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힘이되는 평생친구 보건복지부입니다.
장애인활동보조인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애인활동보조인 교육과정>
구분 | 과목 | 교육 내용 | 세부 내용 | 교육시간 | |
이론 | 실기 | ||||
공통과정 (20시간) | 활동보조Ⅰ |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 - 식사 보조 및 개인위생 보조 - 주거환경위생 보조 - 이동ㆍ외출ㆍ사회활동 보조 | 5 | 5 |
의사소통 | - 효과적인 듣기의 태도와 방법 - 관계 형성 | 2 | 2 | ||
문제 상황과 해결 | - 문제 유형별 이해와 대처방법 | 2 | 2 | ||
서비스 기록 및 보고 | - 기록과 보고의 목적과 중요성 - 업무일지 기록 및 보고 방법 | 1 | 1 | ||
전문과정 (20시간) | 장애인 복지 개관 | 장애인 복지 관련법 | - 5대 장애인 복지 법령의 제정 배경ㆍ취지 및 주요 내용 | 1 | - |
장애인활동 지원 법령 및 제도 | - 장애인활동 지원 법령 및 제도 | 1 | - | ||
장애와 활동보조인 역할 이해 | 장애와 자립생활의 이해 | - 장애의 개념 - 장애인과 그 가족 이해 - 자립생활 이해 | 3 | - | |
활동보조인의 역할 이해 | - 활동보조의 목적과 기능 - 업무의 종류와 범위 - 직업윤리와 자세 -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의 상호 협력 - 장애인 인권침해 예방 | 2 | 1 | ||
활동보조인의 자기관리 | - 안전 및 건강관리 - 정서 관리 - 보수교육(補修敎育)의 필요성 | 1 | - | ||
활동보조Ⅱ | 장애유형별 활동보조 실제 | - 장애유형별 특성 - 장애유형별 주요 보조기구 이해 - 장애유형별 의사소통 방법 - 장애유형별 활동보조 | 4 | 3 | |
안전관리 | - 생활안전관리 및 응급상황 대응 | 1 | 2 | ||
서비스 제공과정 관리 | - 활동보조서비스 관련 기록 및 보고 - 부적정한 급여 청구에 대한 제재 규정 | 1 | - | ||
소계 | 24 | 16 | |||
현장실습 (10시간) | 활동보조서비스 제공기관 현장실습 | 10 | |||
계 | 50 |
장애인활동보조인으로 일하시기 위해서는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위의 교육과정을 수료 후 활동보조 제공기관에 등록하셔야 활동보조인으로 일하실 수 있습니다.
위 답변내용에 대한 추가 문의사항이나 기타 보건복지정책에 관해 문의하실 사항이 있으시면 보건복지콜센터(국번없이 ☎129)로 연락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03.22.
-
채택
지식인 채택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