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94년생 학생인데요
목돈좀 마련하기위해서 적금을 들려고합니다.
94년생이니까 만 16세잖아요 만 20세쯤에 군대를간다해서
4년동안 정기적금을 할생각인데요 질문좀하겟습니다.
1. 제가 지금 생일이 빨라서 고등학교 2학년인데요 고등학교 2,3학년때는 용돈을 타서 한달에
8만원정도를 들고 . 대학때는 아르바이트를해서 몇십만원넣어도 상관없나요?(적금 돈이 바뀌어도 되나)
2.제가 적금을 들때 되도록 이윤이 많이 남으면 좋잖아요. moneta라는 홈페이지에서 알아본결과
4년적금에서 금리가 제일 높은게 상호저축은행 : 광주 스마트저축은행 6.40 이고요
신협: 화곡신협 5.20입니다
근데 신협은 세금을 매우 낮게 할수있는 농특세란게 있더라고요
농특세를 하면 뭐가 더 이윤이 남을까요?
3. 또 상호저축은행과 신협은행에 인터넷뱅킹이 되는곳과 안되는곳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인터넷뱅킹이 되면 좋은점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상호저축은행과 신협은행에 적금 넣을때마다 찾아가야하나요 ? 그 먼 지역까지 ?
이렇게 질문 3개 올릴께요
정말 처음으로 지식in에 이런글 올려봅니다 ^_^
제가 뭔가 잘못된상식같은걸 알고있으면 지적해주셧으면 감사히 받아들이겟습니다 ^^
보잘것없는 내공은 100겁니다 ^^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질문에 간략하게 답변 드릴께요
1. 제가 지금 생일이 빨라서 고등학교 2학년인데요 고등학교 2,3학년때는 용돈을 타서 한달에
8만원정도를 들고 . 대학때는 아르바이트를해서 몇십만원넣어도 상관없나요?(적금 돈이 바뀌어도 되나)
적금은 크게 정기 적금과 자유 적금으로 나누어 집니다
정기 적금: 매달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1년에 12번 납입을 하셔야 됩니다 .
즉 1년 정기 적금을 넣으실 경우 12번을 납입 하셔야만 적금 만기가 됩니다
자유적금 :만기 한도를 정하셔서 정해진 한도내에서 돈을 마음대로 넣으실수 있습니다
즉 1천만원이 한도라면 한도 내에서 언재든지 마음대로 넣으실수 있습니다
즉 현재 8만원을 꾸준히 적금을 넣으시다가 나중에 금액을 더 넣으시려면
자유 적금을 가입 하셔야 됩니다 .
2.제가 적금을 들때 되도록 이윤이 많이 남으면 좋잖아요. moneta라는 홈페이지에서 알아본결과
4년적금에서 금리가 제일 높은게 상호저축은행 : 광주 스마트저축은행 6.40 이고요
신협: 화곡신협 5.20입니다
근데 신협은 세금을 매우 낮게 할수있는 농특세란게 있더라고요
농특세를 하면 뭐가 더 이윤이 남을까요?
위에 방식대로 저축을 하신다면 님께서는 만20세 성인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이자에 대해서 15.4%세금을 떼고 이자를 받는 과세 대상자 입니다
당연히 금리 이자가 높은 위에 말씀 드린 스마트 저축은행에 가입 하시면 이자를 높게 받겠네요 .
만20세 성인이 되셔야만 1인당 1천만원 세금우대 와 2금융에 조합원 가입 하신후
3천만원 까지 농특세 적금이나 예금에 가입 하실수 있습니다 .
3. 또 상호저축은행과 신협은행에 인터넷뱅킹이 되는곳과 안되는곳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인터넷뱅킹이 되면 좋은점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상호저축은행과 신협은행에 적금 넣을때마다 찾아가야하나요 ? 그 먼 지역까지 ?
인터넷 뱅킹은 모두 됩니다 .
적금을 처음 가입 하실때는 직접 가셔서 적금을 넣으셔야 됩니다
적금을 가입 하신후 매달 자동이체 신청을 하시거나 아니면 인터넷 뱅킹 신청을 하셔서
인터넷으로 적금을 넣고 싶은 날짜에 입금을 하시면 됩니다 .
위에 말씀 하신 저축은행과 2금융의 금리 이자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집과 가까운곳에 거래 하기 편리 하신곳에 적금을 넣으시면 됩니다
현 거주지가 어디신지 모르겠지만 금리가 광주가 높다고 해서 거기 까지 가셔서 적금을 넣게되면
넣을때와 찾을때 두번 왕복하셔야 되는 번거러움과 경비 즉 차비가 많이 들어 가게 됩니다 .
저에 말은 참고만 하세요
궁금 하신점 있으시면 쪽지 남겨주세요
2010.07.2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 제가 지금 생일이 빨라서 고등학교 2학년인데요 고등학교 2,3학년때는 용돈을 타서 한달에
8만원정도를 들고 . 대학때는 아르바이트를해서 몇십만원넣어도 상관없나요?(적금 돈이 바뀌어도 되나)
금의 종류는 여러가지입니다.
1. 정기적금 : 매월 정기적으로 같은 금액을 월 1회 납입하는 적금 ( 자동이체가능)
2. 자유적금 : 금액과 횟수에 상관없이 한도를 정하고 여러번 납입할 수 있는 적금(자동이체불가능,방문)
통상적으로 정기적금보다 그리가 0.3~0.5% 낮음
3. 목돈만들기 저축(1억만들기) : 기간5년~10년(10년유지시 비과세),
공시이율로 매월 이율변동, 복리상품, 보장성보험
2.제가 적금을 들때 되도록 이윤이 많이 남으면 좋잖아요. moneta라는 홈페이지에서 알아본결과
4년적금에서 금리가 제일 높은게 상호저축은행 : 광주 스마트저축은행 6.40 이고요
신협: 화곡신협 5.20입니다
근데 신협은 세금을 매우 낮게 할수있는 농특세란게 있더라고요
농특세를 하면 뭐가 더 이윤이 남을까요?
답변 : 1) 이율도 중요하지만 적금 같은경우는 개설과 해지시 지점에 방문 하셔야 하므로
가까운 곳에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2) 과세 15.4%
세금우대 9.5%
비과세 1.4% (전금융권 통합 출자금포함 4.000만원)
이 세율은 이자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예를 들어 1.000원의 이자를 수령한다고 하면
실질적으로 고객이 가져가게 되는 이자는...
과세 : 1,000원 - 154원 = 846원
우대 : 1,000원 - 95원 = 905원
비과세 : 1,000원 - 14원= 986원
이자금액이 클수록 본인이 수령하는 금액이 큰 차이가 납니다
3. 또 상호저축은행과 신협은행에 인터넷뱅킹이 되는곳과 안되는곳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인터넷뱅킹이 되면 좋은점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상호저축은행과 신협은행에 적금 넣을때마다 찾아가야하나요 ? 그 먼 지역까지 ?
답변 : 인터넷뱅킹은 고객님이 은행에 방문하지 않고 직접 납입이 가능함으로
편리 합니다. 하지만 정기적금 같은 경우는 자동이체를 해놓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뱅킹을 하는 번거로움 자체도 사라지게 됩니다.
만약인터넷 뱅킹이 되지 않는다면 적금 넣을때 마다 지점을 찾아가야겠죠....
종합답변 : 개인적으로 신협을 강력 추천합니다.
이율도 타 은행에 비해 높고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신협은 비 영리 은행이기 때문에 수익금 전액을 고객에게 배당해 주니
정말 좋은 은행이라 생각합니다.
201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