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기준중위소득100% 확인법
비공개 조회수 5,536 끌올 작성일2023.04.25
제가 기준중위소득100%에 해당되는지 정확히 확인하는방법이 뭔가요?
건강보험료로 기준잡으면 해당되고, 소득으로는 애매해서요..
소득으로 확인할때 저는 4대보험 같은거 없고 3.3%원천징수만 신고들어가서 건강보험에는 소득 최하위입니다.
3.3% 신고되는것도 소득으로 다 포함되겠죠??

제가 해당되는지 안되는지 정확히 확인할 방법없을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4개 답변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제로
영웅

3.3% 들어간 것도 소득으로 잡힙니다.

국가에서 생계급여, 기초연금, 한부모급여 등 급여 지원형태는 보험료 기준이 아니라

직접 공무원이 소득 조사를 통해 소득인정액을 산정합니다.

월 근로소득 뿐 아니라 부동산, 금융, 자동차 등의 재산을 월 단위로 환산 후

소득인정액에 반영합니다.

직접 조사하지 않고 의료보험료에 따라 소득 기준 이하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 있습니다.

복지 서비스가 직접 조사방식인지, 의료보험료 기준인지 확인하고

직접 조사하는 방식이면 계산 방법이 복잡하므로

모의계산기 등을 이용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한 글을 남겨 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2023.05.0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투디스크
태양신
#영화의모든것 #애니메이션전문가 #드라마덕후 애니메이션, 드라마영화 72위, 액션, 무협 영화 분야에서 활동

안녕하세요

## 기준중위소득 100% 확인법

기준중위소득 1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1. 건강보험료 확인하기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잡으면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일 경우, 건강보험료가 감면되며, 이를 통해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소득확인서 및 원천징수 납부내역 확인하기

소득으로 해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소득확인서와 원천징수 납부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4대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신고서류에서 소득이 최하위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상세한 내용을 파악해야 합니다.

### 3. 기타 방법

- 지방세 등 공공요금 체납 여부 확인하기

- 신용등급이나 대출 한도 등 금융정보의 확인을 통해 추측하기

### 4. 전문가 상담

위의 방법들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없다면, 전문가 상담을 통해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준중위소득 1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활용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채택률이 낮으면 답변이 안달립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2023.04.26.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영웅

[질문하신 내용]

제가 기준중위소득100%에 해당되는지 정확히 확인하는방법이 뭔가요?

건강보험료로 기준잡으면 해당되고, 소득으로는 애매해서요..

소득으로 확인할때 저는 4대보험 같은거 없고 3.3%원천징수만 신고들어가서 건강보험에는 소득 최하위입니다.

3.3% 신고되는것도 소득으로 다 포함되겠죠??

[답변내용]

질문하신내용을 보니 중위소득 계산방법에 대해 궁금하신것 같아요. 그래서

기준중위소득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담았어요

일단 중위소득을 결정하는 소득인정액에 대해 대략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대략적인 소득인정액에 대한 내용을 숙지하신 후 기준중위소득을 파악하시면 앞으로 전략짜실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자세히 답변드렸어요~ 내용 보시고 도움되시면 답변 채택 부탁드려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

소득인정액 계산하기 [기준중위소득]

https://naver.me/5wH3mLf5

기준중위소득 알아보기 2023

https://naver.me/Fv7fPGu4

2023.04.26.

5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사용자 신고를 받고, 운영원칙에 따라 삭제된 답변입니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