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안녕 하세요!
아버지 돌아가시고 농업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농관원에서 경영체 등록이 안된다고...오늘 말씀하시네요
기존 농업 경영체 : 아버지(경영주)외 1인(어머니)
아버지 돌아가셔서 농지 상속(제명의로 변경) 완료 하였고
농관원에서는 제가 직장다니고 있고 직장 가입자(건강보험,국민연금) 여서 경영등록 자체가 안된다고 하시는데...
농협에서 영농자재(비료,비닐,농약), 면세유 받으려 조합원 가입 해야하는데
경영체 등록이 있어야 가입이 된다고 하시네요.
대체 등록이 왜 안된다고 하시는지...
저보고 아버지 등록번호는 더이상 사용 못하고 신규로 할거면 어머니와 같은 주소 이니
세대 분리 하고 모심고 신규로 하라 하시는데.. 상속이라 말씀드렸는데도
법령을 알지 못하시고 등록이 안된다고만 하시고...
동네 형님도 저와 비슷한 상황이신데 1월에 농업경영체 등록도 다 하셨는데... 3년전이기는 하지만...
농관원에서 잘못 아시는건지... 등록은 해야 하고... 난감 하네요..
1. 요약 : 아버지 돌아 가신 후 농지 상속 완료
2. 농업경영체 등록 거부, 영농자재, 면세유 구매 목적 조합원 가입 요청(농업경영체등록후)
3. 직장 다니고 있어 경영체 등록 불가, 아버지 경영체 코드로 승계 하겠다, 안된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공산주의자라는 문재인이가 퇴임전에 2021년에 농지법을 강화시켜 도시인이나 연소득(근로.사업)이 3,700만원을 초과하는 직장인은 농지취득을 해서 농업경영체등록도 농지를 판매하는것도 어렵게 만들어 놓아서 지금 농촌에서는
농지를 못팔아 자녀들 결혼도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상속으로 농지를 취득 하는 것은 농지취득증명이 필요없어 취득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상속 농지와 농업경영체등록은 별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직장인이라도 소득이 많더라도 농업경영체 등륵 가능하고
따라서 농업인도 가능 합니다.
다만 농업경영주로만 가능합니다.
즉 경영주가 아닌 농업인으로는 등록이 안됩니다.
경영주로 농업경영체를 등록하려면 귀하가 세대분리를 해서
세대주로 주민등록을 하고 귀하가 직접 경작을 해놓은후에 농업경영주로 농업경영체등록을
신청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직장인이라도 농업경영체 등록이나 농지 구입도 가능합니다
다만 직접 자경은 해야 합니다.(경영체등록시 동네 이장의 자경확인서등이 필요함)
자경은 손이 덜 가는
과수나 다년생약용작물 등을 심고 가꾸면 됩니다.
그러나 농업경영인의 다른 연소득(근로소득, 영업소득)이 3,700만원이상시
직불금등 각종 농업인 혜택이 제한이 될수는 있으나 농자재구입은 지역농협가입후 가능함
참고사항..아래규정 때문에 세대를 분리하고 경영주로 경영체등록을 신청하라는 뜻 같습니다.
농업경영체에 경영주 외 농업인(가족원인 농업종사자)으로 등록하려면, 다음 세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첫째, 경영주의 가족원으로서 경영주와 주민등록표에 6개월 이상 연속적으로 함께 등록된 사람(배우자의 경우 예외 인정)
둘째, 경영주의 주소가 농촌(준농촌 포함)에 위치하고 경영주의 가족원인 농업종사자 또는 경영주의 주소가 농촌(준농촌 포함)이 아닌 지역에 위치하고 경영주의 가족원인 농업종사자로서 가족농업인의 영농사실 확인서를 제출한 사람
셋째,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또는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단, 18세 미만 제외)
관련법령 :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4조(농어업경영정보의 등록)
2024.03.1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아버지의 상실에 대해 마음 깊이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 농업을 이어가려는 마음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농관원에서 말씀하신 등록 문제에 대해 알고 계신 것처럼, 경영체 등록이 어려운 상황이시군요. 아버지의 경영체 코드로 승계하고 싶으시지만, 말씀하신 대로 직장에 다니고 계시다 보니 등록이 불가하다는 말씀을 들으셨군요. 이 부분이 정말 난감하실 것 같아요.
일단, 농업경영체 등록은 상속 후에도 가능해야 할 것 같은데, 가끔씩 규정이나 절차가 복잡하게 얽혀서 업무를 처리하는 분들이 잘못 이해하실 수도 있어요. 특히나 농관원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으니, 자세한 상담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혹시, 다른 농업 관련 기관이나 지역 농업 지원 센터에 문의해보셨나요? 그곳에서 좀 더 구체적인 정보나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도 몰라요. 그리고 동네 형님처럼 등록이 되신 분이 계시다면, 그 분에게 어떤 절차를 따르셨는지도 여쭤보면 좋을 것 같아요.
상황이 복잡하지만, 포기하지 마시고 꼭 필요한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