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메리츠금융지주 나올 수 있을까요?
고점에 살짝물렸습니다. 더 올라갈줄 알고 샀는데 계속 내려가네요 ㅜ
==> 안녕하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시가총액은 3조2,967억원, 코스피 중 101위인 기업입니다.
전문가들은 아직은
지켜봐야 할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기업의 내용입니다.
1)2011년 메리츠화재해상보험에서 인적 분할하여 설립한 국내 최초의 보험지주회사로, 금융업을 영위하거나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회사 등의 지배 내지 경영관리를 주사업으로 영위.
2)주요 종속회사는 메리츠화재해상보험, 메리츠증권, 메리츠자산운용, 메리츠대체투자운용, 메리츠캐피탈 등이 있음.
3)지주체제를 통해 그룹의 리스크 및 대응 프로세스를 견고히 하였고, 강도 높은 비용 절감을 추진하는 등 금융위기에 빠르게 대처함.
내용출처 : 네이버 금융
해당 기업 최근 관련기사입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4586320&office_id=015&code=138040
출처 : 네이버 증권
아직 코로나가 종식되지 않았기에
백신 및 치료제의 대한
임상 및 연구 결과의 대한 관심이
다시금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심한 제약/바이오주에서
임상 결과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받아
높은 수익률을 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클릭 후
3일간의 무료체험기간 동안에
수익을 경험해보시길 바랍니다.
▼▼▼▼▼▼▼▼▼▼▼▼▼▼▼▼▼▼▼▼▼▼▼▼▼▼▼▼▼▼
그 어떤 테마주들보다
높은 상승률을 낼 수 있는
제약/바이오 관련주들 사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실제 이용자들의 수익률을
공증받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선
이미 소문이 나있는
제약바이오 종목 전문 회사입니다.
뉴스 하나에 위아래 변동성이
30~50% 이상 되는 제약/바이오주 테마에서
많은 수익을 보시길 기원합니다.
2021.08.04.
안녕하세요.
추세 나쁘지 않아요.
최근 주식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카카오 네이버 삼성전자에 묻지마 투자하는 분들이 많으신대요.
그러나 혼자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다 보니 정보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고 손실은나고...
주식은 정보 싸움이니 함께 해보세요.
질문자님의 시간은 소중하니까!!
더 이상 고민 마시고, 일단 15초 소개 영상 보시지요.
영상을 끝까지 보시면 상담사이트에 연결 가능하십니다.^^
지금 무료 체험 신청해 보세요!
주식리딩사이트 ‘청개구리투자클럽’ 입니다.
- 손실이 나서 급등주 찾으시나요?
- 주식정보사이트 찾으시나요?
- 주식이 처음이라 주식컨설팅이 필요하시나요?
- 개인주식투자로 1억만들기 프로젝트에 도전하세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작성자는 본캠페인 홍보를 통해 일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2021.08.04.
고점에 살짝물렸습니다. 더 올라갈줄 알고 샀는데 계속 내려가네요 : 8월 중순까지 주가가 상승하는 날 매도하십시오. 공개된 지면 관계상 특정종목은 말씀드릴 수가 없고,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은 8월 초순까지 주가가 조정을 받은 다음, 8월 중순부터는 주가가 하락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참고) 바이든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감으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주가가 연일 최고점을 갱신하였습니다만, 저번 주 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고, 중국이 지준율을 인하하면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 지역은 최고 단계인 4단계가 발효 중이고,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는 8월 중순경에는 2,3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프라 투자의 정부 지출 대부분은 다년에 걸쳐 분산될 것이므로 시장에 전반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며, 인프라 투자 예산 관련 입법이 항상 난항을 겪었으므로, 당장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주가는 단기에 폭등하면 반드시 단기에 폭락합니다. 그러므로 지금은 주식을 매수할 타이밍이 아닙니다. 상당수 애널리스트들은 연준이 오는 8월 와이오밍주에서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8월 26~28일)에서 자산매입 축소 논의에 대한 신호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공식적인 발표는 12월 회의에서, 실제 시작은 내년 상반기부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리고 연준은 2023년에는 금리를 2회 인상할 것이라고 예고를 하였는데, 일부 연준의원들은 2022년부터 금리를 인상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이 지준율을 인하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지준율을 인하하면 달러는 강세가 됩니다. 달러가 강세가 되면 환율은 상승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외인들은 한국의 주식을 매도합니다. 외인이 한국의 주식을 매도하면 주가는 하락합니다. 만약, 코로나 확진자가 계속 증가하고, 2022년부터 금리를 인상하고, 테이퍼링의 신호를 2021년 8월에 주고, 중국이 지준율을 계속 인하한다면, 2021년 8월 초순까지 주가가 조정을 받은 다음, 8중순부터 주가는 하락할 것으로 봅니다. 내가 예상할 때 2022년 상반기에는 현재보다 최소 5% 이상은 하락할 것으로 봅니다.
2021.08.04.
주식할 때 자기만의 법칙을 정하세요. 손익율, 손실율. 이 방법이 무난합니다. 성투하세요~
주식은 쉽게하기 모토로
종목소개와 종목진단 위주로 유튜브 활동 하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시면 놀러와주세요. (유료 광고 아닙니다 ^^)
구독과 좋아요. 알림설정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항상 성투하세요 ^^
주식 쉽게하는 영상입니다.
주식 종목진단
2021.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