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구별법 부탁드리겠습니다ㆍ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신용 평가시 KCB(올크레딧or토스)는 신용카드 이용 행태와 같은 신용카드 거래및 대출및 신용거래서비스 등의 행태를 반영하며,
NICE(나이스지키미) 에서는 과거 연체이력및 금융거래사고이력 등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두 신용평가사에서 더 중요하거나 더 정확한 기관은 없으며,
신용평가기관의 평균적인 신용평점을 반영하며,
따라서 두 신용평가사의 신용점수를 관리하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2023.07.12.
올크레딧과 나이스 신용점수가 다른 큰 이유는 평가하는 기준 차이입니다.
항목 수와 각 항목 비율이 다르게 책정이 되고 있습니다.
올크레딧과 나이스 신용점수 등급&차이점
4가지 항목 간단 정리
1.상환이력
채무를 꾸준하게 잘 상환했는지를 파악합니다.
2.부채수준
연봉에 대비하여, 채무에 대한 월 납입금의 비중이 적합한지를 파악합니다.
3.거래형태
첫 대출을 시작으로 갑자기 급격하는 건수 혹은 채무액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4.거래기간
평소에 카드 사용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서 평가를 하는지를 파악합니다.
우선 나이스 신용점수입니다.
상환이력 30.6%
부채수준 26.4%
거래형택 13.3%
거래기간 29.7%
나이스는 평가항목이 4개로 올크레딧보다는 1개가 적기에 상환이력과 거래 기간에
포커스가 맞춰진 형태입니다. 이것이 올크레딧과 큰 차이입니다.
올크레딧 신용점수
상환이력 21%
부채수준 24%
거래형태 38%
거래기간 9%
비금융 8%
나이스보다 1개의 항목이 많지만,
부채 수준은 나이스와 2% 차이가 나고,
거래형태가 나이스보다 25%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3.07.17.
올크래딧, 나이스 모두 올바른 신용조회입니다
다만 점수 기준이 조금씩 다른데요 신용점수 등급 조회 및 점수 바로 올리는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3.07.21.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