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이육사 독립운동가
비공개 조회수 2,761 작성일2022.09.04
이육사의 독립운동가로서 시대적 의미와 역사적 평가 알려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협성
중수

나무위키에서 전재한 글입니다.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운동가, 시인. 호는 육사(陸史), 본명은 이원록(源祿) 또는 이원삼(源三), 이활(活)이며 후에 이육사로 이름을 개명했다. 윤동주, 한용운과 더불어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유명하다.

2. 생애[편집]

1904년 5월 18일[6]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881번지에서 진성 이씨 이가호(李家鎬, 퇴계 이황의 13대손)와 허형(許蘅)[7]의 딸인 허길(許吉)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명은 이원록(李源祿), 두 번째 이름이 이원삼(李源三), 또 다른 이름은 활(活)이며 자는 태경(台卿). 경상북도 영천군 화북면 오동리(梧洞里) 사람 안용락(安庸洛)의 딸 안일양(安一陽)과 결혼하였다.[8]연보

이육사의 딸인 이옥비 여사의 기억에 의하면, 외삼촌이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잡혀들어간 적이 있는데 이때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한 자백으로 여러 사람이 죽거나 다쳤다고. 이 일 때문에 이육사가 크게 분노해 집안에 편지하기를, 더러운 피의 일족(부인 안일양을 지칭)인 사람을 더는 받아들일 수 없으니 내보내라 전했다 한다.

어린 시절 조부에게서 소학을 배우는 등, 한학을 공부하다가 조부가 별세하던 무렵 보문의숙(이후 도산공립보통학교로 개칭)에서 수학하기 시작하였다. 이 경험으로 그는 훗날의 창작 활동에서 한학을 배운 흔적이 보인다.[9] 졸업 후 19살 때 영천군의 사립 백학학원(白鶴學院)의 교원으로 9개월간 근무하였고 1924년 4월 일본 도쿄에 유학하여 킨죠(錦城) 예비학교를 1년간 다니다가 중퇴하였다. 1925년 8월 중국 베이징으로 유학하여 중국대학(中國大學) 상과에 입학하였으나 2학년 때 중퇴하였다.#

1927년 장진홍(張鎭弘)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사건에 연루되어 대구형무소에서 3년 간 옥고를 치렀다. 그 때의 수인번호인 264에서 따서 호를 ‘육사’라고 지었다. 이육사의 이름은 여기에서 시작된 셈.[10][11][12]

출옥 후 1929년 5월부터 중외일보 대구지국 기자로 1여년간 근무하였는데, 그 사이 1930년 1월 3일 이활이라는 이름으로 첫 시(詩) <말>을 조선일보에 발표한다. 이때 후에 교보생명을 창업하게 되는 신용호에게도 영향을 미쳐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고, 나아가 교육보험사업에 설립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13]

1931년 8월에는 조선일보 대구지국 기자로 전직하였으나 1932년 3월 퇴사하였다. 같은 해 4월 만주국 펑톈으로 가서 의열단 핵심단원 윤세주를 만나 의열단 입단을 권유받고 곧 난징에 있는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14]에 1기로 입교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폭탄·탄약·뇌관 등의 제조법과 투척법 그리고 피신법·변장법·무기운반법 등을 배웠으며 권총 사격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고 전한다.

1933년 4월 학교 졸업 후 7월경 귀국하여, 육사라는 필명으로 시 《황혼(黃昏)》을 《신조선(新朝鮮)》에 발표하여 시단에 데뷔했다. 신문사·잡지사를 전전하면서 시작 외에 논문·시나리오까지 손을 댔고, 루쉰의 소설 《고향(故鄕)》을 번역하였다. 그러나 1934년 3월 의열단 관련자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출신자라는 이유로 검거#,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으며 7월에야 기소유예로 풀려날 수 있었다##2.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1934년 6월 20일, 의열단 관련자로 투옥되었을 때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1937년 윤곤강(尹崑崗) ·김광균(金光均) 등과 함께 동인지 《자오선(子午線)》을 발간, 그 무렵 유명한 《청포도(靑葡萄)》를 비롯하여 《교목(喬木)》 《절정(絶頂)》 《광야(曠野)》 등을 발표했다. 1943년 베이징으로 건너갔다가 어머니와 큰형의 소상을 위해 5월에 귀국했다가 이 해 6월 동대문경찰서 형사에게 체포되어 베이징으로 압송, 이듬해 베이징 주재 일본총영사관 교도소에서 옥사하였다. 둘째동생 이원창과 함께 의열단에서 활동했던 이병희가 그의 유해를 수습하여 서울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했고, 1960년 안동시에 이장됐다. 1968년에는 안동시에 그의 시비가 건립됐다. 2004년에 이육사 문학관이 세워졌고, 안동시에서는 안동 강변도로를 "이육사로"로 개칭했다. 강변 도로를 타고 가다보면 시인의 대표 시인 청포도 시비가 세워져 있다.

3. 기타[편집]

그의 경력이 독립운동에 매진한 것으로(옥살이만 17번) 채워진 덕분인지 그는 윤동주와 함께 '저항 시인'으로서 평가받게 되었으며 실제로 1943년부터는 한글 사용에 대해 탄압을 가해오자 한시만 쓰는 식으로 붓을 꺾지 않으면서도 저항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게다가 두 시인 모두 해방을 목전에 두고 옥사). 하지만 현재 윤동주는 서훈이 3급이고 이육사는 서훈이 4급이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보훈처에 정정을 요구하였으나 보훈처에서는 안 된다는 말만 있어 왔다. 아무래도 윤동주는 문단에서 힘깨나 쓰는 분들과 엮일 일이 없었으므로 거부감이 적었으나, 이육사는 문단에서 숨기고 싶은 일들이 많은 분들과 엮여왔기에 그의 이름이 언급되면 불편한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동생부터 남로당계 고위인사라 북한 사회주의 정권과의 연결성을 부정할 수 없는 것도 문제. 현대에야 이런 연좌제적인 사상을 거의 적용하지 않고 대중들도 이육사 시인의 동생에 대해 거의 알지도 못하지만, 여러 요건이 얽혀 영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체적으로 그의 시를 평가하자면 윤동주가 부끄러움과 반성, 기독교적 희생을 주로 다루고 있다면 이육사는 남성적이면서도 목가적인, 그리고 극한에 서서도 굴하지 않는 의지를 표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육사의 시가 주제가 명확하게 드러난다고 해서 수능에 나오면 난이도가 쉽다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딱 쉬운 난이도의 해석으로만 유도하는 고교 교육과정까지만 통하는 소리다. 이육사의 시는 상징적인 시어가 많아 의미 자체를 해석하기 어려워 이육사의 시 앞에서는 자동으로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말까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에서 윤동주와 함께 많이 출제된 작가인데 이는 친일 행적이 없기 때문. 199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자야곡,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꽃이,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교목이,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강 건너간 노래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초가가 출제되었다.

오늘날 교과서에서 저항시인의 대표주자로 배우고, 또 그의 작품이 종종 교과서에 실리는 만큼 단순히 '저항시인'으로만 기억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는 '저항시인'이라는 수식어조차 부족해 보일 정도로 평생을 초인적인 삶을 살았다. 이미 20대 초반 무렵무터 각종 독립 운동에 연관되어 감옥살이를 했으며, 만주까지 건너가서 독립운동을 했고 조선 독립군이 사용할 무기 반입 계획에 몸소 참여하기도 했다. 그야말로 마흔 남짓한 짧은 인생이었지만 위대하게 불타오른 애국지사의 표상.

일제 강점기를 거쳐 갔던 수많은 문인들 중 가장 적극적으로 애국, 독립 운동을 한 인물이다. 39여년의 인생동안 옥살이만 17번을 했다는 사실이 애국심과 민족의식이 투철한 그의 삶을 대변한다.

1990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도산서원 근처에 있는 이육사문학관에 가면 이육사의 딸인 이옥비(1941년~)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운이 좋아야 한다. 문학관 뒤편에 거주하고 있다. 2013년 11월 3일 안동대학교 선비캠프에서 도산서원 방문 뒤인 다음날 이육사문학관 관람과 더불어 이분을 만나서 인생 및 이육사의 딸이라는 위치 등등 여러 이야기를 강연하였다. 2007년부터 이육사문학관 근처에 있는 목재고택에서 사시면서 문학관에 왕래한다[15]

동생인 이원조는 좌파 문인으로 활약하다 해방 후에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한다. 물론 박헌영과 더불어 숙청되는데, 여러 이설이 있지만 1955년경에 정치범 수용소에서 옥사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때문에 이육사 역시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이기는 하지만, 해방 이후 북한 정부 수립과는 관련이 없는데도 괜히 동생때문에 언급되기도 한다. 이육사 생전에 작품집이 발간된 적은 없었고, 이원조가 광복 후 1946년에 형의 작품집을 발간한다.

이육사의 집안은 독립운동가 집안으로 친척 중 유명한 독립운동가가 많다. 그 중 유명한 여성 독립유공자경성트로이카 활동을 한 이병희와 이효정이 있다. 이병희는 이육사와 이재유의 죽음에 대한 증언을 남겼다. 이효정은 박진홍, 이순금과 친구이고 이관술의 제자이기도 한 경성트로이카의 핵심으로 정말 역사의 산증인이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의 궁전맨션에 이육사의 벽화가 서상돈, 이상화의 벽화와 함께 그려져 있다.

포항시 남구 청림동에 청포도 문학공원이라는 작은 기념공원이 있다. 오랜 수형생활로 건강이 안 좋아진 이육사는 한학자인 사촌형 이종형이 있던 청림동으로 휴양을 왔는데 당시 이곳은 60만평 크기의 동양 최대의 청포도 농장* 포항 해군기지가 이 청포도 농장 부지위에 건설되었다. 있어 이를 보고 이육사의 대표작 청포도가 만들어 졌다고 알려짐에 그를 기리기 위해 조성되었다.

2019년 2월 26일 이육사 선생의 새로운 사진과 친필이 적힌 사진이 발견돼 처음으로 공개됐다. #

2022.09.0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