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건강보험료가 온라인 신고 시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이 없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근무하는 회사의 인적사항을 확인한다.
- 해당 회사가 건강보험료를 부담하는 경우, 건강보험료의 공제 항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해당 회사가 건강보험료 부담 의무가 없는 경우, 건강보험료 공제 항목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한다.
- 건강보험료가 0원으로 나와 공제 항목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공단과 협력기관을 통해 해당 사항을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 시 “별도신고”를 선택한다.
- “별도신고”를 선택하여 건강보험료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서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건강보험료를 직접 입력하여 공제 항목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2023.05.1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질문]
종합소득세-건강보험료가 안나와요
종합소득세 간편장부대상-기준경비율 대상자인데
간편장부대상-간편장부를 클릭해서 혼자 해 보고 있어요. 교습소 매출 3200만원이구요.
홈택스에서 my홈택스 선택해서 소특.세액공제자료를 출력해 보니
지역가입자인데 건강보험에 0원이 나와요. 국민연금은 제대로 금액이 나오구요.
건강보험홈페이지 들어가서 2022년 종합소득세용 납부금액을 확인하면 1년치가 나오구요.
그래서, 종합소득세 온라인 신고중에 건강보험료를 입력해서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이 안나오는데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답변]
근무하는 회사의 인적사항을 확인하고,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 시 “별도신고”를 선택하고 직접 입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에 어려움이 있으신 분이라면 아래 내용도 읽어보세요.
우리나라 국민 모두는 소득을 받으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직장을 다니는 사람도, 아르바이트하는 사람도, 사업을 하는 사람도 모두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특히 요즘 직장을 다니면서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로 추가 수입을 얻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렇게 수입을 받으면 3.3%의 세금을 내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급여에서 받는 3.3%의 세금은 내 소득에 비해서 많았을 수도 있고 적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정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직장인은 연말정산으로 소득신고를 하는 반면, 개인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혼자서 하기 막막할 때가 있고, 왠지 어려워 보입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해 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서비스 안내]
답변 창에서 다 말씀드리긴 어려워서 아래 손쉬운 종합소득세 대행경로 안내드립니다.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