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지금 컴퓨터 시간에 윈도우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의 기능을 적어보라는데..
F2 :
Alt + F4 :
Alt + Tab :
Ctrl + C :
Ctrl + V :
Ctrl + X :
이런식으로 답변 부탁드릴게요~
빠른 시일내로 해주세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윈도우(WindowKey 키) + ...
윈도우키 : 시작메뉴 부르기 ( = Ctrl + Esc )
윈도우키 + D (토글) : 바탕화면보기 ( = 화면에 나타난 창을 모두 작업표시줄로..)
윈도우키 + M : 바탕화면보기 2 ( cf; 윈도우키 + Shift + M : 창 원래대로..)
윈도우키 + E : 윈도우탐색기열기
윈도우키 + F : 검색창 ( = 찾기에서 "파일또는 폴더")
윈도우키 + Ctrl + F : 검색창 ( = 찾기에서 "컴퓨터")
윈도우키 + R : 실행창 ( = 시작 -> 실행)
윈도우키 + Tab (+ Enter) : 프로그램 이동
윈도우키 + F1 : 윈도우 도움말
윈도우키 + Pause/Break : 시스템 등록정보
2. Alt + ...
Alt + 방향키 : 뒤로 (<-) , 앞으로 (->) (인터넷 익스플로러 또는 탐색기에서)
Alt + Space Bar : 시스템 메뉴 호출
Alt + Enter : 등록정보 보기
Alt + F4 : 프로그램 종료 (현재 프로그램을 바로 종료시킴)
Alt + Tab : 프로그램 이동 ( Enter 누를 필요없이 바로 이동)
Alt + F : 응용프로그램의 "File" 메뉴 호출
기타 단축키
PrtScnSysRq : 윈도우 전체 화면을 클립보드에 복사
Alt + PrtScnSysRq : 활성화 되있는 프로그램 화면을 클립보드에 복사
3. Ctrl + ...
Ctrl + Esc : 시작메뉴 부르기 ( = 윈도우 키)
Ctrl + F4 : MDI 프로그램 문서닫기 (mIRC 같은 프로그램)
Ctrl + Alt + Delete : 프로그램 강제 종료 (작업관리자로 이동하여 선택적 종료)
Ctrl + Home : 커서위치부터 동일한 줄에 있는 앞으로 모든글 선택
Ctrl + End : 커서위치부터 동일한 줄에 있는 뒤로 모든글 선택
Ctrl + → 방향키 : 한문단 앞으로 이동
Ctrl + ← 방향키 : 한문단 뒤로 이동
Ctrl + Shift + → 방향키 : 한문단 앞으로 선택
Ctrl + Shift + ← 방향키 : 한문단 뒤로 선택
Ctrl + Shift + Esc : 작업관리자 실행
Ctrl + W : 현재창 닫기 (한 프로그램에서 여러창 띄운 경우 - 프로그램 종료와는 다름.)
Ctrl + A : 모두선택
Ctrl + C : 복사하기
Ctrl + X : 잘라내기
Ctrl + V : 붙여넣기
Ctrl + S : 저장 (편집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Ctrl + P : 프린터
Ctrl + Z : 되살리기
Ctrl + Y : 되살리기 취소
Ctrl + D : 삭제 하기
4. Shift + ...
Shift + Delete :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
Shift + CD 넣기 : CD 자동 실행 않기
Shift + 방향키 : 블록 지정하기
Shift + 폴더 (더블) 클릭 :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처럼 열기
Shift + F10 : 바로가기 메뉴
☀ 다음은 문서 편집시 사용되는 윈도우 단축키 입니다.
커서가 있는 위치에서 Shift + End : 커서위치부터 끝까지 선택 하기
커서가 있는 위치에서 Shift + Home : 커서위치부터 앞까지 선택 하기
Shift + Insert : Ctrl + V 와 같은 기능
Shift + Home : 뒤로 한문단 선택하기
Shift + End : 앞으로 한문단 선택하기
Shift + Backspace : 뒤로 한문단 지우기
Shift + Delete : 앞으로 한문단 지우기
Shift + PageUp : 커서위치 부터 위로 50줄 선택
Shift + PageDown : 커서위치 부터 아래로 50줄 선택
Shift + Ctrl + PageUp : 커서위치 부터 위로 모든 글 선택
Shift + Ctrl + PageDown : 커서위치 부터 아래로 모든 글 선택
Shift + Space : 한영전환
Shift + Ctrl + → : 앞으로 한글자씩 선택 하기
Shift + Ctrl + ← : 뒤로 한글자씩 선택 하기
5. 마우스와 단축키
Ctrl + 마우스 클릭 : 떨어져있는 복수 개체 선택
Shift + 마우스로 두군데 파일을 지정 : 연결된 복수개체 선택
Ctrl + 마우스 드래그 : 복사하기
Shift + 마우스 드래그 : 이동하기
Ctrl + Shift + 마우스 드래그 :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Shift + X 표시 마우스 클릭 : 현재 폴더와 상위 폴더 닫기
6. Space Bar '단축키 기능'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마우스나 화살표키를 쓸 필요없이 스페이스바를 치면 현재 화면에서 아래 화면으로 내려갑니다.
이메일을 읽다가 현재 창에서 읽기가 끝났을 때는 스페이스바를 치면 아래로 내려갑니다.
메일 읽기가 끝났을 때 스페이스바를 치면 다음 메일로 넘어갑니다.
엑셀에서는 지울 내용이 있는 칸에 커서를 대고 `Delete' 키나 `Back Space' 키를 누르지 않아도, 스페이스바 한번만 누르면 내용이 전부 지워집니다.
파워포인트에서는 슬라이드 기능을 쓸 때 스페이스바를 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7. Alt + Tab
윈도우의 멀티태스킹 기능으로 여러 프로그램 띄워 놓고 있을 때, 작업전환은 보통 마우스의 포인터로 하는데 단축키 `Alt + Tab' 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작업창을 여러개 띄운 상태에서.. Alt 키와 Tab 키를 동시에 누른 후 Alt 키는 그대로 누른채 두고 Tab 키만 떼면 화면중간에 현재 활성화된 프로그램 전부를 보여주는 창이 뜨고 이 상태에서 Tab키를 툭툭 눌러보면 블록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꿀 작업창으로 블록을 움직이면 됩니다. 손에 익으면 마우스를 쓰는 것보다 더 편합니다.
또한 이 단축키를 이용하면 마우스 작동이 멈췄을 때도 안전하게 재부팅할 수 있습니다. 먼저 Alt + Tab을 눌러 작업창을 띄운 뒤, Alt + F4 를 눌러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프로그램 종료가 끝나면 자판에 있는 윈도우키를 누른 후, `시작' 창이 뜨면 화살표 키로 시스템 종료를 택한 뒤 엔터.
8. Ctrl + Enter
익스플로러에서 가장 대표적인 주소인 http://www.**.co.kr 을 곧바로 띄워줍니다. 주소창에 kbs 라고만 치고, 콘트롤키와 엔터키를 함께 누르면 http://www.kbs.co.kr/ 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5.5 버전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5.5 보다 낮은 버전 사용자는 .co.kr 대신에 .com 으로 연결됩니다.
9. Esc (시작화면 없이 바로 윈도우 띄우기)
컴퓨터를 부팅할 때 윈도우 로고, 즉 시작화면을 띄우는 시간이 지겨운 분들은 윈도우 부팅할 때 `Esc' 를 누르세요.
시작화면을 아예 없애려면 윈도우 98 사용자의 경우 루터폴더에 있는 `msdos.sys' 라는 파일을 메모장에서 열고 `Options' 항목을 찾아 logo 값을 0 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이 파일은 읽기전용이므로 편집을 하려면 속성을 바꿔줘야 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파일인 만큼 초보자들은 가급적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시스템을 다시 켜야 하는 경우 컴퓨터 전체를 재부팅하기보다는 윈도우만 다시 시작하게 하는 것이 기다리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재시작을 시키려면 윈도우 시작 메뉴에서 종료 버튼을 누를 때 `시스템 다시 시작' 메뉴를 선택하면서 시프트 (Shift) 키를 누르고 있으면 됩니다. 그러면 컴퓨터는 윈도우 재시작만 하기 때문에, 시스템 재시작을 할 때 컴퓨터가 자기진단을 하면서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10. 한자키 + 한글자음 (윈도우나 익스플로러 등에서 특수문자 사용)
윈도우나 익스플로러 등에서 글쓰기를 할 때 가끔 ▲ 나 ☎, ♨ 등과 같은 특수문자를 써야 할 때가 있는데 아래아한글이나 워드를 실행시켜 원하는 특수문자를 찾아 복사해서 옮겨쓰는 방법이 아니라 윈도우키 (한글자음 + 한자키) 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한자가 나오는 조그만 창으로 여러 특수기호들이 나타남.)
- 한자키 + ㅂ : ─ │ ┌ ┐ ┘ └ ├ ┬
- 한자키 + ㄴ : '나' 등의 기호를,
- 한자키 + ㅈ : 로마자 숫자 ( ⅰ ⅱ ⅲ ⅳ나 Ⅰ Ⅱ Ⅲ Ⅳ...)
- 한자키 + ㅅ : 기수형 한글자음 ( ㉠ ㉡ ㉢ ...)
한자키 + ㄱ : (공백) ! ' , ./ : ; ? ^ _ ` |  ̄ 、 。 · ‥ … ¨ 〃 ― ∥ \ ∼ ´ ~ ˇ ˘ ˝ ˚ ˙ ¸ ˛ ¡ ¿ ː
한자키 + ㄴ : " ( )[ ] { } ‘ ’ “ ” 〔 〕 〈 〉 《 》 「 」 『 』 【 】
한자키 + 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자키 + ㄹ : $ % ₩ F ′ ″ ℃ Å ¢ £ ¥ ¤ ℉ ‰ ? ㎕ ㎖ ㎗ℓ㎘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Ω ㏀ ㏁ ㎊ ㎋ ㎌ ㏖ ㏅ ㎭ ㎮ ㎯ ㏛ ㎩ ㎪ ㎫ ㎬ ㏝ ㏐ ㏓ ㏃ ㏉ ㏜ ㏆
한자키 + 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ª º
한자키 + ㅂ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자키 + 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자키 + ㅇ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⑵ ⑶ ⑷ ⑸ ⑹ ⑺ ⑻ ⑼ ⑽ ⑾ ⑿ ⒀ ⒁ ⒂
한자키 + ㅈ : 0 1 2 3 4 5 6 7 8 9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한자키 + ㅊ : ½ ⅓ ⅔ ¼ ¾ ⅛ ⅜ ⅝ ⅞ ¹ ² ³ ⁴ ⁿ ₁ ₂ ₃ ₄
한자키 + ㅋ :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ㄸ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ㄹ ㅃ ㅄ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한자키 + ㅌ : ㅥ ㅦ ㅧ ㅨ ㅩ ㅪ ㅫ ㅬ ㅭ ㅮ ㅯ ㅰ ㅱ ㅲ ㅳ ㅴ ㅵ ㅶ ㅷ ㅸ ㅹ ㅺ ㅻ ㅼ ㅽ ㅾ ㅿ ㆀ ㆁ ㆂ ㆃ ㆄ ㆅ ㆆ ㆇ ㆈ ㆉ ㆊ ㆋ ㆌ ㆍ ㆎ
한자키 + ㅍ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한자키 + ㅎ :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한글 윈도우 단축키
윈도우 도움말 | F1 |
이름 변경 | F2 |
폴더,파일 찾기 | F3 |
위치 목록상자 열기(주소줄) | F4 |
최신정보/새로고침 | F5 |
항목간 이동 | F6 |
메뉴 활성화 | F10 |
익스플로어 전체화면 | F11 |
상위 윗폴더/이전주소 이동 | (백스페이스) ← |
전체 선택 | Ctrl + A |
복사 | Ctrl + C |
잘라내기 | Ctrl + X |
붙여넣기 | Ctrl + V |
지우기 | Ctrl + E |
삭제 | Delete / Del |
이전 실행 명령 취소 | Ctrl + Z |
시작 메뉴 표시(윈로고키) | Ctrl + Esc |
창 조절 메뉴 표시 | Alt + Space |
창 전체화면 표시 | Alt + Enter |
프로그램 종료(창닫기) | Alt + F4 |
현재 실행창 바꾸기(순서) | Alt + Esc |
현재 실행창 바꾸기(메뉴) | Alt + Tab |
실행창에서 항목(탭) 전환 | Ctrl + Tab |
대화상자에서 이전항목으로 | Shift + Tab |
다음 항목으로 이동 | Tab |
단축 메뉴 상자 표시 | Shift + F10 |
단축 아이콘 작성 | Ctrl + Shift + 드래그 |
하위 폴더 목록 표시 | Num - |
모든 하위 폴더 목록 표시 | Num * |
전체 윈도우 그림 클립보드(메모리)에 복사 [프로그램(한글/그래픽)에 삽입가능] | PrintSrceen |
현재 활성창 그림을 클립보드(메모리)에 복사 | Alt + PrintScreen |
게임 창 모드화면일때 F4를 누르면 창모드 없는 전체화면 | |
CD넣을때/윈도우 시작할때 Shift 누르고 있으면 = 자동 CD 인식 않함. /시작 프로그램 실행 않됨. |
복댕이님 블로그(ka_won)에서 퍼온 글입니다..도움되시길...
<!-- //포스팅 -->
2007.03.2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윈도우 단축키 활용하는 방법
아래의 단축키를 유용히 사용하시면 문서편집이나 기타작업을 하실 때 매우 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Alt+←] 마우스의 '뒤로' 버튼과 동일한 기능이다. 백스페이스 키 대신 쓸수 있다.
[Alt+→] 마우스의 '앞으로' 버튼과 동일한 기능이다.
[Alt+Home] 지정된 시작 페이지로 이동한다. [Home] 키를 클릭할 때와 같은기능이다.
[Alt+D] 탐색기나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 창을 여는 데 사용한다. [F4] 키와는 다르다.
[Alt+Tab] 멀티태스킹 작업을 할 때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를 이동한다.
[Alt+Esc] 멀티태스킹 작업을 할 때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열려진 창 사이를 순서대로 이동한다.
[Alt+Enter] 등록 정보를 표시한다. 팝업 메뉴의 '등록 정보'와 동일한 기능이다.
[Alt+스페이스 바] 현재 선택된 창의 조절 메뉴가 나타난다. 현재 창의 제목표 시줄에 나타난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낸다.
[Alt+스페이스 바+M+방향키] 활성 창의 위치를 방향키로 조절한다.
[Alt+스페이스 바+S+방향키] 활성 창의 크기를 방향키로 조절한다.
[Alt+스페이스 바+X] 활성 창을 최대화한다. 창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최대화' 버 튼과 동일한 기능이다.
[Alt+스페이스 바+R] 최대화 모드로 설정된 활성 창을 이전 크기로 변환한다. 창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이전 크기로' 버튼과 동일한 기능이다.
[Alt+스페이스 바+N] 활성 창을 최소화한다. 창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최소화' 버 튼과 동일한 기능이다.
[Alt+F4] 현재 활성화된 창을 닫는다. 사용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하거 나 윈도를 종료할 때 이용한다.
[Alt+Print Screen] 모니터에 나타난 화면을 캡처하여 클립보드에 복사하거나 저 장한다.
[Ctrl+E] 검색 창을 연다.
[Ctrl+I] 즐겨 찾기 창을 연다.
[Ctrl+B] 즐겨 찾기 구성 대화상자를 보여준다.
[Ctrl+H] 열어본 페이지나 파일의 목록을 볼 수 있다.
[Ctrl+P] 현재 페이지를 프린터로 인쇄한다.
[Ctrl+Tab] 또는 [Alt+D] 주소 입력 창으로 바로 이동한다.
[Ctrl+W] 또는 [Alt+F4] 사용 중인 윈도 창을 닫는다.
[Ctrl+A] 현재 화면에 나타난 사항을 선택한다(블록 지정).
[Ctrl+C] 선택된 영역을 복사한다.
[Ctrl+V]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을 붙여넣는다.
[Ctrl+Esc] '시작'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
[Ctrl+파일 드래그] 선택된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한다. [Ctrl+C]와 동일한기능 이다.
[Ctrl+Shift+파일 드래그] 파일이나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드래그 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
[Ctrl+Tab] 대화상자에 탭이 여러 개 있을 때, 탭과 탭 사이를 이동하고 싶을 경우 사용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프레임 사이를 이동할 때도 사용한다.
[Ctrl+Alt+Delete] 작업에 응답이 없을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할때 사용한다. 윈도 2000이나 윈도 XP에서는 '작업 관리자' 창이 뜬다.
[Shift+링크 클릭] 새로운 창에 링크를 연다.
[Shift+Delete] 파일이나 폴더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휴지통에 버리지않고 하드디스크에서 완전히 삭제한다. 나중에 복구할 수 없 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Shift+F10]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 릭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 팝업 메뉴를 불러낼 때 사용한 다.
[Shift+Tab] [Tab]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Shift+파일 드래그] 파일을 이동할 때 사용한다. 일반 파일의 경우에는 그냥 드래 그해도 이동되지만, 실행 파일인 경우(확장자가 EXE, COM인 경우)에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해야 이동이 가능하다. 실행 파일인 경우 그냥 드래그하면 이동되는 대신 바로 가기 파일이 만들어진다.
[Shift+CD 삽입] CD-ROM에 CD를 삽입할 때 자동 실행을 방지한다.
[F11] 전체 화면으로 전환한다. 다시 [F11] 키를 누르면 원래 화면 으로 복귀한다.
[윈도 키+E] 윈도 탐색기를 실행한다.
[윈도 키+R] 실행 창을 연다. 마우스로 '시작→실행'을 클릭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
[윈도 키+D] 활성화된 창을 모두 최소화한다.
[윈도 키+F] 파일이나 폴더를 찾을 수 있는 '찾기(검색)' 창을 연다.
[윈도 키+Pause] '시스템 등록 정보' 창을 연다.
[윈도 키+F1] 도움말을 보여준다.
[윈도 키+M] 현재 활성화된 모든 창을 최소화한다.
[원도 키+Shift+M] 모든 창의 최소화를 취소한다.
[윈도 키+Tab] 작업 표시줄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한다.
[F1]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다.
[F2] 파일이나 폴더, 단축 아이콘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팝업 메뉴의 '이름 바꾸기'와 동일한 기능이다.
[F3] 파일이나 폴더를 찾아준다. '찾기'와 동일한 기능이다.
[F4] 탐색기나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줄과 히스토리 창을 여는 데 이용한다.
[F5] 또는 [Ctrl+R] 마우스의 '새로 고침' 버튼과 동일한 기능이다.
[F6] 탐색기에서 오른쪽 창과 왼쪽 창을 전환한다.
[F11] 또는 [Ctrl+더블클릭] 웹 브라우저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바꿀 때 사용한다.
[Ctrl+W] 윈도 탐색기나 익스플로러 창을 종료한다
이런건 조금만 검색해봐도 금방나와요
같은 질문 하신분들이 많거든요
2007.03.2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아하!
질문자인사 신경써주신건좋은데..이거퍼오셧네요..그래도잘이용할게요
1단원 문학의 즐거움
(1)새봄
·글의 갈래 - 자유시, 서정시
·글의 성격 - 회화적, 서정적, 교훈적, 함축적
·글의 운율 - 내재율
·글의 제재 - 벚꽃, 푸른솔
·글의 주제 - 조화로운 세계를 바라는 마음
(2)아버지의 유뮬
·글의 갈래: 설화(민담)
·글의 성격: 서사적, 비현실적, 허구적, 우연적, 교훈적
·글의 제재: 아버지의 유물(맷돌, 표주박, 대나무지팡이, 장구)
·글의 주제: 보잘 것 없는 물건이라도 소중히 여기자.
(3)어린 날의 초상
·글의 갈래: 수필
·글의 성격: 체험적, 고백적, 회상적
·글의 주제: 가난했지만 마음만은 순수했던 어린시절의 그리움
(4)이해의 선물
·글의 갈래: 현대소설, 순수소설, 단편소설
·글의 성격: 회상적, 감동적, 교훈적
·글의 구성: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
·글의 주제: 어린이의 순수함을 지켜주려는 어른의 이해심
2. 읽기와 쓰기
(1)마음으로 쓰는 편지
·글의 갈래: 편지글
·글의 제재: 이성문제에 대한 고민
·글의 주제: 이성문제에 대한 고민상담
(2)어머니의 우산
·글의 갈래: 수필
·글의 제재: 비 오는 날의 기억
·글의 주제: 우산에 담긴 어머니의 사랑
(3)국물 이야기
·글의 갈래: 수필
·글의 제재: 국물
·글의 주제: 인정이 메말라가고 있는 것이 안타까움
3. 문학의 의사 소통
(1)스스로 터득한 지혜
·글의 갈래: 설
·글의 제재: 아버지 도둑과 아들 도둑의 이야기
·글의 주제: 스스로 지혜를 터득하자
(2)현이의 연극
·글의 갈래: 수필
·글의 제재: 현이의 연극 출연
·글의 주제: 모든일에 최선을 다하자.
(3)호수
·글의 갈래: 자유시, 저성시
·글의 제재: 호수(보고픈 마음)
·글의 주제: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
※시에 대하여
·시의뜻: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운율이 담겨 있는 말로 압축해서 나타낸 글
※시의3요소
·운율: 시에 쓰인 말의 가락
·심상: 마음 속에 느껴지는 감각적인 모습이나 느낌
·주제: 시인이 시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것
운율의 종류
·내재율: 시의 내면에 숨어 흐르는 불규칙적인 운율
·외형률: 시의 표면에 드러나는 규칙적인 운율
※설화에 대하여
1.설화의 종류
+ 신화: 신성하고 성스러움, 주인공이 비범하고 영웅적인 인물임, 비현실적임
| 전설: 구체적인 증거물이 있음. 시간과 장소가 구체적임, 비현실적임
+ 민담: 흥미를 위주로 함, 시간과 장소가 막연함, 비현실적임
※수필에 대하여
·수필: 생활에서 얻은 생각과 느낌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한 산문 문학
·수필의 특징: 1. 개성적인글 2.비전문적인글 3. 자기 표현의 글 4.형식이 자유로운 글
·수필의 종류: 경수필 , 중수필
·경수필: 글쓴이가 일상 체험에서 얻은 느낌, 인상, 생각 등을 자유로운 형식과 내용으로 표현한 수필
·중수필: 일정한 주제를 가지고 체곚거인 논리 구조와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쓴 수필
2. 도덕
도덕의 필요성
1일생의 의미:사람이 이 세상에서 태어나서 살아 있는 동안을 의미하며,삶이라고도 한다.
2 연령으로 구분해 본 삶의 단계:신생아.영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성인기→노년기
3활동으로 구분해 본 삶의 단계
*준비단계(첫째단계):부모님의 도움이나 가족의 도움으로 자라면서,학교에서 배우고 어른으로서의 삶을준비하는 단계
*활동단계(둘째단계):자녀를 낳아 기르고 생업에 종사하면서,어른으로서 활동하는 단계
*정리단계(마지막단계):하던 일을 그만두거나, 퇴직한 후 죽는 순간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삶을 정리하는 단계
2난 사람과 된 사람
난 사람: 사회적으로 이름난 사람(재산이 많거나 지위나 명예가 높거나 사회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
된 사람: 사람다운 사람(인간적으로 성숙한 사람,바람직한 가치관과 신념을 가진 사람)
가장 바람직한 사람의 유형:난 사람이면서 된 사람
된사람의 중요성:가치 있는 삶의 기준이 되며,자신의 마음을 자 다스릴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마음까지 움직일수 있는 된 사람만이 다른사람을 이끄는 위치에 오를수 있다. 된 사람이 아니면 난 사람이 되기도 어려우며, 되더라도 명성이 오래 가기 힘들다.
도덕 교과를 배우는 이유
*우리 국민들의 도덕성이 적지 않게 허물어져 가고있고 그것을 되살리는 일이 우리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3. 사회
1단원 지역과 사회 탐구
(지역의 지리적 환경)
지역 사회의 조사
1. 조사 계획
(1) 지역 사회 조사의 필요성 : 지역 사회의 특징이나 지역 사회와 우리 생활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2) 조사 계획의 수립 : 조사 목표를 분명히 하고, 조사 내용과 조사 지역의 범위, 조사 방법
등을 결정한다.
2. 실내 조사와 현지 조사
(1) 조사 방법 : 실내 조사와 현지 조사로 나눌 수 있으며, 지역 사회의 특징을 정확하게 조
사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실내 조사
① 문헌, 통계, 지도, 사진 등을 통하여 조사 대상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② 조사가 끝나면 조사 내용을 정리하고, 현지 조사를 위한 조사 경로도를 만들거나, 조
사 방법을 구상한다.
(3) 현지 조사
① 조사 방법 : 직접 관찰, 관계자들과의 면담, 설문지 조사, 지역 주민들의 이야기듣기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한다.
② 자료 정리 :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필요할 경우 실내 조사를 통해 자료를 다시 검
토하거나 재조사하여 내용을 보충한다.
(4) 보고서 작성 : 실내 조사와 현지 조사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지역
사회의 특색을 밝히도록 한다.
지역 사회의 조사 과정과 그 사례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기온
-4.5
-1.5
4.4
11.4
16.9
21.4
24.5
24.7
19.3
12.6
4.9
-1.6
강수량
22.8
26.4
54.8
94.3
98.6
141.1
331.2
280.1
160.0
45.6
52.3
26.7
지도 읽기
1. 지도의 이용
(1) 지도 : 지표면의 여러 가지 현상을 축척, 방위, 기호 등을 사용하여 평면상에 나타낸 것이
다.
(2) 지도읽기 : 지도의 원리를 알고 정확히 해석해야 지표면의 내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지
도를 '읽는다'라고 하는 표현이 적합하다.
(3) 지도의 종류
① 쓰임이나 내용에 따라
㉠ 일반도 : 지표면의 하천과 평야, 산지, 도로 등 일반적인 사항을 가호로 나타낸 지도
이다.
(예) 지형도, 우리 나라 전도, 세계 전도 등
㉡ 주제도 :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산업, 인구, 기후, 교통 등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나타낸 지도이다.
(예) 기후도, 산업 분포도, 인구 분포도, 토지 이용도 등
② 축척에 따라
㉠ 대축척 지도 : 좁은 지역을 비교적 크고 자세하게 나타낸 지도이다.
(예) 5만분의 1 지도, 2만 5천 분의 1 지도
㉡ 소축척 지도 : 넓은 지역을 비교적 간략하게 나타낸 지도이다.
(예) 100만분의 1 지도, 우리 나라 전도, 세계 전도 등
㉢ 지역 사회 조사 : 비교적 자세한 대축척 지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축척과 방위
(1) 축척 : 지표상의 실제 거리를 지도상에 줄여서 나타낸 비율이다.
① 표시 방법 : 비율, 분수 막대자 등의 방법으로 나타낸다.
② 축척과 거리 계산 : 축척을 알면 지도에서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재어 실제 거리를 계
산할 수 있다.
(예) 5만 분의 1 지도에서 지도상의 거리가 10㎝일 때 실제 거리는 10㎝ × 50,000 =
500,000㎝= 5㎞ 이다.
(2) 방위
① 지도에서 방향은 방위 표시를 통해 알 수 있다.
② 방위 표시가 없을 경우 :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고, 아래쪽이 남쪽이다.
③ 야외 조사 때 방위 찾기 : 나침반을 이용하여 남북을 찾은 다음, 지도를 이에 맞춰 놓
으면 된다.
3. 기호와 등고선
(1) 기호 : 지도에서는 지표면의 여러 가지 현상을 약속된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2) 등고선 : 해발 고도가 같은 높이의 지점을 연결한 선이다.
① 땅의 모습과 높낮이를 나타낼 때는 주로 색깔이나 등고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② 채단식 : 높이에 따라 색의 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 소축척 지도에 많이 사용된
다.
③ 등고선식 : 지형이나 어떤 지점의 높이를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는 방식으로, 대축
척 지도에 주로 사용된다.
㉠ 등고선의 종류와 간격
㉡ 등고선의 형태와 지형 모습 :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급경사이고, 넓으면 완경사
이다. 또한 등고선이 낮은 쪽으로 내민 것은 능선에
해당하고, 높은 쪽으로 들어간 것은 골짜기에 해당
된다.
지형의 높낮이를 표현하는 방법
지형의 높낮이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채단식, 등고선식, 우모식, 음영식 등이 있다.
채단식 : 땅의 높이에 따라 색의 농도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땅의 전체적인 모습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등고선식 : 해발 고도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곡선의 형태로 지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대축
척 지도에서 주로 많이 사용된다.
우모식 : 경사의 정도에 따라 깃털 모양의 선으로 그 굵기와 길이를 다르게 하여 지표의 높낮
이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음영식 : 그림자를 그려서 산 또는 산맥의 모습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지도읽기 연습
· 이천 중학교에서 볼 때에 시청은 서쪽에 있다.
· 이천 중학교에서 시청까지 지도에서의 직선 거리는 약 3㎝이고 지도의 축척은 1 : 50,000
이므로, 실제의 거리는 약 1.5㎞이다.
· 이 고장에서는 설봉산이 제일 높으며, 높이가 약 394m 정도이다.
· 하천 주위의 평지에서는 논농사를 많이 한다.
· A - B선을 따라 단면도를 그리면 위의 그림과 같다.
자연환경
1. 자연 환경과 주민 생활
(1) 자연 환경 : 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위치, 지형, 기후, 식생, 토양 등을 말한다.
(2) 자연 환경의 영향 : 지형 및 기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목업, 임업, 수산업 등이 중
심이 되는 촌락 지역에 많은 영향을 준다.
(3) 자연 환경 조사 : 지역 사회의 주민 생활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2. 지형과 기후
(1) 지형 조사
① 실내 조사 : 5만 분의 1 지도와 같은 대축척 지도에서 등고선의 형태와 하천의 모양
등을 살펴보면, 조사 지역의 지형적 특색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② 현지 조사 : 지형도를 통해 산지, 하천, 평야 등의 특색을 조사한 다음, 현지에 가서 실제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기록해 둔다.
(2) 기후 조사
① 조사 방법 : 기상대나 관측소에 가서 조사 지역의 기온, 강수량, 무상 기일, 풍향, 풍속 등의 자료를 구하거나, 시청이나 군청에서 펴내는 통계 연보 등의 자료를 이용한다.
② 기후 그래프 작성 : 월별 평균 기온은 꺽은선 그래프로, 월별 강수량은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3) 조사 지역의 자연적 특색 파악 : 조사한 지형과 기후 자료를 분석하여 종합한다.
이천시의 기후 그래프
기후 그래프에서 꺾은선은 월별 평균 기온을 나타내고, 막대 그래프는 월별 강수량을 나타낸다. 이천시의 기후 그래프를 보면,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약 -4.5℃이고,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 기온은 약 24.7℃이다. 기온의 연교차는 29.2℃로, 내륙에 위치하여 같은 위도의 해안 지역보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편이다.
강수량은 6∼9월에 집중되어 있고,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7월이다.
인문 환경
1. 인문 환경과 주민 생활
(1) 인문 환경 : 지역 사회의 인구, 교통, 교육, 문화, 산업 시설 등을 말한다.
(2) 인문 환경과 주민 생활
① 자연 환경이 비슷한 촌락이라도 곳에 따라 주민들의 생활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 같은 평야 지역이라도 소비 시장, 교통 등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아 벼농사를로 하는 곳이 있고, 채소 재배 등 밭농사를 주로 하는 곳이 있다.
② 도시 지역의 주민 생활 : 자연 환경보다 교통, 산업, 인구, 정책 등 인문 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2. 인구와 인구 구성
(1) 인구 상황
① 어떤 지역이나 국가의 특징을 파악하고, 업무를 추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② 정부 기관이나 시청, 군청, 구청 등에서 나오는 통계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다.
(2) 우리 나라의 인구 조사
① 인구 주택 총조사 : 정부에서 5년마다 전국적으로 실시한다.
② 주민 등록부상의 인구 조사 : 매년 말 각 지역의 주민 등록부상의 인구를 조사한다.
(3) 인구 조사 방법 : 인구의 특색을 조사할 때는 인구의 증감, 인구 밀도, 인구 구성 등을 먼저 파악한다.
① 인구 증감 : 자연 증감(출생자 수 - 사망자 수) + 사회 증감(전입자 수 -전출자 수)
② 인구 밀도 : 총인구(명) ÷ 총면적(㎢)
③ 인구 구성
㉠ 연령별, 성별 인구 구성 : 남녀별 인구를 5세 또는 10세 간격으로 조사하여 나타낸다.
㉡ 산업별 인구 구성 : 1차, 2차, 3차 산업 종사자 수를 조사하여 나타낸다.
(4) 인구 현황의 조사, 비교 : 기간별로 조사 지역의 인구와 산업 변천을 파악할 수 있고, 각종 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다.
3. 자원과 산업
(1) 자원
① 좁은 의미의 자원 : 금, 철광석 등의 지하 자원과 석탄, 석유 등의 동력 자원을 가리킨다.
② 넓은 의미의 자원 : 토지, 물, 삼림, 농·수산물 등 자연의 물질뿐만 아니라, 이들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기술, 노동력, 조직 및 의욕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2) 산업 : 그 곳의 자원을 이용하여 발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원과 산업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지역 사회의 자원과 산업 조사
① 통계 자료 조사 : 각종 생산물의 종류와 양, 여러 산업체의 수와 종업원 수 등을 조사한다.
② 현지 조사 : 산업체를 방문하여 생산 현황, 공장이 그 곳에 세워지게 된 이유,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을 조사한다.
③ 특히, 농·수산물인 경우에는 주요 생산물의 생산 시기와 판매 경로 등을 알아본다.
이천시의 산업
이천시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다. 이 지방에서는, 남한강의 지류인 복하천 유역에 형성된 기름진 들판에서 좋은 쌀을 생산한다. 옛날에는 이 곳에서 생산된 쌀을 임금님께 진상했다고 하며, 지금도 이천과 여주의 쌀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영동 고속 국도와 중부 고속 국도 등의 교통 발달과 수도권의 공업 분산 정책에 따라 농업의 형태가 원예, 축산 위주의 형태로 바뀌고 있으며, 많은 공업 시설이 건설되어 급속한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공장이 들어선 이천시의 중심 지역에는 많은 사람이 이사를 와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늘어나는 인구에는, 특히 노동력 제공과 관련이 깊은 청년층과 장년층이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그리고 이 곳에는 도자기 공업이 발달하였다. 그 이유는, 도자기의 원료를 구하기 쉽고, 옛날부터 전해 오는 축적된 기술이 있으며, 서울 등 대소비지까지의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천시의 여러 곳에는 큰 규모의 도예촌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통 도자기의 원형 재현과 새로운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우리
1. 촌락과 도시
(1) 지역 사회의 뜻 : 우리가 살고 있는 고장으로, 우리의 일상 생활이 이루어지는 터전이다.
(2) 지역 사회의 구분 : 주민들의 생활 모습과 활동 범위가 서로 다르며, 크게 촌락과 도시로 구분된다.
① 촌락 : 자연 환경과 관련이 밀접한 농업, 임업, 어업, 광업에 많이 종사하며, 한 마을의 주민들은 이웃과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한다.
② 도시 : 공업, 상업,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고, 같은 동네에 사는 사람이라도 각각 다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을 뿐만 아니라, 활동 범위도 서로 다르다.
2. 주민 생활의 모습
(1) 지역 사회의 중심지 : 각종 행정 기관, 학교, 시장, 공공 시설, 문화 시설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주민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지역 사회의 범위 : 행정 구역과 일치할 수도 있고, 더 멀리까지 확대될 수도 있다.
(3) 지역 사회의 생활 : 보통 이웃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이루어진다.
촌락과 도시의 차이점 비교
구 분
촌 락
도 시
직 업
주로 농·임·어업에 종사 함.
주로 상업, 공업, 서비스업에 종사 함.
환 경
자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음.
인문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음.
범 위
생활 범위가 좁음.
생활 범위가 넓음.
인 구
인구 밀도가 낮음.
인구 밀도가 높음.
생 활
이웃과의 관계가 긴밀함.
이웃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함.
문제점
노동력 부족, 문화 시설 부족,
낮은 소득 수준 등
지나친 인구 집중, 교통 혼잡, 주택 부족,
각종 환경 오염 문제 등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
1. 변화의 원인
(1) 지역 사회의 변화 원인
① 국가의 흥망, 행정 구역의 변화 : 지역의 이름이 바뀌기도 한다.
② 국토 종합 개발 계획, 행정 기관의 이동, 인구의 변화 : 옛 중심지가 쇠퇴하고 새로운
중심지가 나타나기도 한다.
③ 산업과 교통의 발달 : 새로운 도시가 나타나고 인구 분포에 변화가 생겨, 지역의 기
능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④ 기술과 과학의 발달 : 사회를 빠른 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
⑤ 지역 사회의 교류 : 서로 다른 지역 사회가 교류함에 따라 가치관이 바뀌고, 고유의
문화와 전통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2) 변화의 예
① 지명의 변화 : 남천 또는 황무현(삼국 시대) → 영창현(고려 시대) → 이천현, 이천군
(조선 시대∼ 1995년) → 이천시(1996년 이후)
② 산업과 교통의 발달
㉠ 이천시 : 과거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었으나, 최근에는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조건
으로 인해 많은 산업체들이 들어서고 있다.
㉡ 안산, 울산 : 농업이나 어업 중심이었으나, 공업 입지 조건이 유리하여 새로운 공
업 도시로 발달하였다.
㉢ 대전, 천안 : 철도와 도로 등의 건설로 크게 성장하였다.
2. 변화 모습 조사
(1) 조사 방법
① 유물이나 사적 등을 직접 조사한다.
② 각종 문헌이나 어른들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③ 박물관이나 문화원 등을 방문하여 조사한다.
④ 옛날 지도와 오늘날의 지도를 서로 비교하면서 달라진 모습을 살펴본다.
⑤ 시청이나 군청 등에서 펴낸 시지(市誌), 군지(郡誌), 통계 연보 등을 이용한다.
(2) 조사의 예 : 행정 구역의 변화, 산업 변화, 문화재 분포 등 여러 주제로 나누어 분단별로
조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른 지역 사회 변화의 예(안산시)
오늘의 안산이 자리잡고 있는 곳은 고구려 때에는 장항구 또는 고사야홀차현이라 불리웠으며, 고려 시대 초에 와서 안산군이라 불리게 되었다.
안산은 서울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는 인구와 산업 시설을 분산시키기 위해, 1976년에 반월 신공업 도시 계획이 세워짐에 따라 완전 계획 도시로 개발되어 1986년에 안산시가 되었다. 이 곳에 있는 반월 공단에는 수백여 개의 공장들이 있으며, 종업원 수도 수만 명에 이른다.
지역 사회의 문화재
1. 문화재의 종류
(1) 문화재 :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여러 가지 유물 가운데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큰 것
을 말한다.
(2) 문화재의 종류
① 유형 문화재 : 형체가 있는 문화재를 말하며, 궁궐, 성문 등의 건축물이나, 비석, 불
상, 탑 등과 같은 조각과 공예품 등을 말한다.
② 무형 문화재 : 형체가 없는 문화재를 말하며, 음악, 무용, 연극, 공예 기술 등에서 역
사적, 예술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3) 문화재의 보존 방법
① 유형 문화재 : 가치 정도에 따라 국보, 보물, 사적, 지방 문화재 등으로 지정하여 보
호하고 있다.
② 무형 문화재 : 무형 문화재의 기능이 뛰어난 사람을 중요 무형 문화재 기능 보유자로
지정하여 그 기능이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2. 문화재의 조사와 보호
(1) 문화재의 내력 조사 : 지역 사회의 오랜 역사와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며, 기록물이나 어른들의 이야기를 통해 알아본다.
(2) 지역 사회에 공헌한 인물 조사 : 국가와 인류 발전에 공헌하였거나,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조사하여 본받도록
노력한다.
(3) 문화재에 대한 조사
① 실내 조사 : 대축척 지도에서 유적지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답사 계획을 세운다.
② 현지 답사 : 사진을 찍거나 스케치를 하며, 비석이나 석탑 등의 글씨나 문양을 탁본
하여 살펴본다.
(4) 문화 유산의 보호
①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문화 유산도 발굴하여, 그 내력을 조사하고 보존하도록 한
다.
② 전통적인 민속놀이 등을 찾아 익힌다.
③ 지역 사회의 천연 기념물도 아끼고 보존한다.
이천시의 역사와 문화 유산
이천시에서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지방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이미 사람이 살기 시작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천시의 문화 유산으로는 보물로 지정된 불상을 비롯하여 석탑, 성터, 오래된 한옥 등이 있고, 천연 기념물로 백송이 있다. 민속 놀이로는 거북놀이와 줄다리기 등이 있다.
이천시의 역사적 위인으로는 고려 시대에 거란족을 물리친 서희 장군과 조선 시대에 서양 세력의 침입을 막은 어재연 장군 등이 있다.
(지역사회의 구조와 기능)
지역 사회의 기관과 주민 활동
1. 행정 기관과 지방 자치
(1) 행정 기관 : 지역 사회에는 주민 생활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여러 기관이 있는데, 군청이나 시청, 교육청, 우체국, 보건소, 소방서 등과
같은 국가 기관과 지방 의회, 교육 위원회 등이 그 예이다.
(2) 지방 자치제
① 의미 : 지역 주민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일들을 민주주의의 원리에 따라 자율
적으로 처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② 지방 자치 단체 : 의결 기관인 지방 의회의 의원과, 실제로 일을 집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은 주민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다.
(3) 지역 사회 기관 조사 방법
① 각 기관에 관련된 법률이나, 기관에서 만들어내는 여러 가지 안내 자료를 참고한다.
② 각 기관을 방문하여 하는 일을 관찰하고, 관계자와 면담을 한다.
③ 주민들이 각 기관을 이용하는 목적을 알아본다.
2. 공공 기관과 단체
(1) 지역 사회의 공공 기관
① 생산 활동 지원 기관 : 은행, 농업 협동 조합, 축산업 협동 조합, 임업 협동 조합, 수산
업 협동 조합 등
② 문화 생활 지원 기관 : 박물관, 도서관 등
③ 주민 복지를 위한 기관 : 의료 보험 조합, 양로원, 보육원 등
(2) 지역 사회의 단체
① 종류 : 새마을 협의회, 바르게 살기 운동 단체, 부녀회, 청소년 선도 위원회, 방범 위
원회, 조기 축구회 등
② 목적 : 공공 기관의 일을 지방 주민들이 돕고 함께 참여하며, 상호 친목을 도모하고,
여가를 선용하기 위한 것이다.
③ 활동 : 주민들과 함께 여러 가지 특색 있는 문화 행사나 잔치를 벌여서 주민들의 화
합과 지역 발전을 꾀한다.
(3) 공공 기관과 사회 단체 조사 방법 : 여러 기관들과 단체들이 하는 일과 주민들이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방문, 설문지, 면담 등을 통해 조사한
다.
지방 자치 제도
지방 자치는 민주주의의 원리에 따라 지역 주민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일들을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지방 자치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고, 지방의 특성을 살리며, 주민들의 민주적인 역량을 길러주는 등 민주 정치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지방 자치 단체의 종류에는 특별시, 광역시, 도 등의 상급 지방 자치 단체와, 시, 군, 자치구 등의 하급 지방 자치 단체가 있다. 그리고 의결 기관인 지방 의회의 의원과 집행 기관인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은 주민들의 직접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지방 자치 단체는 주민의 복리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법령의 범위 안에서 조례와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49년 7월 4일에 지방 자치법이 제정되어 8월 15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1952년에 최초로 각급 지방 의회가 설치되었으나, 1961년 5·16 군사 혁명으로 해산되었다. 그 후 1987년에 제6 공화국 헌법이 확정, 시행됨에 따라 지방 자치법은 효력을 회복하게 되었다.
(지역사회의 문제와 해결)
지역 사회의 기관과 주민 활동
1. 행정 기관과 지방 자치
(1) 행정 기관 : 지역 사회에는 주민 생활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여러 기관이 있는데, 군청이나 시청, 교육청, 우체국, 보건소, 소방서 등과
같은 국가 기관과 지방 의회, 교육 위원회 등이 그 예이다.
(2) 지방 자치제
① 의미 : 지역 주민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일들을 민주주의의 원리에 따라 자율
적으로 처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② 지방 자치 단체 : 의결 기관인 지방 의회의 의원과, 실제로 일을 집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은 주민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다.
(3) 지역 사회 기관 조사 방법
① 각 기관에 관련된 법률이나, 기관에서 만들어내는 여러 가지 안내 자료를 참고한다.
② 각 기관을 방문하여 하는 일을 관찰하고, 관계자와 면담을 한다.
③ 주민들이 각 기관을 이용하는 목적을 알아본다.
2. 공공 기관과 단체
(1) 지역 사회의 공공 기관
① 생산 활동 지원 기관 : 은행, 농업 협동 조합, 축산업 협동 조합, 임업 협동 조합, 수산
업 협동 조합 등
② 문화 생활 지원 기관 : 박물관, 도서관 등
③ 주민 복지를 위한 기관 : 의료 보험 조합, 양로원, 보육원 등
(2) 지역 사회의 단체
① 종류 : 새마을 협의회, 바르게 살기 운동 단체, 부녀회, 청소년 선도 위원회, 방범 위
원회, 조기 축구회 등
② 목적 : 공공 기관의 일을 지방 주민들이 돕고 함께 참여하며, 상호 친목을 도모하고,
여가를 선용하기 위한 것이다.
③ 활동 : 주민들과 함께 여러 가지 특색 있는 문화 행사나 잔치를 벌여서 주민들의 화
합과 지역 발전을 꾀한다.
(3) 공공 기관과 사회 단체 조사 방법 : 여러 기관들과 단체들이 하는 일과 주민들이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방문, 설문지, 면담 등을 통해 조사한
다.
지방 자치 제도
지방 자치는 민주주의의 원리에 따라 지역 주민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일들을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지방 자치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고, 지방의 특성을 살리며, 주민들의 민주적인 역량을 길러주는 등 민주 정치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지방 자치 단체의 종류에는 특별시, 광역시, 도 등의 상급 지방 자치 단체와, 시, 군, 자치구 등의 하급 지방 자치 단체가 있다. 그리고 의결 기관인 지방 의회의 의원과 집행 기관인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은 주민들의 직접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지방 자치 단체는 주민의 복리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법령의 범위 안에서 조례와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49년 7월 4일에 지방 자치법이 제정되어 8월 15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1952년에 최초로 각급 지방 의회가 설치되었으나, 1961년 5·16 군사 혁명으로 해산되었다. 그 후 1987년에 제6 공화국 헌법이 확정, 시행됨에 따라 지방 자치법은 효력을 회복하게 되었다.
2단원 중부지방의 생활
(우리나라의 중앙부)
중앙적 위치
1. 한반도의 중심
(1) 중심지 역할 : 삼국 시대부터 중요시되어 왔으며, 조선 왕조가 도읍을 한양에 정한 이
래로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오랫동안 우리 나라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중심지가 되어 왔다.
(2) 한반도의 중앙부
㉠ 주요 기능 집중 : 우리 나라의 주요 기능이 집중되어 있다.
㉡ 편리한 교통 : 전국 여러 지역과 교통이 편리하여 전국 여러 지방과 교류가 활발하
다.
㉢ 문화의 중심 : 다른 지방의 생활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여러 지방의 사람들이 모
여들어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기도 한다.
2. 한강의 구실
(1) 중요 교통로 : 한강은 중부 지방을 가로질러 흐르면서 옛날 육상 교통이 불편하던 때에
는 내륙 지방과 해안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2) 취락 발달 : 한강은 예로부터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많았기 때문에 일찍부터 주변에 취
락이 크게 발달하였다.
① 나루터 : 근대화 이전에 교통의 요지였던 나루터가 오늘날 도시로 발달한 곳이 많다.
② 옛날 큰 창고가 있었던 흔적이 지금도 여러 곳에 남아 있다.
(3) 문화 유적 : 취락이 크게 발달한 곳에는 문화 유적이 많다.
한강의 구실변화
육상 교통이 불편하였던 조선 시대에는 한강이 내륙 지방과 해안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지도에는 조선 시대에 물자 수송에 사용되었던 조운 수로와 함께 그 때 사용한 창고, 즉 조창이 위치했던 곳이 나타나있다.
오늘날에는 한강에 많은 다목적 댐들이 건설되어 발전과 홍수 예방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 농업 용수 및 공업 용수를 비롯하여 도시 지역에 생활 용수를 공급해 주고 있다.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지형
1. 등줄기 태백산맥
(1) 태백 산맥 : 중부 지방에는 태백 산맥이 동쪽으로 치우쳐 남북으로 뻗어 있다.
① 동서 간의 지형 차이
㉠ 동쪽 : 경사가 급하며, 해안 지대에 평야가 좁게 나타난다.
㉡ 서쪽 : 경사가 완만하며, 낮은 산지가 많다.
② 고위 평탄면 : 산봉우리 부근에 평탄한 곳도 나타난다.
③ 주요 산 :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등의 이름난 산들이 많다.
④ 주요 고개 : 한계령, 미시령, 대관령 등은 일찍부터 주요 교통로가 되어 왔다.
(2) 기타 산맥 : 광주 산맥, 차령 산맥이 태백 산맥으로부터 남서쪽으로 뻗어 있고, 그 남쪽
에 소백 산맥이 있다.
(3) 석회암 지대 : 태백 산맥 남부에는 석회암이 많으며, 이들 암석이 물에 녹아서 생긴 석
회 동굴 등의 지형이 나타나고 있다.
2. 하천과 평야
(1) 하천과 평야 : 중부 지방의 긴 강은 대체로 황해 쪽으로 흐르며, 강 유역에 분지와 평야
가 발달하였다.
① 분지 : 한강 유역의 춘천·충주 분지, 금강 유역의 청주·대전 분지 등이 있다.
② 평야 : 한강 유역의 김포 평야, 금강 유역의 논산 평야, 안성천 유역의 평택 평야, 삽
교천 유역의 예당 평야 등이 있다.
(2) 이용
① 하천 : 각종 용수 공급 등에 이용되고 있다.
② 분지와 평야 : 주민들의 생활 터전으로 이용되고 있다.
3. 복잡한 황해안과 단조로운 동해
(1) 황해안
① 섬, 만이 많고,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하다.
② 조석 간만의 차가 커서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다.
③ 간척 사업이 활발하여 대규모 농경지, 공장 터, 주택지로 이용한다.
④ 황해는 섬이 많고 수심이 얕다.
(2) 동해안
① 해안선이 단조로우며, 조석 간만의 차가 작다.
② 갯벌이 거의 없고, 암석 절벽과 모래 사장이 곳곳에 있다.
③ 동해는 큰 섬이 없고, 수심이 깊다.
평야와 분지
평야는 비교적 기복이 작고 해발 고도가 낮은 평탄한 지형을 말하는데, 하천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침식 평야와 퇴적에 의해 형성된 충적 평야로 크게 나누어진다. 충적 평야는 하천에 의해 운반된 모래, 흙 등이 하천 연안의 낮은 지역에 퇴적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큰 하천의 하류에 주로 발달한다.
분지는 주위가 산지로 둘러싸인 평지를 말하는데, 우리 나라 대부분의 분지는 하천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침식 분지이다. 즉, 단단한 지층과 연한 지층이 있어 두 층의 경계가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그 중 연한 지층은 빨리 침식을 받으므로 주변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분지는 하천의 중·상류에서 주로 발달하며, 일찍부터 생활 무대로 이용되어 왔고, 오늘날에는 지방 중심 도시로 발달한 곳이 많다.
동서 간에 차이가 나는 기후
1. 동서 간의 기온차
(1) 중간적 기후 : 중부 지방의 기후는 춥고 비가 적은 북부 지방 기후와, 따뜻하고 비가 많
은 남부 지방 기후의 중간이라고 할 수 있다.
(2) 지역 간의 기온차
① 여름보다 겨울에 크게 나타난다.
② 같은 위도상의 겨울 기온의 지역차
㉠ 특징 : 해안 지방은 내륙 지방보다 따뜻하며, 동해안이 황해안보다 더 따뜻하다.
㉡ 원인 : 태백 산맥이 차가운 북서 계절풍을 막아 주고, 동해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
다.
2. 강수량과 바람
(1) 강수량 : 계절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① 여름의 강수 특색
㉠ 많은 비 : 남동·남서 계절풍과 지형의 영향을 받아 연 강수량의 절반이 넘는 많은
비가 내린다.
㉡ 한강 중·상류 지역 : 우리 나라에서 비가 많은 지역에 속한다.
㉢ 홍수 : 때로는 여름철에 집중 호우와 태풍으로 홍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 가뭄 : 장마 전선의 북상이 늦어지면 가뭄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② 겨울의 강수 특색
㉠ 적은 강수량 : 차고 건조한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적다.
㉡ 많은 눈 : 북서 계절풍이 약해지고 습기를 가진 바람이 불어와 눈이 많이 내리는
데, 특히 영동 지방의 산간에는 지형의 영향으로 눈이 많이 내린다.
(2) 높새바람
① 늦은 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태백 산맥을 넘어 영서 지방으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
이다.
② 영서 지방의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동서 간의 기후 차이
서울과 영동 지방에 있는 홍천 및 영서 지방에 있는 강릉의 기후 그래프를 비교하여 중부 지방의 기후의 지역차를 살펴보면, 겨울에는 홍천이 가장 기온이 낮고, 강릉이 가장 따뜻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여름에는 거의 비슷하나, 강릉이 서울이나 홍천에 비해 기온이 낮다. 따라서, 기온의 연교차는 홍천이 가장 크고, 강릉이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영동 지방의 강릉은 지형과 바다의 영향을 받아 다른 지역에 비해 겨울에 따뜻하고 기온의 연교차도 작은 데 비해, 영서 지방은 내륙에 위치하여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강하게 띠고 있기 때문이다.
강수량의 지역차를 보면, 서울과 홍천은 여름에 많은 비가 내리고, 강릉은 여름 강수량은 서울이나 홍천보다 적지만 겨울 강수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보아 영동 지방이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구와 산업이 집중된 수도권)
인구 증가와 도시 발달
1. 인구의 도시 집중
(1) 인구의 집중 : 수도권에는 우리 나라 인구의 40% 이상이 살고 있다.
(2) 인구 집중 요인 : 직장, 학교, 문화 시설 등과 그 밖에 여러 가지 기능이 집중되어 있어
전입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3) 인구 집중의 문제점 :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모이면서 주택·직장·학교 등의 부족,
교통난, 환경 오염 등 여러 가지 도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2. 수도 서울
(1) 위치와 역사
① 위치 : 한강 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② 역사 :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로, 조선 시대 이후 오늘날까지 수도이며, 근래에는 세
계적인 도시로 성장하였다.
(2) 지역의 분화
① 도심
㉠ 관청가 : 세종로 및 태평로 일대에는 정부 기관과 시청이 위치해 있다.
㉡ 중심 업무 지구 : 관청가 주위에 은행, 백화점, 각종 회사 등이 모여 있다.
② 부도심 : 도심에서 떨어져 있으나, 교통이 편리한 곳에 발달한다
㉠ 도심의 기능 분담 : 상점과 백화점, 사무실, 관청 등이 모여 도심의 기능을 나누어
맡고 있다.
㉡ 예 : 영등포, 청량리, 영동, 신촌 로터리 일대가 그 예이다.
③ 주변 지역 : 도심에서 밖으로 나가면서 주택지와 공장 지대가 나타난다.
(3) 서울의 도시 문제와 대책
① 문제점 : 인구와 산업이 급격히 집중하였기 때문에 주택난, 교통난, 환경 오염 등의
도시 문제가 심각하다.
② 대책 : 낙후된 지역의 재개발, 부도심의 기능 확대, 이미 설정한 개발 제한 구역의 보
전 등에 노력하고 있으며, 인구와 산업 시설을 지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여
러 가지 정책을 펴고 있다.
3. 서울의 위성 도시
(1) 서울의 위성 도시 : 수도권에 있는 인천, 수원, 안양, 부천, 성남, 과천, 안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2) 위성 도시와 그 기능
① 인천 광역시
㉠ 서울의 외항 : 조선 시대 말기까지 제물포라는 작은 어촌이었으나, 19세기 후반
개항 이후 경인선이 설치되면서 서울의 외항으로 급속히 발전하였
고, 지금은 우리 나라 제 2의 무역항이다.
㉡ 수도권의 중심 공업 도시이다.
② 수원
㉠ 행정 중심지 : 경기도의 도청이 있다
㉡ 농업과 관련된 대학과 연구 기관들이 모여 있다.
③ 과천 : 정부 과천 청사가 있는 도시로서, 도시 계획이 잘 되어 있다.
④ 안산 : 서울의 공장을 분산시키기 위해 건설한 도시로 공장이 많고, 해양 연구소가
있다.
⑤ 성남 : 서울의 인구 분산을 위해 건설한 도시로, 최근에 대규모 주택 단지를 개발하
면서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⑥ 안양·부천 : 원예 농업과 낙농업이 발달했었으나 지금은 공장 지대와 주택지가 넓다.
⑦ 의정부 : 군사적 기능이 비교적 큰 도시이다.
도심과 부도심
· 도심(중심 업무 지구) : 도시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관청, 금융 기관, 언론 기관, 고
급 상가 등이 집중되어 있다. 이 곳은 도시 내에서 땅값이 가장 비
싼 곳으로 고층 빌딩이 많고, 주·야간의 인구 이동이 심하여 주간
인구 밀도는 높으나, 야간 인구 밀도는 낮은 인구의 공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도심은 교통 혼잡, 대기 오염 등의 문제가 나
타나며, 특히, 출·퇴근 시간에는 인구의 이동이 많아 극심한 교통
난을 겪게 된다. 서울에서는 세종로, 태평로, 남대문로, 종로, 을지
&n bsp; 로, 퇴계로 등의 지역이 중심 업무 지구에 해당한다.
· 부도심 : 중심 업무 지구의 인접 지역이나 주택 지구의 교통이 편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도
심의 기능을 나누어 맡는 부도심이 형성된다. 서울에서는 영등포, 청량리, 영동,
신촌 로터리 일대가 그 예이다.
농사짓는 조건
지난 주말에는, 경기도 여주군에 사시는 할머니를 뵙기 위해서, 아버지와 함께 큰댁을 찾아갔다.
할머니와 큰어머니께 인사를 드리고 밖에 나와 보니, 창고에는 그 유명한 여주·이천 쌀이 쌓여 있었고, 큰아버지와 여러 사람들은 큰 비닐 하우스에서 참외를 따고 계셨다. 이 곳에서는 참외를 딴 후에 오이나 콩 등을 재배하고, 가을에 비닐 하우스를 이용하여 상추나 시금치를 재배하여 1년에 네 번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이 곳은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채소나 과수를 재배하여 서울에 내다 팔고 있는데, 이것이 벼농사를 하는 것보다 수입이 더 많다고 한다.
큰아버지께서는, 농사를 지을 때에는 지형, 기후, 토양 등의 자연 환경 외에도 노동력, 재배 방법, 시장에 팔 때의 이익, 교통 조건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나는 농촌의 바쁜 일손을 거들면서, 어떻게 하면 농사에서 이익을 많이 낼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았다.
공업 발달에 유리한 조건
공업 발달에 유리한 조건은 공업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구 공업을 예로 들어 보자. 가구를 만드는 공장에서는 목재 등의 원료와, 기술이 있는 목공의 노동력이 있어야 한다. 또, 가구를 파는 시장이 있어야 하고, 공장에서 시장까지의 교통도 편리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에 따라 공장이 위치하는 장소가 달라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업 발달 조건은 공업의 종류에 따라서 그 중요성이 다르다. 의류 공업, 전자 공업 등은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시멘트 공업, 농수산물 가공 공업은 원료의 무게나 부피와 같은 이유 때문에 원료의 공급이 중요하다. 식료품 공업은 판매 시장에서 가까워야 유리하다. 한편, 대규모 시설이 필요한 제철 공업, 석유 화학 공업 등은 특히 많은 자본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공장의 종류와 위치 결정에 국가 정책의 영향도 크다.
일반적으로, 식료품 공업, 섬유 공업 등의 경공업은 노동력이나 소비 시장의 비중이 크고, 제철 공업, 정유 공업, 조선 공업 등의 중화학 공업은 자본, 기술, 교통 등의 비중이 크다.
생활 환경의 변화
1. 환 경 오염 문제
(1) 원인 : 수도권은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잘못된 태도와 인구 증가와 도시화, 산업 시설
집중,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 파괴 등에 따라 각종 환경 오염이 심각하다.
(2) 환경 오염
① 수질 오염 : 가정의 생활 하수, 공장의 폐수와 폐유, 농가의 농약과 화학 비료 등이
강물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다.
② 대기 오염 : 자동차의 배기 가스, 공장과 가정 및 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연기와 먼지
등이 공기를 심하게 오염시키고 있다.
③ 쓰레기 : 그 자체의 처리도 문제지만 수질 오염과 토양 오염을 일으키는 것도 큰 문
제이다.
④ 토양 오염 : 중금속, 쓰레기, 농약, 폐수 등에 의해서 점차 심화되고 있다.
⑤ 기타 : 소음, 진동, 악취 등의 환경 오염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3) 대책 : 환경 오염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뿐만 아니라, 각자 많은 노력
을 기울여야 한다.
2. 토지 이용 문제
(1) 토지 이용 문제의 발생
① 우리 나라는 인구에 비해서 토지가 매우 부족하다.
② 특히 서울은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시가지가 무질서하게 확대되어 농경지와 삼림이
줄어들고 있다.
(2) 효율적 이용을 위한 대책
① 개발 제한 구역 설정 :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을 막고, 도시 주변의 자연 환경을 보전
하기 위하여, 서울 주변에 개발 제한 구역을 설정하였다.
② 각종 시설의 지방 분산 :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 시설이 지나치게 집중함으로써 발생
하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 각종 시설을 다른 지방으로 옮기도
록 하고 있다.
③ 수도권 정비 계획 수립 : 토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수도권 이외의 지
방에도 산업 시설을 만들어 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
하고 있다.
인수도권 정비 계획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 시설이 지나치게 집중되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수도권 기능의 지방 분산과 인구의 지방 정착을 유도하여 국토가 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성장보다는 균형 있는 발전과 환경 개선에 주력하고 있는데, 수도권의 3대 정비 권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과밀 억제 권역 : 중소 기업 공장의 신·증설은 허용되나 대기업 공장의 신·증설은 억제하고
있으며, 무역, 정보 등의 국제 기능이 주로 입지한다.
· 성장 관리 권역 : 주거 및 제조업 기능이 주로 입지하고, 중소 기업의 이전은 가능하나 대
기업은 제한적 이전이 가능하다.
· 자연 보전 권역 : 수질 보전 기능을 가지며, 일부 저공해 도시형 업종의 설립이나 생활 근
린 업종 공장의 설립이 허용된다.
(관광자원이 풍부한 관동지방)
농·임·수산업과 관광 산업
1. 고랭지 농업과 목축업
(1) 농업의 특색
① 낮은 경지율 : 관동 지방은 산지가 많아 경지율이 낮다.
② 밭농사 중심 : 옥수수, 메밀 등의 잡곡과 감자는 남한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다.
③ 벼농사 : 일부 내륙 지역과 동해안의 소규모 평야에서 하고 있다.
(2) 고랭지 농업과 목축업
① 발달 지역 : 대관령과 평창군 일대에 발달하고 있다.
② 고랭지 농업 : 태백 산지의 산간 지대에서 여름철의 서늘한 기후 조건을 이용하여 감
자, 채소, 약초 등을 재배한다.
③ 영동 고속 국도의 건설로 교통이 편리해지고 도시에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더욱 발전
하고 있다.
2. 임업과 수산업
(1) 임업 : 관동 지방은 남한 최대의 삼림 지역으로 목재를 비롯하여 버섯, 잣, 꿀 등의 생산
이 많다.
(2) 수산업
① 좋은 어장 : 동해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 좋은 어장을 이룬다.
② 어기 형성 : 고기잡이는 해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주로 겨울철과 여름철에 성하다.
③ 주요 수산물 : 명태, 오징어 등이 많이 잡힌다.
3. 관광 산업
(1) 우리 나라의 대표적 관광지 : 관동 지방은 아름다운 산지와 계곡, 동해안의 경치가 어우
러진 풍부한 관광 자원을 가지고 있다.
(2) 주요 관광 자원
① 국립 공원 :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등의 국립 공원은 경치가 빼어나다.
② 동해안 : 곳곳에 호수와 하얀 모래밭, 울창한 솔밭 등이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
고 있다.
③ 기타 : 태백 산지의 스키장과 많은 인공 호수, 석회암 동굴도 주요한 관광 자원이다.
(3) 관광의 중심 도시
① 강릉 : 역사가 오랜 영동 지방의 중심지이며, 경포대, 오죽헌 등 이름난 곳이 많다.
② 속초 : 주변에 설악산과 통일 전망대 등이 있어 관광의 요지가 되고 있다.
(4) 관광 산업의 발전을 위한 과제
① 교통 여건의 개선 : 현재 진행 중인 영동 고속 국도의 확장과 중앙 고속 국도의 빠른
완공 등 교통 여건의 개선이 시급한 과제이다.
② 환경의 보전 : 자연의 훼손을 막고, 아름다운 환경을 보전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고랭지 농업
여름철에 높은 산지 지역에서 냉량한 기후 조건을 이용하여 이에 알맞은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이다. 경사가 완만한 고원 지역인 대관령 일대에서는 여름철의 서늘한 기후 조건을 이용하여 고랭지 농업과 목축업이 발달하였다.
고랭지 지역에서 생산되는 채소는 평지에서의 채소 공급이 줄어드는 7∼9월에 출하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값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대관령 일대는 영동 고속 국도의 건설로 교통이 편리해지고, 생활 수준의 향상에 의한 수요의 증가로 재배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대관령 일대에 발달한 목축업
풍부한 자원과 공업
1. 동력 자원과 지하 자원
(1) 남한 최대의 광업 지대 : 관동 지방은 무연탄, 석회석, 텅스텐 등의 자원이 많아 남한 최
대의 광업 지대를 이룬다.
(2) 동력·지하 자원
① 무연탄
㉠ 분포 : 태백, 영월, 정선 등의 탄전에서 남한 생산량의 대부분이 생산되고 있다.
㉡ 운반 : 생산된 무연탄은 중앙선, 영동선 등의 산업 철도와 동해시의 항구 등을 통
해서 전국으로 운반된다.
㉢ 문제점
· 땅 속 깊은 곳에 묻혀 있어 채탄 비용이 많이 들고,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 대부분 탄광 규모가 작으며, 석탄의 품질이 낮다.
· 소비지까지의 거리가 멀다.
· 무연탄 소비의 감소로 지역 경제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② 철광석 : 양양, 홍천 등지에 매장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외국산 철광석을 많이 수입
하기 때문에 양양 철 광산도 생산을 중단하였다.
③ 텅스텐(중석) : 상동에 많이 매장되어 있으나, 최근 값싼 중국산이 들어와서 채광을
중단하고 있다.
④ 석회석 : 영월, 삼척 등지에 많이 매장되어, 이 지역이 우리 나라 시멘트 공업의 중심
을 이룬다.
2. 물 자원
(1) 풍부한 물 자원 : 남한강과 북한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영서 지방은 강수량이 많아 물 자
원이 풍부하다.
(2) 북한강 유역 : 지형의 경사가 커서 일찍부터 많은 댐을 건설하여 발전과 홍수 예방에 이
용할 뿐만 아니라, 각종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관광·휴양지로도 한 몫
을 하고 있다.
(3) 남한강 유역 : 강릉 수력 발전소는 태백 산맥의 지형적 특색을 이용하여 유역 변경식으
로 건설되었다.
3. 공업 발달
(1) 입지 조건
① 장점 : 지하 자원, 동력 자원이 풍부하다.
② 단점 : 소비지에서 멀고, 높은 산지가 많아 교통이 불편하여 공업 발달이 미약하다.
(2) 공업 지역과 도시 발달
① 동해·삼척·영월 : 풍부한 석회석을 바탕으로 시멘트 공업이 발달하였고, 동해는 이 곳
에서 생산된 시멘트 등을 실어내는 항구 도시이다.
② 춘천·원주 : 식료품 공장, 섬유 공장 등이 있고, 소규모 산업 단지가 있다.
㉠ 춘천 : 강원도의 도청 소재지이며, 주위가 호수에 둘러싸여 있다.
㉡ 원주 : 중앙선이 통과하고, 상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③ 속초 : 소규모 수산물 가공업이 발달한 항구 도시로 관광·휴양 산업이 발달하고 있
다.
2008.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