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22년도 당시 저는 코로나로 일자리 어려워 신청했구요
가구원은 제가 세대주(모48세)입니다
저는 65만원 소득이 있어 자활센터 도움 받지 않고 있습니다
딸 대학교 1학년 재직중
아들 군복무중 이었습니다
23년도 현재 저는 여전히 22년때랑 같은상황입니다
딸은 대학교2 재직중
아들은 군 복무을 6월달에 마쳤구요
7월달에 아르바이트 해서70만원 소득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서 생겨급여 중지 통지서가 우편으로 받았구요 이후 조건부수급자 결정났는데 아들 이름으로 통보가 왔습니다 그래서 자활지원센터에 가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아들 교육 받지 않겠다고 말을 안듣는다는겁니다 엄마 맘을 이렇게 힘들게 합니다
다음주부터 아들은 인력소에가서 일 한다고 교육상담 안받는다고 합니다
아들 수락 받고 수급자 되려고 하니 넘 힘드네요 이럴때는 아들을 주소 분리 될때까지 기다려야하는지요
그러자니 제가 힘들구요
자립별도가구 신청은 아들은 취업 후 꾸준히 소득 발생을했을때 수급자 유지 되는건가요?
아들 수입 발생시에 신청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다른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기초수급자 생계급여 중지에 대해 문의하셨네요.
[질문] 2022년도 11월에생계급여 신청해서 수급자선정되었습니다
22년도 당시 저는 코로나로 일자리 어려워 신청했구요
가구원은 제가 세대주(모48세)입니다
저는 65만원 소득이 있어 자활센터 도움 받지 않고 있습니다
딸 대학교 1학년 재직중 아들 군복무중 이었습니다
23년도 현재 저는 여전히 22년때랑 같은상황입니다
딸은 대학교2 재직중
아들은 군 복무을 6월달에 마쳤구요
7월달에 아르바이트 해서70만원 소득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서 생겨급여 중지 통지서가 우편으로 받았구요 이후 조건부수급자 결정났는데 아들 이름으로 통보가 왔습니다 그래서 자활지원센터에 가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아들 교육 받지 않겠다고 말을 안듣는다는겁니다 엄마 맘을 이렇게 힘들게 합니다
다음주부터 아들은 인력소에가서 일 한다고 교육상담 안받는다고 합니다
아들 수락 받고 수급자 되려고 하니 넘 힘드네요 이럴때는 아들을 주소 분리 될때까지 기다려야하는지요
그러자니 제가 힘들구요
자립별도가구 신청은 아들은 취업 후 꾸준히 소득 발생을했을때 수급자 유지 되는건가요?
아들 수입 발생시에 신청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다른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질문>
- 자립별도가구 신청은 아들은 취업 후 꾸준히 소득 발생을했을때 수급자 유지 되는건가요?
<답변> 자립별도가구 신청이나 다른 방법을 고려하시려면 아들이 교육을 받도록 설득하거나, 아들의 이름으로 수급자로 등록되지 않도록 주소 분리를 해야 합니다.
자립별도가구 신청은 가구원 중 한 명 이상이 자활지원센터에서 교육을 받거나, 취업을 하여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들이 취업을 하여 일정 기간 동안 일을 하고 소득을 발생시키면, 자립별도가구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들의 수입 발생 시에는 생계급여 수급액이 감소하거나 중단됩니다.
따라서, 아들이 일을 하게 된다면, 자활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아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 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아들 수입 발생시에 신청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다른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생계급여 수급과 관련하여 아들의 수입 발생 시에도 신청하는지와 다른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계급여 수급을 받고 있는 가구에서는, 가구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이 추가적인 수입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수입을 신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들이 아르바이트 등으로 수입을 발생시킨다면, 해당 수입을 주민센터에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고한 수입은 생계급여 수급액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일정 수입 이상이면 수급 자격이 변경됩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아들이 교육을 받지 않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이나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활지원센터나 관련 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아들을 설득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들에게 교육의 중요성과 장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일자리 구직 또는 진로 계획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마지막으로, 생계급여 수급과 관련된 규정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안내와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주민션터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알레그로 머니였습니다.
2023.09.1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