률에 기반을 두며, 인간의 자의로 행해질 수 없으며 이 지구상에 가장 위대한 보배가 인간의 개성속에 있으며 인류에의 봉사가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사업임을 우리는 믿는다.

 

우리는 시대적, 사회적 사명을 자각하고 JC 본연의 이념을 같이하는 청년들의 웅지와 정열을 한데 모아 자주적, 자립적, 자발적 실천력으로 복지사회 건설과 세계평화를 이룩하는데 총력을 다한다.

 

? 국제단체이다
한국JC는 국제청년회의소(JCI)의 회원국으로 국제사회를 위해 헌신하고 있다. 특히 천재지변이나 내전으로 고통받고 있는 지역을 지원하고 있으며 매년 세계대회와 지역대회에 참가 전세계 JC인과 JC우정을 나누고 있다.

? 청년이 중심된 단체이다
재능있는 젊은이를 발굴 엘리트 청년으로 육성, 이 사회에 유익한 청년지도자를 양성하는 사회의 사관학교이다.
JC는 다양한 경험과 견문을 넓히는 경영대학원이요, 젊은이의 재능을 키워주는 요람이요, 훈련도장이다.

? 민주주의 학교이다.
JC의 모든 직책은 1년 단임으로 회원들이 고르게 직위를 맡고 있으며 선거와 합리적인 절차에 의해 공정하게 선출된다.
각종 토론문화와 행사 운영을 통해 합리적인 사고를 갖게 된다.
토론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JC 고유문화는 회원들의 발표력과 표현력을 향상시켜 능동적인 인간상을 만들어 간다.
한국JC는 각종 선거 때 후보자 초청 토론회를 개최, 올바른 선거문화와 대의정치를 실현 민주주의 사회를 선도해 가고 있다.

? 우리나라 NGO의 선두주자이다.
1951년 전쟁으로 폐허된 조국을 JC운동으로 살리자는 숭고한 정신아래 창립한 이래로 조국재건운동 및 형제애 발양운동을 실시해 왔다.
이후 시대적 상황의 요청에 따라 대 지역민 물질 지원운동, 사회문제 해소 및 추방운동, 지역간 격차 해소운동, 정신 계도성 의식개혁운동을 비롯해 21세기 환태평양 시대를 위한 사회현실 참여운동을 실시했다.
최근에는 다원화 전문화 시대를 맞아 정보화 추진운동을 실시하는 한편 다양화된 NGO의 물결속에서 한국JC와 뜻을 같이하는 NGO와 교류를 강화 NGO의 선두주자로서의 면모를 대외에 과시하고 있다.


녹색연합회
녹색연합은 배달민족 유일한 삶 터인 금수강산을 오염으로부터 되찾고, 나아가 대안문명운동으로서의 녹색생명운동을 널리 펼쳐, 궁극으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어 살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립과 그에 바탕한 녹색대동세상 건설을 목적으로 합니다.

1991년 6월 창립하여 전국 1만여 명의 회원들과 함께하는 환경운동을 하고 있는 순수 민간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은,

밝고 희망찬 모습을 제시할 수 있는 아름다운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단순한 환경운동의 차원을 넘어 우리가 지향하는 생명운동으로서의 대안있는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작은 실천을 중시하고 그 실천이 우리들의 가치관과 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활속의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딱딱하고 기술적인 수치와 자료를 쉽게 풀어 재미있게 실천할 수 있는 재미있는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무엇보다 이 모든 것들을 국민, 정부, 기업, 전문가 등 모두가 하나되어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는 함께하는 환경운동을 펼칩니다.


부문별 주요활동 - 녹색연합은 이런 활동을 합니다


자연생태계보존활동
생태순환형 사회

모든 생명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여 생태계 질서의 보전과 회복을 위해 노력합니다. 자연과 생물의 권리를 인정하고 이들의 서식지인 자연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활동합니다.

○ 백두대간 보존운동
○ 갯벌보존운동과 간척사업 반대운동
○ 야생동물보호운동
○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무분별한 도시팽창과 도시문화는 우리의 삶터를 파괴시키고 있습니다.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자립가능한 도시와 마을 만들기를 통해 삶 속에서 대안을 만들고 있습니다.

○ 생태도시·마을만들기 운동
○ 도심 생태계 회복 운동
○ 환경자치의 실현

에너지운동
생명안전운동

핵발전과 화석연료 중심의 잘못된 에너지체계를 극복하고 재생가능한 에너지개발과 보급, 에너지 효율화 확산을 위해 노력합니다.

○ 핵발전소반대운동
○ 재생가능에너지보급 운동
○ 대형 송전탑건설로 인한 환경문제 대응
○ 에너지절약운동
생태계를 교란하고 생명윤리를 위협하는 유전자조작을 반대하며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생명안전과 생태계 질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 유전자조작식품(GMO)반대 운동
○ 환경호르몬 문제 대응활동
○ 생명복제 반대활동

비폭력평화의 실현
생태문화운동

우리는 전쟁의 종식과 평화를 위협하는 핵무기 등 살상무기 폐기, 전쟁위협을 야기하는 군비경쟁과 군수산업 중단을 위해 노력합니다.

○ 남북환경문제 대응
○ 미군·군기지로 인한 환경문제대응
○ MD 반대활동
○ 대인지뢰금지활동
자연과 더불어 살았던 우리의 문화를 존중하며 단순소박한 삶의 실천을 통해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운동을 합니다. 더불어 사람들 마음 속의 생태적 감수성을 일깨우기 위해 문화활동을 펼칩니다.

○ 월간『작은것이 아름답다』출판
○ 매년 녹색순례 진행
○ 어린이자연학교, 청년생태학교, 갯벌교육자양성워크샵 등의 정기교육사업
○ 월례 녹색포럼 개최

시민참여
시민환경권 실현

시민이 주인되어 환경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시민·회원모임, 자원활동모임이 운영되어 자발적인 환경운동을 진행합니다.

○ 산악모임 <녹색친구들>
○ 청년모임 <늘푸른청년의모임>
○ 청소년모임 <아이지엘>
○ 영상모임 <녹색다큐>
○ 회원모임 <녹색바람>
○ 국제연대 자원활동가모임
○ <생명운동공부모임>
○ <야생동물소모임>
○ <지하환경개선시민모임>
환경문제로 인한 인권침해를 방지하고 시민의 환경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 환경소송센터 운영
○ 환경민원대응
○ 환경피해자 법률구제활동
○ 공익환경소송

주소 및 연락처 안내 - 녹색연합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 주 소
136-821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113-34

☎ 대 표 전 화
02-747-8500

☎ 회원안내전화
02-745-5001, 5002



 

이의제기 내용추가
2007.08.14 12:33 추가
fare2004님의 이의제기에 따라 청소년보호육성회로 정정합니다. http://youthboy.net/
이의제기 내용추가
2007.09.30 18:29 추가
청소년사이버나눔터 지기입니다. 주소가 labbi.kr로 바뀌었으며 청소년 봉사활동 단체가 아니라 청소년 사이버 상담실입니다.

2008.02.11.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탈퇴한 사용자 답변

시민단체란,,,,,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이 스스로 만든 모임.

 

 

 

시민단체의 역활,,,,,,

 

 

첫째,,

책임의식을 갖고 있어 자유 평등 사회를 구현 하려는 이념을 가지고 있다.

 

 

시민단체의 종류와 하는일,,,,,

 

-정치문제

사회개혁(종류)

  • 경실련

경제 정의의 안정적 유지를 통해 공정하고 깨끗한 사회를 목적으로 결성된 시민단체

  • 정치개혁시민연대

국가 권력 감시 밑 시민 권리 보장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

 

( 그 외 인간성회복운동 , 추진협의회 등 )

하는일-정치 관련시민단체들은 바른정치를 이루기 위한 활동을 한다.

예)깨끗한 선거가 이루어지는지 감시하는 활동, 청문회 내용 보고활동 등

 

 

-경제문제

소비자,생활(종류)

  • 녹색소비자연대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인간다운 사뢰를 건설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만든 단체

  • 한국 소비자 생활연구원

소비자 교육,환경 친화적 소비 생활 연구개발등의 활동을 하는 단체

 

( 그 외 우리농산물살리기운동본부 등 )

하는일-경제관련 시민단체들은 경제 민주화 실천을 위한 활동을 한다.

예)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행정감시활동, 납세자의 권리보호운동 등을 통하여

예산 낭비를 감시하는 활동 등

 

-환경문제

환경,교통(종류)

  • 환경운동연합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된 단체

  • 녹색연합

국토오염방지를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

 

( 그 외 녹색교통운동 등 )

하는일-환경 관련시민단체들은 환경보호를 위한 활동을 한다.

예)환경파괴가 우려되는 댐 건설 및 간척사업 중지를 위한 활동 등

 

 

-문화보전(종류)

교육,문화

  • 열린문화운동시민연합

훼손되어가고 있는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우리 역사 바로 알기 운동' 을 전개하는 단체

청주시민회 직지 찾기 운동 본부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금속 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찾기 위해 조직된 단체

하는일-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은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한다.

예)교육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 등

(출처 : '시민단체의 역활' - 네이버 지식iN)

2008.03.26.

1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fhgp****
시민

* 청소년자원봉사센터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kyvc.youthnet.re.kr
서울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sy0404.or.kr
대구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tinc.co.kr/tgbongs
인천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youth.ghil.co
강원도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kyvc.or.kr
충북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cbyouth.or.kr
전북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jb0479.or.kr
전남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cyvc.or.kr
경남 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jabong2.or.kr


ㄱ.ㄴ.ㄷ.순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그리고 더 자세한 주소나 역할 등을 알고 싶으시면

각 사이트별로 그 기관의 연맹사이트나 인근지역 단체들에 대해서도 링크가 되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



강원도 청소년 상담실 - http://www.kwci.or.kr
경기도 청소년 종합 상담실 - http://www.hi1318.or.kr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http://www.nyc.or.kr
국립평창 청소년 수련원 - http://www.purumi.org
국제연합한국학생협회 - http://old.youthnet.re.kr
국제청소년문화협회 - http://old.youthnet.re.kr
그린 패밀리 녹색 소년단 - http://www.greenfamily.or.kr
근로청소년복지관 청소년상담실 - http://www.boram.or.kr


내친구 - http://www.myfriend.net
노원청소년수련관 - http://www.youthcenter.or.kr
농어촌청소년 육성재단 - http://www.fry.or.kr

대구광역시 청소년 상담실 - http://www.kyci.or.kr/daegu

대한 사회복지회 http://www.alovenest.com/    

대전 한국청소년마을 - http://www.kybc.org/dj
대한적십자사 http://www.redcross.or.kr/index.html
대한 YMCA 연합회 - http://www.ymca.or.kr

도움넷 http://www.bbbkorea.org/

따뜻한 세상만들기 http://www.ddase.com/


무등 청소년회 - http://mdyouth.or.kr
미래를 위한 만남 Space 1318 - http://www.1318.co.kr


보라매청소년수련관 - http://www.boramyc.or.kr
볼런티어21   http://www.volunteer21.org/
부산자원봉사센터 - http://www.volunteer.or.kr
부천 문화의집 - http://www.munhwa21.or.kr
북구청소년 회관 - http://www.bukguzzang.co.kr
북구짱 - http://www.bukguzzang.co.kr


사)우리누리청소년회 - http://www.munhwa21.or.kr
사이버유스 - http://www.cyberyouth.org
삼동청소년회 - http://www.samdongyouth.or.kr
서당골수련원 - http://www.seodanggol.

2008.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