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신지식 농업인이 농업으로 성공한 ceo를 말씀하시는건지
아니면 새로운 사람들이 시도하지않은걸 새로이 시작하여 성공한 농업인을 말하는건지..?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군요. 어떤 답변을 원하시는지 몰라서 제가 우선은 퍼와봤습니다.
만약 마음에 않드시면 의견 적어주세요 ^^ 제가 직접 서술해드리겠습니다..
체택필수요 !
▶개념 지식의 생성, 저장, 활용, 공유를 통해 농업의 생산, 가공, 유통 등을 끊임없이 개발, 개선 혁신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농업,농촌의 변화를 주도하는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
▶역할 지식기반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 자주적 지식농업의 중심 인력으로서 새로운 농업지식의 창조자. 전파자. 공유자.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생산자. 경영자 및 신지식을 이용한 농업,농촌 발전의 지도자. 농업인을 신지식 농업인으로 양성하는 교육자 또는 지원자. |
높은 사회적 지위유지와 지식농업의 확산을 주도해나가도록 선발된 신지식농업인에게 직접적인 자금지원보다는 간접적인 정책적 지원 신지식농업인을 선도농업인으로 지정, 농신보 보증한도 확대
신지식농업인의 생산품 공동브랜드 개발지원 또는 장기적으로 농업 C·I(Corporate Identity)사용여부 검토
경험과 노하우 전수 및 자긍심을 갖도록 각종 농업교육기관 강사로 출강할 수 있는 교육프로 농업경영종합자금 신용평가 및 농업경영컨설팅 우대
해외선진농업·식품박람회 참관지원으로 신기술 습득기회 제공 ·
신지식농업인 생산품 규모화 추세를 감안, 박람회 개최 또는 참여 ·
신지식농업인의 기술강의·현장실습 등 단계별 신지식농업인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지식농업인력 육성
농과계 학교 재학생, 후계농업인 등의 신지식농업인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추진 ·
준신지식농업인의 신지식농업인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추진 ·
신지식농업인 경영체 견학체험 투어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한 지식농업의 확산과 인력육성대상으로서의 신지식농업인 법제화와 협회의 법인화 등으로 지식농업기반의 단계적 조성 신지식농업인경영체 견학체험투어 프로그램 개발 추진 ·
신지식농업인 통합홈페이지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식정보 교류, 신지식농업인경영체인터넷투어와 전자상거래 등 지식농업 확산 ·
지식농업확산을 위한 홍보강화 ·
농업인력 육성대상으로서의 신지식농업인 법제화 검토 ·
|
2008.05.19.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1] 성 명 : 김 상 호(54년생, 벼)
소재지 : 충북 청원군 강내면 탑연리 108
전화번호 : 043-231-3388
경영현황
재배면적 : 10,500평, 조경수재배 : 2ha, 토종꿀 : 30군
연간수입 - 68 경영비 - 14 농업소득 - 41 농업외소득 - 13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환경농업 선도농가로서 '98년부터 새로운 친환경농법(쌀겨농법, 오리농법, 우렁이농법 등)을 부단히 연구·개발하고 보급하여 농업경쟁력 방안을 제시
- 연구결과 얻은 지식을 주변농가, 청원군기술센터, 각 읍·면을 순회하며 환경농업 사례발표를 통해 기술 전파
- '맛좋은쌀연구회' 결성('98 : 회원 7명) 친환경농법 연구, 보급('03 : 53명)
- 쌀 포장방법도 휴대·보관이 불편하고 습기에 약한 지대 및 P?E대를 개선하여 PET재질을 이용한 포장방법을 개발하여 문제점 극복
친환경농산물 무농약사용신고농가 등록(제12-04-3-16)
- 청개구리쌀(특허등록 제0551496), 미호골드미(제0551497), 유채꽃쌀(제2002-37507), 청개구리캐릭터(제 2002-43088) 상표 등록
- 한국유통정보센터 바코드취득번호(880910236)
KBS“6시 내고향”(2회), MBC 및 각종언론에 보도
'04년에는 현재의 친환경인증면적 54.7ha를 150ha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 겨울에 눈썰매장 개장, 유채꽃 피는 도시민의 휴식공간 제공 계획
----------------------------------------------------------------------------
[2] 성 명 : 표 희 윤(55년생, 벼)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세도면 귀덕리 201번지
전화번호 : 041-833-0212, 011-7422-5377
재배면적 : 45,000평, 육묘장 100평, 가공시설 40평, 농기계정비 및 연구시설 60평,
농기계보관창고 40평, 63만평 위탁관리
연간수입 - 183 경영비 - 50 농업소득 - 115 농업외소득 - 18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폐농기구를 이용한「상토 일관조제 시스템」등 저비용·고효율 생력영농시스템 구축으로 쌀의 경쟁력 제고, 농가소득 증대
-「상토 일관조제기」개발로 관행 대비 7∼18배 작업능률 향상
- 또한, 대량 출아시스템,‘레이져 빔’무논정지기 등 15종의 생력기계 개발
어린모재배 시범단지 조성을 시작으로 건답줄뿌림, 담수직파, 부직포이용 기계이양육묘방법을 도입하는 등 벼 생력기계화재배에 선도적임
쌀겨와 목초액 등을 살포, 무농약재배 및 청정수로 생산된 양질미(米)를 생산, 직거래 및 전자상거래 판매 위해“부여군”사이트에 등록중
TV, 신문, 잡지 홍보, 농민교육(사례 발표), 전국 농업기술센터 등 기술개발 보고서(책자) 배포 등 적극적인 활동
- 또한, '농기계 수리소'를 운영 인근농가의 고장난 농기계 무상수리, '탈망기'를 이용 종자용 볍씨를 무상으로 탈망작업 제공 등 지역 봉사
'02년「상토일관 조제기」특허등록(제0345054호), '03년「쌀포대」의장등록(제0328046호), 『미쓰리』상표 등록 출원중
---------------------------------------------------------------------------
[3] 성 명 : 신 동 하(49년생, 사과)
소재지 : 경북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328
전화번호 : 054-541-3859, 011-541-3869
재배면적 9,500평
연간수입 - 91 경영비 - 33 농업소득 - 58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목초액과 화학합성농약의 혼용을 통해 농약사용량(50%) 절감, 친환경 고품질 과수 생산에 선도적 역할
목초액 농법을 실천하는 '문경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을 설립('00), 정부에서 인증하는 '저농약인증을 획득', 고품질 사과생산으로 백화점 및 대형유통업체와 거래, 일반 관행농법 생산자와 비교, 30%정도의 높은 가격 판매로 농가소득 증대
21세기 사과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신품종 시험재배와 새로운 사과나무 수형을 도입·연구 하는 등 양질의 사과재배 생산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일반농가와의 지식·기술공유로 저변확대에도 노력
고품질·고당도·친환경적인 농업실천과 친환경농업 기술보급에 노력하고 있으며,
- '02년 농촌소득증대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표창, '00년 농림부장관 표창 수상
현재 목초액의 효과에 대하여 임업연구원에서 연구중
----------------------------------------------------------------------------
[4] 성 명 : 이 상 문(58년생, 사과)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용탄동 872
전화번호 : 043-853-2328
재배면적 : 8,500평, 선별장 10평, 저온저장고 15평
연간수입 - 100 경영비 - 30 농업소득 - 7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소비자 입맛의 고급화를 예견하고 미리 신품종을 확보, 재배(5년전-희로사끼)하여 올해 처음 출시하여 높은 가격과 호평을 받음
: 소량 고품질화 적중(가락시장 납품가격 박스당 평균 20,000원 비쌈)
확보된 신품종과 구품종 시범재배단지 운영
- 신품종(희로사끼, 시나노스위트)과 구품종(홍옥)을 시범단지에 재배하여 가격, 맛, 효율성등을 시범재배, 자료 축적
제초제, 저농약 사용(초지재배)
- 잡초는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예초기로 정리하고, 최소한의 농약을 사용하여 껍질채 먹을 수 있는 사과 재배
- 친환경농산물 저농약 품질인증('03)
사과연구 자생단체 조직
- 고품질사과 재배를 위해 15명으로 구성된 사과사랑회 조직운영
---------------------------------------------------------------------------
[5] 성 명 : 이 윤 현(47년생, 배)
소재지 : 경기 화성시 비봉면 구포리 967
전화번호 : 031-356-5571
재배면적 22,000평, 저온저장고 96평, 선과장 120평
연간수입 - 750 경영비 - 250 농업소득 - 50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고품질 안전한 배생산을 위한 기자재 연구 개발 및 친환경농법 실천
- '저온저장고 자동환기시스템'(저장열 환기), '저장고내 배출가스(CO2, 에틸렌) 자동측정장치' 개발로 저장성 향상, 홍수출하 방지
- '비파괴 당도 선별기', '자동제함기'를 이용하여 작업의 효율성 도모, 비용절감(선별률 : 30개/분 90, 생산율 : 12개/분 60)
- 유기질·토착미생물 천연자재를 이용한 토양개량, 병해충방제 및 '친환경 봉지 개발(시험중)'로 대기오염과 농약살포에 안전한 배 생산
: '01년 친환경인증(저농약) 획득
배 재배농업인 10여 농가로 비봉배 작목반을 구성. 작목반 강평회(총35회) 등을 통한 신재배기술 보급에 노력, '02년부터는 배꽃축제와 배따기축제로 휴식공간 제공 및 직거래 확대(현재 40%수준)
'01년 '과일보호용 봉지'로 실용실안등록(제0234084호), '03년 '과실재배용 봉지'(제0331636호), '자동환기시스템(제2001-0044217호), '6시그마'로 상표등록(제0570998호),'현명농장'으로 서비스표시등록(제0063762호), '친환경과일봉지' 국내 및 국제 특허 출원중(일본,중국)
---------------------------------------------------------------------------
[6] 성 명 : 주 신 복(59년생, 사과)
소재지 : 경북 문경시 문경읍 팔영2리 630
전화번호 : 054-572-3111
재배면적 14,000평, 축사 350평, 저온창고 10평
연간수입 - 162 경영비 - 20 농업소득 - 140 농업외소득 - 2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무당벌레을 이용한 진딧물의 친환경적인 방제법 개발, '01년부터 적용
- 농약살포 횟수를 줄임으로써(14 9회) 비용절감 및 불량사과의 비율이 현저히 감소로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및 농가소득 증대
창의적인 마인드를 갖고 노력하며, 습득한 기술과 재배방법 공유와 과수원을 현장 실습장 및 견학장으로 활용하는 등 도시민과 연계를 통한 관리능력 및 홍보와 마케팅에도 앞장서는 농업인임
- 기술 습득에 매우 열정적이며,
- 도시 소비자 방문을 유도하여 친환경농업 현장을 보여줌으로써 신뢰 증진, 고품질 홍보
과수원내에 토종벌을 방사, 토종벌 수정을 통한 착과률 상승과 토종꿀 생산으로 새로운 농가소득과 차별화된 영농기법 개발중
정부에서 인증하는 '친환경농산물 저농약사용신고농가'(제16-09-4-06)로 등록('01)
----------------------------------------------------------------------------
[7] 성 명 : 김 병 귀(60년생, 유기농채소)
소재지 : 전북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 248
전화번호 : 063-547-6215
재배면적 : 20,000평, 비닐하우스 15,000평, 집하장 200평, 저온창고 40평
연간수입 - 2,000 경영비 - 1,800 농업소득 - 20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여 제값 받고 판매한다'는 신념으로 유기농재배
- '기능성', '정직한 유기농산물임'을 홍보, '브랜드화' 추진
친환경 유기농 생산(전북 제1호 유기농산물 인증('95), '친환경농산물 유기재배신고농가'(제14-06-1-01) 등록) 뿐 아니라,
'97년부터 신선초 등 건강채소에 "게르마늄" 함량이 가장 높게 나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고칼슘 게르마늄 기능성 농산물" 출시, 호평
- 백화점, 대형마트 및 가공공장 등에 연중계약 판매, 직영점 확보(12개 매장)
('96년부터 매년 10%씩 매출 신장률을 보여 현재 20억원 달성)
홈페이지 구축(www.cjw62nong.co.kr), 브랜드를 개발('천지원') 및,
- '농장 소식지' 매월 발행(1,500여명 소비자 회원 확보), 소비자 초청 이벤트 행사(주말농장, 김장축제 등) 개최로 신뢰 증진, 마케팅 활성화
농림부장관, 김제시장, 농협중앙회장 등 표창 수상
KBS“6시 내고향”(2회), MBC“생방송 화재집중”,전북방송 등 수차례 친환경농업사례 홍보
- 한농전(원예과) 실습교수로 활동(유기농 전파)
----------------------------------------------------------------------------
[8] 성 명 : 도 진 호(60년생, 콩나물)
소재지 : 경남 김해시 진례면 송현리 214-1
전화번호 : 055-345-6931
재배면적 100평, 저온창고 25평, 포장실 30평, 환원순환시스템 5평
연간수입 - 600 경영비 - 540 농업소득 - 6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외관이 좋을 뿐 아니라 무농약 청정생산된 콩나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증가를 반영하고, 콩나물 쓰레기의 효율적 처리 방안의 연구로 "활성순환농법" 개발
- 여분의 콩나물을 저온열분해 탄화장치(환원순환기계)에 처리, '수액'과 '탄화물'을 채취하여 혼합관주함으로써 품질 향상
·분석결과 비타민C가 기존의 관행재배보다 약 5배 이상 높고 칼슘, 인 등의 성분이 높아지는 효과 나타남
- 또한, 콩나물재배의 관건이라 할 수 있는 발아율을 수액관주로 96%까지 향상(관행 80%)시켜 15% 정도의 원료콩 절약 및 재배기간 단축(2∼3일), 소비자 인정으로 농가소득 증대 실현
「환원순환에 의한 콩나물 재배 방법」특허등록(제0362874호) 및 경상남도 추천상품 Q.C마크(제0201081호)
정부에서 인증하는 친환경농산물 무농약사용신고농가(제17-07-3-04)로 등록
현재 칼슘이나 게르마늄 등이 함유된 기능성 콩나물 생산을 위해 연구 개발중
----------------------------------------------------------------------------
[9] 성 명 : 신 관 순(48년생, 고추)
소재지 : 충북 음성군 삼성면 양덕1리 161
전화번호 : 043-878-5355, 011-446-7521
재배면적 5,000평, 비닐하우스 1,200평
연간수입 - 70 경영비 - 50 농업소득 - 2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고추의 매운맛을 자유자재로 조절 청결고추 본고장에서 고추왕에 오를 만큼 기술력 우수함
- 쓰러짐방지 그물망 유인재배, 녹색비닐 멀칭재배(잡초 제거),
- 하우스 벽면 방충망 설치로 병해충 방제효과 및 농약사용 자제
- 양액시스템을 통해 일주일에 한번씩 한약부산물 발효액비 관주 및 유기퇴비 시용으로 고추의 색채 선명 및 병충해 예방효과
- 토양개량제(석회 및 맥반석 1,000kg/10a)시용하여 연작피해방지 및 고추의 성장촉진으로 중량 증가효과
계통출하, 출하시기 조절 및 포장개선으로 농산물 제값 받음
- 하우스내 온도조절로 수확시기(7∼12월)와 출하시기를 조절하고, 건고추 골판지포장재(20kg) 출하로 비닐포장재에 비해 품질손상이 거의 없어 직거래 소비자로부터 호응도 좋음
'03년에는 일시수확형 고추를 전국에서 첫 시험재배한 결과 인력비용 크게 절감 - 노동력 60%이상
충북고추연구회 사례발표('03), 충북도지사 상장('00), TV, 신문 등 보도
----------------------------------------------------------------------------
[9] 성 명 : 우 진 호(60년생, 쌈채소류
주소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77-3
전화번호 : 02-388-2401
재배면적 2,600평, 비닐하우스 2,600평, 집하장 150평, 예냉, 저온저장고 80평, 일반창고 100평
연간수입 - 720 경영비 - 526 농업소득 - 194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고비용 유리온실에서 탈피 저비용·고효율 '벤노형 연동 비닐하우스'를 시설과 친환경 쌈채류 담액수경재배 생산기반 조성으로 자연에만 의존하던 농업의 영농의식 개혁에 주도적 역할
- 작물의 최적생육 유도 및 고품질 생산(기능성 등), 에너지 절감(태양열, 심양전기), 편리성을 모두 갖춘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
- '엽채류 자동세척기'(수작업 대비 작업능률 70배), '콜드시스템'구축, 냉각수 세척, 예냉처리로 유통기간 연장, 고품질 유지
'동마루영농법인'을 설립('97) 철저한 선별작업과 계통출하, 브랜드화('동마루', 제040545호) 및 대형마트와 직거래로 높은 수취가격을 받고 있으며,
- 홈페이지 제작('98년)으로 지속적인 홍보 및 전자상거래를 구축
- '98년부터 일본에 쌈채류 수출로 국내외 거래선 다변화
현재 친환경농업 컨설턴트 자격을 취득하여 농업인 현지 지도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 중이며,
- 한농전, 농협대학의 현장교육장 제공, 해외농업인에게 농업견학지(연간 2,000여명 방문) 제공으로 한국의 선진농업 지속적 홍보
'98년 무농약재배 품질인증(농림부) 획득, '01년 G마크(경기도) 취득, '03년 새농민 본상 수상(환경부문), 대통령 표창
-------------------------------------------------------------------------------
[10] 성 명 : 권 오 영(46년생, 화훼)
소재지 : 경기 고양시 일산구 지영동 594
전화번호 : 031-977-6891
재배면적 1,200평, 비닐하우스 600평, 작업장 50평
연간수입 - 250 경영비 - 130 농업소득 - 70 농업외소득 - 50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공학도 출신으로 귀농하여 새로운 양액재배 방식인 'C형강을 이용한 한국형 저면관수시스템(MK시스템)'을 개발 친환경농업에 접목
- 관수(관행 노동소요의 70%)를 자동화, 양액·농약을 자동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노동력 절감, 고품질 균일 생산으로 경영 개선
- 폐양액 방류가 없으며, 저면 관수되므로 물·비료 용탈이 적고, 식물체가 젖지 않아 병해 발생이 적어 농약 절감(친환경농업)
새로운 양액재배 시스템의 개발로 대학, 연구기관과 협력연구로 지난 3년간 부단히 기술정보를 교류 진행. 한국원예학회지 등에 MK시스템 관련 논문 10여편 발표
- '99년 MK시스템 설치 이래로 연간 200명 이상 농장 견학 및 상담
C형강 매트방식을 응용하여 가정 등 실내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Magic Bed(상품명) 개발 보급. 화훼류의 일본 수출도 매년 증가('03년 : '02년의 1.5배)
'01년에 「화분용 급수판」으로 특허청 실용실안등록(제0230305호)
-----------------------------------------------------------------------------
[11] 성 명 : 김 상 우(54년생, 화훼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월평동 385번지
전화번호 : 064-739-5852
재배면적 4,300평, 비닐하우스 4,300평, 집하장 30평, 저온실 15평, 기계실 15평
연간수입 - 150 경영비 - 90 농업소득 - 6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고질적인 연작장해를 해결하고 백합 무병종구를 대량생산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개발(전문증식농가)
- 염류장해 해결 : 제주산송이석(60%), 피트모스(20%), 펄라이트(20%)를 섞어 물빠짐 좋은 배드를 만들고 연1회 두상관수를 실시, 토양축적 염류를 씻겨 나가게 하여 고질적인 염류 장해 해결
- 인공상토 소독법 : 백합종구를 정식 전 인공상토에 물을 관수 후 하우스를 밀봉하여 태양열과 열풍기로 7일정도 가열, 토양속의 충과 균을 사멸
동 기술의 개발로 비용절감(인공상토 운반 및 재설치 비용), 백합 생산기술이 국제적인 수준(초장 70cm이상)에 이를 수 있는 계기 마련
제주농업시험장, 제주농업기술원 등과 기술공유 및 백합농가들에게 동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보급
'02년에 우량종구 400만구를 생산 보급, 국제규격 백합수출에도 선도적 역할
제주생산수출협의회 회장, 한국벤쳐농업포럼 회원으로 활동
-----------------------------------------------------------------------------
[12] 성 명 : 한 현 석(63년생, 야생화)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64
전화번호 : 043-221-6482
재배면적 : 1,000평, 비닐하우스 1,000평, 조직배양실 : 60㎡
연간수입 - 110 경영비 - 30 농업소득 - 80 농업외소득 - (단위 : 백만원)
아이디어 및 내용 :
'82년부터 관심부족과 학문적 체계 미흡으로 방치되온 우리나라 야생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체계화시켜 멸종 위기로부터 구하고, 이를 영농화하여 농가소득 개발의 토대를 마련
- 자연상태 멸종위기종(해오라비난초, 복주머니난초 등) 등 야생화 10종의 파종시기, 생리적 특징을 규명하여 대량증식하고,
- 야생난초 등 희귀종의 조직배양 및 우수한 변이종의 유전형질의 고정·증식 성공('00년에는 농촌진흥청에 연구보고서 제출)
희귀종 증식 판매(흰꿀풀 15천본 등)로 농가소득 증진 및
- '00년 홈페이지 개설하여 기술과 정보를 제공(접속 26만건), 산야초 도감 출간(칼라 450면, 전2권), 전시회 개최('00-'02), '우리꽃 가꾸기' 강의, 충북대 협력농장지정 운영('00) 저변화 노력
충북농업기술원 품평대회 금상('95,'96), 강원도 국제관광엑스포 '한국의 야생화전' 금상 수상('99), 청원군문화원 향토사랑작품전 식물부문 4회 출품('00) 등
방송사(KBS, MBC, SBS, YTN) 및 언론사 출연 야생화 홍보 20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래여;;
숙제 열심히 잘 하세여, 아무쪼록
제가 채택되기 바랄께여ㅋㅋㅋㅋㅋㅋㅋ
2008.06.10.

신지식농업인의 뜻
새로운 생각으로 농사짓는 법을 개선하여 농촌이 발전하도록 힘쓰는 농업인
신지식 농업인의 이름
참다레아저씨,이원희,김상호(54년생 벼) 표희윤(55년생 벼) 김병귀(60년생 유기농 채소)
신동하(49년생 사과) 이상문(사과) 이윤현( 47년생 배) 주신복(59년생 사과
신지식 농업인의 지역
경상북도, 충청북도
신지식 농업인의 활약내용
경상북도 칠곡에 사시는 한 아저씨는 뼈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홍화씨를 재배하여 신지식농업인 1호로 정해졌다. / 충청북도 청원군에 사시는 한 아저씨는 쌀에있는 해충을 오리와 우렁이가 해충을 잡아먹고 거름을 주는 방법을 만든 환경농업 선도농가로서 모든 농업인에게 보급하여 농업경쟁력 방안을 제시했다.
저도 이거 숙제인데 인터넷내용 조사하면서 했어요
좋은 자료는 파미지라는 http://www.farmig.com 에 있습니다.
2008.06.12.
1. 지역: 경상북도
2.신지식 농업인 이름:배문열
3.신지식 농업인의 활약 내용
경상북도 칠곡에 사시는 할 아저씨는 뼈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홍화씨를
재배하여 신지식 농업인 1호로 지정되었다. 홍화씨는 인터넷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로까지 팔고있다.
신지식 농업인의 뜻
새로운 생각으로 농사짓는 법을 개선하여 농촌이 발전하도록 힘쓰는 농업인을 말한다.
촌락과 도시가 같이 발전하기 위해 도시인들이 해야 할 일을 3가지 이상 적어보자.
①직거래 제도를 만든다.
②도시와 농촌학생들이 자매결연을 맺어 도시는 농촌으로 농촌은 도시로 문화체험
학습을 많이 실시한다.
③자원봉사제도를 만들어 농촌일을 돕는다.
많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저도 오늘 숙제 하느라 이 문제를 다 풀었거든요
그냥 돕는 차원에서 썼습니다
도움 되셨길..2번답은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제가 찾아본 결과입니다.
2008.05.26.

신지식 농업인
5학년 8반 임일진
♣개념
지식의 생성, 저장, 활용, 공유를 통해 농업의 생산, 가공, 유통 등을 끊임없이 개발, 개선 혁신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농업, 농촌의 변화를 주도하는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역할
지식기반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 자주적 지식농업의 중심 인력으로서 새로운 농업지식의 창조자. 전파자. 공유자. 그리고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생산자. 경영자 및 신지식을 이용한 농업,농촌 발전의 지도자. 또 농업인을 신지식 농업인으로 양성하는 교육자 또는 지원자.
♣ex)
1.지역: 경상북도
2.신지식 농업인 이름: 배 문 열
3.신지식 농업인의 활약 내용
경상북도 칠곡에 사시는 한 아저씨는 뼈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홍화씨를 재배하여 신지식 농업인 1호로 지정되었다. 홍화씨는 인터넷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로까지 수출 있다.
1.지역 : 충청북도
2.신지식 농업인 이름: 김 상호
3.신지식 농업인의 활약 내용
충청북도 청원군에 사시는 한 아저씨는 쌀에 있는 해충을 오리와 우렁이가 해충들을 잡아먹고 거름을 주는 방법을 만든 환경농업 선도농가로서 모든 농업인에게 보급하여 농업경쟁력 방안을 제시
2008.06.02.
-
출처
인터넷과 내 머리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