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질문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하는 일
비공개
조회수 7,714
작성일2016.10.11
농업에 관심이 많아서 질문 드립니다.
1.현재 농림축산부의 주요 정책은 뭔가요
2. 현재 가장 신경쓰고 있는 부분은 뭔가요?
3. FTA에 대한 농업인의 피해를 막을 정책에는 무엇이 있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번째 답변
안녕하세요. 농림축산식품부입니다.
먼저 우리 부에 관심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1. 농림축산식품부는 2016년 정책 방향에 따라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6년 정책 방향>
- 농산물 생산, 가공, 유통, 관광을 연계한 지역단위 6차산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농촌경제를 활성화하고 수출도 확대하겠습니다.
·농산물 생산 (스마트팜 확산, 공동경영체 확대)
·제조/가공 (농가단위 제조/가공 활성화, 지역단위 식품산업 육성)
·유통/수출 (로컬푸드, 직거래 등 新유통망 확충, 전략품목 수출 확대
·농촌관광 (관광상품 확대, 접근성/서비스 개선)
2. 때문에 올해는 아래 업무 계획에 따라 주요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16년 업무 계획>
① (농산물 생산 첨단화·전문화) 전략품목 중심으로 ‘17년까지 스마트팜 4천ha(현대화 온실의 40%)를 보급하고, 쌀 들녘경영체 확대(224개소→250) 및 밭작물 공동경영체 신규육성(15개소)을 통해 품질제고 및 자율적 수급조절 체계 구축
② (제조·가공 및 식품산업 활성화)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6차산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창업 및 디자인·판로·자금 등을 지원하고, 식품·외식업체 등의 국산 농산물 사용을 확대(‘12:30%→’17:35)
③ (유통효율화 및 수출 확대) 로컬푸드 직매장(103개소→140), 포스몰·공영홈쇼핑 등 직거래 확대 및 농식품 유통산업을 육성하고,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대중국 김치수출 확대를 위한 유통기한 연장기술 개발 및 통관기간 단축, 한류마케팅 등 추진
④ (내외국인 농촌관광 활성화) 2016~2018 한국방문의 해와 연계, 온라인예약시스템(airBNB 등) 구축,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중화권 언론 집중 홍보 등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고,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촌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연계교통 프로그램 등 접근성 제고를 통해 내국인 농촌관광객도 더욱 확대
3. FTA로 국내 농산물보다 가격이 저렴한 농산물이 수입되어 농업인들에게 직·간접적인 피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 하고, 국내 농업 경쟁력을 높이고자 농림축산식품부는 FTA 체결 시 국내보완대책을 세워 농업인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수입증가로 인한 가격하락 등 직접 피해를 보전하기 위해 피해보전직불제, 폐업지원제를 운영하고 있고, 축산, 과수, 원예 등 품목별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축사시설현대화, 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 밭식량작물산업육성 사업 등 외에도 농업인들의 근본적 체질개선을 위한 농업농촌교육훈련, 기술사업화지원, 수출인프라강화 사업 등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http://www.mafra.go.kr/main.jsp)를 한번 방문해 보세요. 농식품부의 비전 및 농정과제, 분야별 정책, 정책자료 등을 보실 수 있답니다.
그럼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리며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고맙습니다.
2016.10.1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내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엑스퍼트 추천 상품
대학교/대학원학습 관련 전문가와 1:1 상담을 하고 싶다면?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