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질문
infra와soc의 차이점
meth****
조회수 30,332
작성일2003.07.30
infra와 soc는 같은 의미로 쓰인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여`~
이 둘을 나누는 기준이랄까
이 둘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것을 인프라라고 부르는지
soc로 부르는지
좀 비교해주세여`~~
예를들어 정보인프라라고 하는데 그러면 정보soc라고는 하지않는 이유`~
비유가 적절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둘이 갈라지는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저번에 올렸더니 아무도 답변이 없어서 또올립니다
단순한 나열이 아닌 명확한 차이를 알려주세여`~
이 둘을 나누는 기준이랄까
이 둘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것을 인프라라고 부르는지
soc로 부르는지
좀 비교해주세여`~~
예를들어 정보인프라라고 하는데 그러면 정보soc라고는 하지않는 이유`~
비유가 적절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둘이 갈라지는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저번에 올렸더니 아무도 답변이 없어서 또올립니다
단순한 나열이 아닌 명확한 차이를 알려주세여`~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번째 답변
단순 뜻의 나열은 밑에 참고 하시면 되고요,
정리하자면, soc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라면,
인프라는 하드웨어만을 지칭하는 협의의 개념으로 쓰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사회간접자본 [ 社會資本 , social overhead capital ]
정부 및 기타의 공공단체 공급자가 되는 설비 및 서비스 관련 시설류의 총칭.
일반적으로 행정투자와 정부기업투자의 누적액(累積額)인 공공적 자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에 대해 제공되며 무상 또는 약간의 대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즉 자본을 말한다.
개인의 부담으로 건설되고 그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사적 자본(민간자본)과는 구별된다.
사회자본은 사회간접자본, 사회적 간접자본, 사회적 공통자본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사회자본이 생산활동 ·소비활동 등의 일반적 경제활동의 기초가 되며 재화 ·서비스 생산에 간접적으로 공헌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자본은 ① 산업기반시설(도로 ·항만 ·토지개량 등), ② 생활기반시설(상하수도 ·공영주택 ·공원 ·학교 ·병원 ·보육 ·양로시설 등), ③ 국토보전시설(치산 ·치수 ·해안간척 등), ④ 수익사업(국유림 조성 및 보호, 정부산하 금융기관의 자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사회자본을 더 넓게 해석하면 대기 ·하천 ·해수(海水) 등의 자연과 사법 ·교육 등의 사회제도까지를 포함한다.
인프라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다시 말하자면 기간 시설을 말합니다.
인프라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준말로.... 본래는 하부구조·하부조직 등의 일반적 용어이지만 오늘날에는 경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시설·제도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동력·에너지 관계시설, 도로·수로·공항· 항만·전신·전화 등의 교통·통신시설, 상하수도·관개·배수시설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고유의, 즉 좁은 뜻의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한다.
이에 대하여 학교·박물관 등의 교육·문화시설, 보건·의료·복지 등의 시설, 국토보전·도시계획관계 등의 모든 시설 등의 일반적 경제활동의 기초 조건을 구성하는 자본시설을 넓은 뜻의 인프라스트럭처라고 한다.
정리하자면, soc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라면,
인프라는 하드웨어만을 지칭하는 협의의 개념으로 쓰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사회간접자본 [ 社會資本 , social overhead capital ]
정부 및 기타의 공공단체 공급자가 되는 설비 및 서비스 관련 시설류의 총칭.
일반적으로 행정투자와 정부기업투자의 누적액(累積額)인 공공적 자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에 대해 제공되며 무상 또는 약간의 대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즉 자본을 말한다.
개인의 부담으로 건설되고 그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사적 자본(민간자본)과는 구별된다.
사회자본은 사회간접자본, 사회적 간접자본, 사회적 공통자본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사회자본이 생산활동 ·소비활동 등의 일반적 경제활동의 기초가 되며 재화 ·서비스 생산에 간접적으로 공헌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자본은 ① 산업기반시설(도로 ·항만 ·토지개량 등), ② 생활기반시설(상하수도 ·공영주택 ·공원 ·학교 ·병원 ·보육 ·양로시설 등), ③ 국토보전시설(치산 ·치수 ·해안간척 등), ④ 수익사업(국유림 조성 및 보호, 정부산하 금융기관의 자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사회자본을 더 넓게 해석하면 대기 ·하천 ·해수(海水) 등의 자연과 사법 ·교육 등의 사회제도까지를 포함한다.
인프라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다시 말하자면 기간 시설을 말합니다.
인프라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준말로.... 본래는 하부구조·하부조직 등의 일반적 용어이지만 오늘날에는 경제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시설·제도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동력·에너지 관계시설, 도로·수로·공항· 항만·전신·전화 등의 교통·통신시설, 상하수도·관개·배수시설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고유의, 즉 좁은 뜻의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한다.
이에 대하여 학교·박물관 등의 교육·문화시설, 보건·의료·복지 등의 시설, 국토보전·도시계획관계 등의 모든 시설 등의 일반적 경제활동의 기초 조건을 구성하는 자본시설을 넓은 뜻의 인프라스트럭처라고 한다.
2003.07.3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내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 공지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