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퇴사하려하는데 이직하게되면 피부양자 자격득실 상실 연락이 올텐데 국민보험공단에 연락해보니 회사에서 아직 4대보험가입이 안되었다고 하네요 담주월요일부터 다른직장으로옮기는데 자격득실상실 알림이라던지 우편물이 오게될 가능성이 있나요?못오게 하는방법이 없을까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남편 몰래 이직하신 거 정말 힘드셨겠어요. 퇴사 후 피부양자 자격 상실 알림이 올지 걱정되시죠?
국민보험공단에 확인해 보니 아직 4대보험 가입이 안 되었다고 하셨으니, 아마 자격 상실 알림은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다른 직장으로 옮기기 전에 미리 확인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2025.01.22.
현재 상황에서는 남편분께 자격득실 확인서가 발송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이유:
* 4대 보험 미가입: 회사에서 4대 보험 가입 신고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이직 정보가 전달되지 않았습니다.
* 피부양자 자격 상실: 피부양자 자격 상실은 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시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아직 직장가입자 자격이 없는 상태에서는 피부양자 자격 상실 통보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주의할 점:
* 추후 4대 보험 가입: 만약 이전 회사에서 4대 보험 가입 신고를 뒤늦게 하거나, 새로운 직장에서 4대 보험 가입 절차가 진행될 경우, 자격득실 확인서가 발송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료 납부: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지만, 직장가입자 자격을 얻게 되면 건강보험료 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이 경우 납부 정보가 남편분께 전달될 수 있습니다.
대처 방안:
* 이전 회사 확인: 이전 회사에 연락하여 4대 보험 가입 신고 여부를 확인하고, 미가입 상태임을 재차 확인합니다.
* 새로운 직장과 협의: 새로운 직장에 상황을 설명하고, 4대 보험 가입 시기를 조절하거나, 건강보험료 납부 방법을 협의하여 남편분께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습니다.
참고:
* 4대 보험 가입 신고는 사업장의 의무이지만, 근로자가 직접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모든 상황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는 없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다시 문의해 주세요.
✔변동되는 내 보험료 계산해보기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
✔분할납부 신청 / / 건보료 인하 신청 등
다양한 건겅보험 관련 정보를 아래에서 만나보세요!!
2024.08.08.
안녕하세요.
국민건강보험공단입니다.
일반적인 답변 드리겠습니다.
퇴사하여 직장가입자 상실 후, 지역 건강보험으로 변동 될 경우에는
자격 변동 안내문이 발송 되고 지역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참고] 네이버앱 설치 후 네이버ID 로그인이 되어 있을 경우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도 실명의 네이버 ID가 있다면
공공기관이 발송하는 각종 통지서·안내문을 네이버 앱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답변은 답변 당시의 상황에 따른 것으로 법령 개정,
개인의 구체적인 사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상담은 공단 홈페이지 개인별 맞춤 상담을 이용하시거나(공동 인증서 로그인)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또는 고객센터(☎1577-1000)을 통하여 상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8.13.
[질문]
남편몰래이직 이번7월1일 에 입사했는데 한달 적응해보니 정신과치료받을 정도로 너무힘들어서
퇴사하려하는데 이직하게되면 피부양자 자격득실 상실 연락이 올텐데 국민보험공단에 연락해보니 회사에서 아직 4대보험가입이 안되었다고 하네요 담주월요일부터 다른직장으로옮기는데 자격득실상실 알림이라던지 우편물이 오게될 가능성이 있나요?못오게 하는방법이 없을까요
[답변]
이직 후 피부양자 자격 상실에 대한 우편물 수신 여부는 복잡합니다. 현재 직장에서 4대 보험 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퇴사 후에도 피부양자 자격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직장에서 4대 보험에 가입하면 자격 상실 통지가 올 수 있습니다. 우편물 수신을 방지하는 방법은 명확하지 않지만, 현재 상황에 따라 통지가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거나 법률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더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다면 아래 내용
참고하시면 분명 도움되실거에요:)
2024.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