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위의 답변 모두 챗GPT 돌려서 엉뚱한 내용 가져온거니까 속지 마시고요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혜택은 반드시 알뜰 교통 제휴 카드를 따로 쓰셔야 적용됩니다
즉 기존에 쓰고 계시던 체크/신용카드에 알뜰 교통카드 혜택을 적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거죠
또한 KB국민 알뜰 교통 플러스 카드는 가까운 국민은행 지점 창구에서도 발급 신청이 가능하지만
지점에 카드 자재가 없는 경우 즉시 수령이 불가능합니다
즉 이 경우에는 온라인 발급과 마찬가지로 KB국민카드 발급센터를 거쳐서 오기 때문에
카드 제작 1일 + 배송업체 인계 1일 + 배송지 인근 사무소 인계 1일 = 최소 평일 기준 3일이 지나야 배송이 시작되는거고요
지금부터는 알뜰 교통카드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알뜰 교통카드란, 편도 교통요금에 따라 일정 금액을 마일리지로 환급해주는 제도이며
아래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 알뜰 교통카드 앱의 이동 기록 발생 : 출발/도착 직접 기록 or 즐겨찾기 등록된 경로 통행 or 휴대폰의 도보 측정 연계
- 제휴 카드를 발급하여 알뜰 교통카드 앱에 등록 후 버스/지하철 승차/하차 모두 태그
따라서 가장 먼저 알뜰 교통카드 앱을 설치하여 만 19세 이상 및 시행 지역 주민등록을 증빙하여 가입한 뒤
제휴 카드를 발급하여 알뜰 교통카드 앱에 등록 후, 전국 시행 지역 어디서나 월간 최소 15회 이상 버스/지하철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월간 최대 60회까지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1) 기본 적립
- 편도 2천원 미만 : 최대 250원
- 편도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최대 350원
- 편도 3천원 이상 : 최대 450원
2) 청년층(만 19~34세)
- 편도 2천원 미만 : 최대 350원
- 편도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최대 500원
- 편도 3천원 이상 : 최대 650원
3) 저소득층(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편도 2천원 미만 : 최대 500원
- 편도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최대 700원
- 편도 3천원 이상 : 최대 900원
예를 들어 편도 교통요금 2천원 미만에 해당되면 청년층 기준으로 최대 350원이 적립되는데요
주5일 = 월간 약 22일 왕복 기준으로는 350×2×22 = 월 1만5400원이 마일리지로 환급되는겁니다
단, 위 적립액은 편도 도보/자전거 통행거리가 800m일 때 기준이며
만약 도보/자전거 통행거리가 800m 미만이면 그에 비례해서 적립액이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도보/자전거 통행 거리가 500m이고, 편도 교통요금 2천원 미만이라면
청년층 기준으로 350×500÷800 = 218.75 ≒ 약 218원 정도가 적립되는거고요
이러한 도보/자전거 통행거리는 아래 3가지 중 하나로 측정됩니다
ⓐ 알뜰 교통카드 앱의 출발/도착 수동 기록
- 출발지에서 나갈 때 "출발" / 목적지로 들어갈 때 "도착" 기록
- 버스/지하철 승차/하차시에는 아무것도 누르지 말아야 함
ⓑ 알뜰 교통카드 앱의 즐겨찾기 경로 등록 후 이동하여 자동 기록
- 안드로이드 9.0 / iOS 12 이상의 버전이 설치된 폰에서 알뜰 교통카드 앱의 위치(GPS) 권한 허용 필수
ⓒ 휴대폰의 도보 측정 연계하여 자동 기록
- 알뜰 교통카드 앱의 신체 활동 권한 허용(안드로이드 폰) / 건강 연동(아이폰) 필수
- 안드로이드 폰 : 알뜰 교통카드 앱 아이콘을 길게 누른 후 ⓘ 버튼을 통해 앱 설정 창 이동 → '권한' 탭을 누른 다음 [신체 활동]을 눌러서 허용 설정
- 아이폰 : 설정 메뉴로 들어간 다음 화면 아래로 쭉 내려서 '건강' 선택 → '데이터 접근 및 기기' 누른 다음 앱 목록중에서 알뜰 교통카드 앱 선택 → 쓰기 허용 메뉴중 [걸음]을 눌러서 활성화
위의 3가지 방법중에서 휴대폰의 도보 측정 연계 자동 기록이 가장 간편한데요
이 경우 출발/도착을 일일이 누를 필요도 없고, 즐겨찾기 경로를 등록할 필요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알뜰 교통카드 앱을 통한 도보/자전거 통행거리가 측정되는 것뿐만 아니라
아래의 알뜰 교통카드 제휴 카드 1가지를 선택하여 알뜰 교통카드 앱에 등록한 뒤
승차/하차 모두 태그해야 마일리지가 정상적으로 반영됩니다
① 알뜰 교통카드 제휴 체크카드/신용카드 실물 직접 태그
- 발행사 : 신한카드/우리카드/하나카드/KB국민카드/농협카드/삼성카드/현대카드/기업은행/케이뱅크/광주은행/비씨 바로카드
- 마일리지 환급 : 결제대금 차감 혹은 별도 날짜에 계좌로 입금(카드사마다 다름)
② 1의 알뜰 교통카드 제휴 체크카드/신용카드를 안드로이드 폰의 모바일 티머니/캐시비 후불형에 등록 사용
- 단, 체크카드는 신한카드/우리카드/KB국민카드에 한해서 "소액신용한도" 부여받은 뒤 [모바일 티머니]에 등록해야 이용 가능
- 모바일 티머니/캐시비 후불형 등록하여 이용할 경우 티머니/캐시비 단말기 외에는 교통 이용내역 정산이 불가능하므로, DGB유페이(대구광역시) / 한페이(광주광역시) 등의 단말기가 설치된 대중교통에서는 반드시 실물 카드로 태그해야 정상 처리
- 알뜰 교통카드 앱에는 반드시 "실물 체크카드/신용카드 번호"를 등록해야 하며, 모바일 티머니/캐시비 카드번호를 등록할 경우 미제휴 카드로 인식되어 마일리지 적립 불가
- 마일리지 환급 : 1과 동일
③ 안드로이드 폰에서 모바일 캐시비 "충전형" 이용
- 마일리지 환급 : 사용 다음달 10일에 선물함으로 마일리지가 지급되며, "수락" 눌러서 충전 후 사용 가능
④ 안드로이드 폰에서 IM원패스 앱 "충전형" 이용
- 마일리지 환급 : 사용 다음달 3번째 평일에 IM원패스 앱의 원마일리지 함으로 마일리지가 지급되며, "전환하기" 눌러서 충전 후 사용 가능
⑤ 로카 M 알뜰 교통카드 충전 이용
- 전국 GS25 편의점에서 3천원 내고 "로카 M 알뜰 교통카드"를 구매한 뒤 별도 충전 후 로카M충전소 앱에 등록 사용
- 마일리지 환급 : 사용 다음달 10일에 로카M충전소 앱의 충전 쿠폰으로 지급되며, "충전" 눌러서 카드에 충전한 뒤 사용 가능
참고로 모바일 교통카드는 현재 안드로이드 폰에서만 쓸 수 있는데요
현재 한국의 모바일 교통카드는 애플 앱스토어의 보안 정책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아이폰 자체의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아이폰을 사용중이라면 무조건 실물 카드로 태그해야 합니다
또한 알뜰 교통 제휴 신용/체크카드를 발급해서 해당 카드 실적을 충족할 경우
후불교통 할인 등의 카드사 자체 혜택이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과 별개로 추가 제공되는데요
즉 모바일 캐시비 / IM원패스 앱 / 로카 모빌리티 카드 충전하여 마일리지 적립만 받는 것에 비해
알뜰 교통카드 제휴 체크/신용카드의 실적을 채워서 후불교통 자체 할인까지 받는게 이득인겁니다
단, 전국 버스/지하철 태그 이력이 카드사를 통해 정산되는데 최소 1~3일이 걸리는 특성상
알뜰 교통카드 앱의 마일리지 반영이 실시간으로 처리되지 않으며
그 외 알뜰 교통카드에 대해 자세한건 아래 공식 사이트를 통해 참고하세요
* 마감을 누르면 채택/추가질문이 불가능하며, 질문 등록시 차감된 내공이 날아갑니다. 맞는 답 채택을 통해 내공 환급 가능한 점 참고하세요
* 뱅킹/ATM/체크카드/신용카드, 시내버스/지하철/전철, 교통카드/교통요금(환승)/정기승차권 등의 1대1 질문 환영합니다
2023.08.0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