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우리나라 법원의 역사가 어떻게 되나요
비공개 조회수 243 작성일2023.04.27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세아이
절대신 열심답변자 eXpert
2021 IT/테크 분야 지식인 #세아이 #카카오톡 카카오톡 1위 분야에서 활동

1. 고려시대: 고려시대(918-1392)에는 중앙 및 지방 행정구역에 사판서(司判署)라는 법원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법원은 현대 법원과는 다르게 행정기관의 일부로서 기능하였습니다.

2. 조선시대: 조선시대(1392-1897)에는 대판소(大判所)와 소판소(小判所)가 중앙과 지방에 각각 설치되어 법률적인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이 시기에 법원은 법률 판례를 바탕으로 판결을 내리는 판사들로 구성되었습니다.

3. 대한제국: 대한제국(1897-1910)에는 근대적인 법원이 도입되었으며, 대한제국 민사소송규칙과 형사소송규칙 등 현대 법률 체계의 초석이 마련되었습니다.

4.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의 조선 침략 후 (1910-1945), 일본의 법률 체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법원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관련된 사건을 다루기도 했습니다.

5. 대한민국 건국 이후: 대한민국이 1948년 건국된 이후, 현대 법원 체계가 구축되었습니다. 1949년 《대한민국 헌법》 제101조에 따라 대법원, 고등법원, 지방법원, 가정법원 등 다양한 법원이 설치되었습니다. 이후 법원은 헌법에 따라 독립적인 판사의 직위를 보장받으며, 사법부의 독립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6. 1987년 민주화 운동 이후: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사법부 개혁이 추진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판사 선임 방식 개선, 대법원장의 지명 권한 변경 등 사법부의 독립성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헌법재판소의 설치와 헌법소원제도의 도입 등 헌법적 기능이 확대되었습니다.

7. 21세기 사법개혁: 21세기 들어 대한민국 법원은 다양한 사법 개혁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법원은 사법행정을 개선하고 접근 가능한 법원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법부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3.04.28.

세아이님의 엑스퍼트 상품
답변자에게 더 자세한 맞춤 상담하고 싶다면 엑스퍼트를 이용해보세요!
바로가기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답변입니다.
202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