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관련 문제 하나만 풀어주세요!!
비공개 조회수 379 작성일2024.03.29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의의에 대해 잘못 설명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가. 인구학적 기준을 폐지하였다. 
나. 근로능력자도 소득인정액에 따라 생계급여를 받을수 있다. 
다. 시혜적, 자선적 보호에서 권리로 바뀌었다. 
라. 저소득층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였다. 
마. 생산적인 복지를 실현한다. 바. 도덕적 해이 현상이 증가하였다.

① 가,나,다,라,마,바
② 가,나,다,라,마
③ 가,다,라,마
④ 가,다,라,마,바


이문제의 답안은 2번이라고 나와있는데요.

잘못설명된것을 모두고르는 문제인데 저 문제의 답이 왜
2번이 되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사회복지사
수호신
2023 사회, 정치 분야 지식인 사회복지직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국민기초생활보장 2위, 아동, 청소년 복지 1위, 장애인복지 3위 분야에서 활동

제가 봐도 문제가 이상하네요.

제가 봤을 땐 틀린 지문은 가와 바입니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은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인구학적기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근로능력자에 대해서 조건을 부과하여 자활사업으로 유도함으로서 도덕적해이현상은 줄어들었다고 보는게 일반적이지요.

근로능력자라도 소득인정액에 따라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조건부과유예나 조건제시유예를 받으면 가능하기 때문에 옳은 지문이고..

시혜적, 자선적에서 권리성을 가지게 된 것이 과거 생활보호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주요한 차이점이니 옳은 지문이고..

권리성이 생기면서 당연히 사회와 국가의 책임을 명시하게 되니 옳은 지문이고..

생산적복지의 실현이.. 자활급여와 조건제시부분이니 옳은지문이 되겠지요.

문제의 출제시기를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시기인 199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당시의 기준으로 생각을 해보더라도 도저히 2번이 정답으로 나오진 않아 보이네요.

2024.04.0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