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인증과 한국식약처 인증은 둘 다 식품 안전과 관련된 인증이지만, 목적과 절차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HACCP 인증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식품 안전 관리 체계로, 식품 제조 및 가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HACCP는 위험 분석, 중요 관리점 식별, 관리점 설정, 모니터링, 보정 및 검증 등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ACCP 인증은 제3자 인증기관에 의해 수행되며, 국제적으로 식품 안전을 보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한국식약처 인증은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실시하는 국내 인증입니다. 한국식약처 인증은 식품의 안전성, 기능성, 품질 등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합니다. 한국식약처 인증은 국내 시장에서 식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요약하자면, HACCP 인증은 국제적인 식품 안전 관리 체계를 인증하는 것이고, 한국식약처 인증은 국내에서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것입니다. 두 인증은 각각의 목적과 범위에 따라 다른 절차와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3.08.2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현 HACCP컨설턴트입니다.
외국계 HACCP인증은 마트 등 대기업에서 주로 이용하며
SGS 등 외국계 컨설팅 업체에서 심사가 이루어집니다.
한국계 HACCP인증은 우리나라에서 모든 식품마다 의무적용 기준에 맞게 적용되며
의무적용식품은 미 인증시 납품이 아예 불가능합니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하 인증원)과 식약처에서 심사를 시행하는데
인증원은 최초인증 심사시, 정기심사 시 방문하고 식약처는 불시검문 심사시 방문합니다.
제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