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학과 궁금증 답변 센터 링크(URL) : https://open.kakao.com/o/sPfjGg4
안녕하세요.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 재학생입니다.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는 장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공연 기획을 하고
* 예술경영과 공연기획의 차이는 예술경영은 예술이라는 경영(이론)과
모든 예술 분야(미술, 뮤지컬 등등)를 모두 접목시키는 것이고
공연기획은 공연이라는 장르 하나만 다루는 것입니다.
* 지금부터 입시를 준비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저희 이벤트연출과는 내신 100%입니다.
* 음악을 한 것이 어느 정도 장점은 됩니다.
* 예술경영과 피아노 쪽은 전망이 꽤 어렵습니다.
수시 정보, 학과 분위기, 이벤트연출과 취업률 등
이벤트연출과가 궁금하시다면, rosta2 로 자세한 1:1 카톡 상담이 가능합니다.
언제든 편하게 카톡 주세요 ^^
대한민국 최초(98년 설립), 최고(4학년 학사학위수여), 최대(2,000명 졸업생 배출)의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에서 공연기획자의 꿈을 이뤄보세요.
1.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에서 배우는 공연관련 교과목들입니다.
공연이벤트실무, 공연이벤트장비실습, 문화공연제작실습, 대중예술론, 문화공연홍보실습, 소비자관객심리의 이해, 크리에이티브발상실습, 창의융합설계(2학년/ 공연기획, 연출, 운영등 실습), 캡스톤디자인(3학년/ 공연기획, 연출, 운영 등 실습), 레크레이션이벤트실습 등
보면 아시겠지만, 이벤트연출과 전공수업 중 6,70%가 공연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2. 이 밖의 교과목들로는
이벤트산업의 이해, 이벤트문서작성실습, 파티웨딩이벤트실습, 이벤트디자인실습, 문화관광축제의 이해, 이벤트비즈니스경영, MICE산업의 이해 등
사실 이 교과목들도 공연분야에 충분히 접목되는 과목들입니다.
3.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는 교육부 인정 4학년 학사학위 과정을 운영합니다.
모든 신입생은 일단 3년제 이벤트연출과로 입학을 합니다. 3년을 마치고 졸업을 함과 동시에 4학년 학사학위 과정에 들어가면, 1년 후 4학년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졸업생중 다수가 대학원에 진학했으며 (성균관대 대학원, 국민대 대학원, 세종대 대학원 등), 보다 양질의 취업이 보장됩니다. (FM커뮤니케이션, GM컴, 메가커뮤니케이션, 평창올림픽조직위 등)
4. 3학년 졸업생의 취업률은 약 80%입니다.
3학년을 마치고도 물론, 다양한 업종으로 취업을 할 수 있습니다. 공연, 이벤트, 축제, 전시 등 20년간 2,000명에 달하는 졸업생을 배출했기 때문에 대한민국 최고의 엄청난 규모의 인적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운영중인 한국영상대학교 이벤트연출과만의 차별화된 프로그램>
-4학년 학사학위제도 운영(대학원 진학 가능, 4년제 대학 졸업생과 동등한 취업기회제공)
-자격증 취득과정 운영/ 지원(행사기획자, 컨벤션기획사, 레크레이션지도자, 웃음치료사)
-해외인턴십과정 운영(캐나다 뱅쿠버에서 1학기 실습)
-미국 뉴욕시립대(CUNY)와 3+1 공동학위제도 운영
-영국 솔렌트대학 이벤트매니지먼트학과와 3+1제도 운영
-3학년 현장실습제도 운영 : 가족회사에서 한한기동안 인턴십
-여름방학 현장실습제도 운영 : 에버랜드, 서울랜드, 키자니아 등에서 방학중 실습
-백제문화제 공동프로젝트 : 국내 대표축제인 백제문화제 공동 기획, 운영
-세종축제 공동프로젝트 : 세종시 축제의 공동 기획, 운영
-전공창업동아리 운영: 1개 동아리당 연 300만원지원
-공연기획동아리, 공모전동아리, 홍보동아리, 파티동아리 등 전공동아리 7개 운영
감사합니다.
2019.05.0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예술경영 이라는 것은 큰 틀에서 영화, 방송,
인터넷, 음악, 미디어, 출판, 연극, 무용, 게임,
카지노, 공연예술, 스포츠 등을 포함합니다.
예술경영이 큰 틀에서 공연도 다루고 있으며
공연기획은 예술경영의 한 부분인 셈입니다.
차이라기보다는 섹터와 범주의 개념입니다.
입시는 고3때에도 많이 시작하고 심지어 2~3
개월 준비하고 합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등급대와 작문실기 베이스가 영향을 끼칩니다.
예술경영과는 특히 무용, 음악 관련한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한예종은 거문고와 무용 등을
일반에 접근성을 높여 보급하는 기획안에 대해
자주 출제되기도합니다.
영상 플랫폼과 더불어 공연예술도 osmu의
영향력이 커지고있어서 예술경영 기획자들의
가치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주요대학은 한예종, 중앙대, 서울예대 등이며
실기대학과 비실기 대학으로 나뉩니다. 연출과
안에 기획전공으로 포함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연기획/ 예술경영/ 문콘/ 엔터경영/ 연출】
한예종 예술경영전공(실기)
서울예대 예술경영과(실기)
백석예대 공연기획전공(실기)
명지대 공연전공 프로듀서(실기)
중앙대 연극학과 기획전공 (실기)
한양대 연극학과 연출전공 (실기)
성균관대 연기예술 연출전공 (실기)
건국대학교 문화컨텐츠학과
서울여대 콘텐츠디자인학과
성신여대 문화예술경영학과
추계예대 영상비지니스학과
경기대 관광이벤트학과
한국영상대 이벤트연출과
국제대학교 연예기획홍보전공
광운대학교(본교) 문화교류전공
대경대학교 연예엔터테인먼트과
국제예대 공연예술제작 기획전공
호원대학교 공연미디어 기획연출
호서대학교(아산) 문화기획트랙
호서대학교(아산) 문화콘텐츠트랙
백제예술대학교 연예매니지먼트과
서경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부
인하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부
아주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과
용인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과
청주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과
상지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과
선문대학교(아산) 문화콘텐츠학과
전남대학교(여수) 문화콘텐츠학부
경남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부
고려대학교(세종) 문화콘텐츠학과
상명대학교(본교) 역사콘텐츠학과
건국대학교(글로컬) 문화콘텐츠학부
한양대학교(ERICA) 문화콘텐츠학과
가톨릭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전공
청운대학교(본교) 공연기획경영학과
상명대학교(천안) 문화예술경영학과
동신대학교(본교) 공연전시기획학과
배재대학교(본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강남대학교(본교) 한영문화콘텐츠학과
대진대학교(본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광운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개발전공
전주대학교(본교) 역사문화콘텐츠전공
동명대학교(본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엔터테인먼트경영과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연예매니지먼트학과
중부대학교(충남) 엔터테인먼트경영학과
수원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테크놀러지
한국외국어대학교(본교) 지식콘텐츠학부
카톨릭관동대학교(본교) 콘텐츠제작전공
대전대학교(본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전공
경남과학기술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학부
인하대학교(본교)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인천카톨릭대학교(본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부산외국어대학교(본교) 영상콘텐츠융합학과
【공연기획과+연출+예술경영과 진로】
축제기획자
공연연출가
밴드운영과 기획
기획서 작성실무
공연홍보와 마케팅
기업마케팅전문가
뮤지컬기획제작자
K-POP콘서트기획자
공연홍보마케팅담당자
공연축제와 이벤트 기획
관객서비스와 티켓 매니지먼트
공연기획-예술경영과는 인서울 주요대학들이
대학보다는 대학원에 개설을 합니다. 중앙대가
국내에서는 가장 먼저 예술경영과를 만듭니다.
몇 해전에 대학에 개설된 것을 연출 쪽과
통폐합 시키기도 했습니다. 다만 올해부터는
실기를 연출안/기획안 중에 택1해서 봅니다.
실질적으로 전공심화를 운영하게 됩니다.
중앙대-한예종은 음악학과에도 예경전공이
따로 있긴합니다. 예술경영전공 이라는 것이
그만큼 광범위한 섹터를 다룹니다.
어찌됐든 주요대학들은 예술경영 전공을
보통 대학원에 두고, 대학에서는 연출과 안에
기획전공으로만 두는 경우가 많은 겁니다.
이 때문에 기획전공도 연출전공 실기와
병행해서 준비하는 수험생이 많습니다.
스토리구성, 글쓰기, 작문은 전공 불문하고
동일한 형태의 실기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실기난이도는 기획전공이 가장 높습니다.
완전히 분리해서 대학에 개설된 실기학과
중에서는 한예종-서울예대가 좋습니다.
두 곳 중에서는 굳이 우열을 가릴필요가
없습니다. 둘다 좋은 곳입니다. 주요대학은
연출과와 통폐합시키는 추세입니다.
둘 다 입학이 매우 어렵고 한예종은 문체부
산하의 국립, 서울예대는 교육부 산하의
사립전문대이기때문에 중복지원 가능합니다.
둘 다 지원하고 합격하는 곳으로 간다는
생각으로 준비를 하는 게 현실적입니다.
실기난이도를 보고 판단을 해도 될겁니다.
『서울예대 예술경영과 등급컷』
『서울예대 예술경영과 반영과목』
『서울예대 예술경영과 경쟁률』
『서울예대 예술경영과 실기』
최저 5.8입니다. 예술경영과는 서울예대
학과중 평균등급이 가장 높은 학과중
하나입니다만,
서울예대 자체가 실기대학이라 실기비율이
절대적입니다. 실기대비 잘 하면 충분하니
국영 두 과목 준비 잘 하면 됩니다.
성균관대나 중앙대 등은 연출실기를
통해 공통으로 입학한 후에 기획전공을
수강신청으로 배우기도 합니다.
↑ 중앙대 연극과 기획전공 실기
↑ 백석예대 공연기획과 실기
↑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 연출전공 실기
↑ 한예종 연극원 연극학과 예술경영전공
예술경영은 예술의 광범위한 영역을
다룹니다. 연출, 편집, 촬영, 음향, 기획,
프로듀싱, 큐레이팅, 전시, 디자인, 국악,
무용, 사진, 비디오아트, 전통예술 등등.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넷플릭스,
왓챠, 네이버, 구글, CJ E&M 등등 미디어
트렌드는 기본으로 익혀야합니다.
【예술경영과 진로】
●국내영화 배급사 순위
1.롯데엔터테인먼트(11.4%)
2.쇼박스(10.7%)
3.UPI코리아(9.0%)
4.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9.1%)
5.메가박스플러스엠(7.6%)
6.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7.0%)
7.워너브러더스코리아(6.7%)
8.20세기폭스코리아(6.4%)
●영화사 & 배급사
튜브
프라임
스폰지
청어람
쇼이스트
싸이더스
MK픽쳐스
미로비젼
누리픽쳐스
코리아픽쳐스
시네마서비스
아미가스필름
CJ엔터테인먼트
세종커뮤니케이션
태원엔터테인먼트
코리아 엔터테인먼트
아이비젼엔터테인먼트
쇼박스(주)미디어플렉스
롯데쇼핑(주)롯데엔터테인먼트
●기획사
로엔 엔터테인먼트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FNC엔터테인먼트
팬 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웰메이드예당
아이오케이컴퍼니
키이스트 엔터테인먼트
sm c&c
iHQ(싸이더스HQ)
판타지오
●외화수입 영화사
UIP코리아
소니픽쳐스
월트디즈니코리아
이십세기폭스코리아
워너브라더스코리아
브에나비스타 코리아
●해외 영화사(애니)
소니 픽처스
유니버설 픽처스
월트디즈니 픽처스
드림웍스 스튜디오
블루스카이 스튜디오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해외 영화사
MGM
쇼박스
드림웍스
콜럼비아
파라마운트
워너브라더스
뉴라인시네마
터치스톤 픽쳐스
유니버셜 스튜디오
다크캐슬 엔터테인먼트
월트디즈니 픽쳐스(픽사+마블+폭스+루카스)
●공연 제작사
파파프로덕션 <라이어>
EMK & 해피프로덕션 <라이어>
빅타임프로덕션 <생쥐와인간>
아시아브릿지콘텐츠 <김수로 프로젝트>
삼형제엔터테인먼트 <죽여주는 이야기>
제스로 컴튼 프로덕션 <프론티어 트릴로지>
파마프로덕션 <미라클>
광기프로덕션 <The Lover>
장스프로덕션 <친정 엄마>
네오프로덕션 <트레인스포팅>
블루바이시클프로덕션 <5필리어>
휴콘프로덕션 <연애플레이리스트>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
*IHQ
*제이콘텐트리
*CJ E&M
*스튜디오드래곤
문화창고
케이피제이
화앤담픽쳐스
제작/유통/배급/플랫폼 기업들의 주요
영역입니다. 트렌드를 분석하고 공연을
기획하는 실제적 아이디어도 중요합니다.
구매와 구독의 전환점이기도 하고,
OTT 및 VOD 시스템 등등의 진보로
미래가치가 매우 큰 영역입니다.
『예술경영 & 엔터테인먼트 진로』
위의 엔터테인 영역 전반을 다루는 겁니다.
입시는 수험생들의 한계영역을 고려해서
미디어에 다소 치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화, 방송 영역을 기본으로 해서 확장성
있게 실기를 준비하면 됩니다. 미디어아트나
국악, 건축, 미술 등등도 자주 출제되는
영역입니다. OSMU와 융합을 포함입니다.
사진, 뮤지컬, 연극, 음악, 전통예술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해서 기획하고 마케팅
작업을 하는 영역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참고서적】
예술경영과 실기를 예술학으로만 봐서도
실기에서 고전하고, 경영학으로만 봐서도
어렵습니다.
밸런스를 얼마나 잘 갖췄고, 기획력이 얼마나
있는지를 보려는 실기시험 입니다. 국내의
예술계 인프라에 맞게 판단해야 합니다.
『 기획안 예시 및 자소서 참고』
포부는 얼마나 크고 정확한 그림을 그리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자소서, 스토리구성,
작문 실기준비는 철저히 해둬야합니다.
참고해서 실기대비 잘 하면 좋은결과
있으실거예요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서울예대-한예종 입시정보를 포함,
예술경영과, 공연기획과, 연출과 대학별
역대 실기 기출문제와 합격작 풀이해설은
네임카드 출처주소에 정리해뒀으니
필요하면 난이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lordby
2019.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