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어디서 어떻게 찾아야 할지 아무리 찾아도 모르겠더라구여.
올 여름 방학 동안 봉사활동 100시간을 할려고 하는데
꼭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장애인 생활시설이어야만 하거든요.
정확하고 신빙성있으며 빠른 지식인여러분들의 답 기다립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사회복지법인에서 운영하는 장애인 생활시설은
전부 보건복지부 소관이며 모든 업부는 시 도로 이관되어 있습니다.
*전라남도 장애인 생활시설입니다.
시 설 명 | 법 인 명 | 시설장 | 소 재 지 | 거주인원 | 종사원수 | 비 고 | 전화번호 | ||
정원 | 현원 | 정원 | 현원 | ||||||
계(11개시설) |
| 818 | 771 | 345 | 334 |
|
| ||
목포광명원 | 목포광명원 | 하제룡 | 영암‧삼호 (목포) | 103 | 96 | 39 | 38 | 시각‧ 정신지체 | 061) 462-7356 |
목포농아원 | 소 림 | 이정숙 | 영암‧삼호 (목포) | 80 | 45 | 20 | 19 | 청각‧ 언 어 | 061) 462-6306 |
공생재활원 | 공생복지 재 단 | 윤향미 | 목포‧달동 | 120 | 121 | 46 | 46 | 정 신 지 체 | 061) 246-2036 |
목포장애인 요 양 원 | 〃 | 정영걸 | 무안‧청계 (목포) | 100 | 102 | 52 | 47 | 중 증 | 061) 453-3726 |
소망장애 복 지 원 | 소 망 원 | 정종록 | 목포‧대양 | 50 | 51 | 28 | 28 | 지 체 | 061) 273-0780 |
동 백 원 | 송 정 회 | 김영화 | 여수‧소라 | 90 | 85 | 28 | 28 | 지 체 | 061) 683-0678 |
동백요양원 | 〃 | 윤명숙 | 〃 | 40 | 40 | 25 | 24 | 중 증 | 061) 683-0678 |
애양직업 보 도 소 | 애 양 원 | 류경운 | 순천‧매곡 | 40 | 18 | 8 | 6 | 지 체 | 061) 752-4716 |
계산요양원 | 계 산 원 | 나종학 | 나주‧삼영 | 50 | 50 | 30 | 30 | 중 증 | 061) 332-9967 |
성 산 원 | 〃 | 〃 | 〃 | 45 | 45 | 22 | 22 | 정 신 지 체 | 061) 332-9968 |
삼 강 원 | 곡성삼강원 | 윤경선 | 곡성‧곡성 | 100 | 118 | 47 | 46 | 정 신 지 체 | 061) 363-2346 |
2005.07.18.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장애인생활시설은 장애인이 필요한 기간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애로 인해 장기간 요양하는 시설로
▲장애유형별 생활시설(장애유형이 같거나 또는 유사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입소 또는 통원하게 하여 그들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의료․교육․직업․심리․사회 등 재활서비스와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중증장애인요양시설(장애의 정도가 심하여 항상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입소하게 하여 상담․치료 또는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장애영유아생활시설(6세 미만의 장애영유아를 입소 또는 통원하게 하여 보호함과 동시에 그 재활에 필요한 의료․교육․심리․사회 등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가시면 관련기관 바로가기코너가 있습니다. 관련기관 중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http://www.kawid.or.kr/)로 들어가시면 장애유형별, 지역별 시설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님께서 자원봉사 하고자 하는 지역이 전라남도인 것 같은데 안타깝게도 전라남도에는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에 가입 된 시설이 아직까지는 없는 것 같습니다. 대신에 전라북도에는 장애인생활시설이 12개 곳이 있습니다.
▲ 국제어린이재활원 (전북 완주군) ▲ 동그라미재활원 (전북 익산시) ▲ 동암재활원 (전북 전주시) ▲ 만복원 (전북 정읍시) ▲ 영광의집장애인동산 (전북 김제시) ▲ 영산원 (전북 전남 익산시) ▲ 영산의집 (전북 전남 익산시) ▲ 자림인애원 (전북 전주시) ▲ 자애원 (전북 정읍시)▲ 작은자매의집 (전북 익산시) ▲ 전북보성원 (전북 전남 익산시) ▲전주자림원 (전북 전주시)
장애인복지시설협회 홈페이지에 가시면 각 생활시설에 대한 정보(취급장애유형, 연락처 등)를 더욱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희망하는 기관에서 자원봉사하시길 바랍니다.
2005.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