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06년식 액티언입니다 디젤차량이구요
어느순간부터 갑자기 검은매연이 나오기 시작하네요
처음 출발 전에 rpm상승으로 매연을 빼고 출발해서 며칠 괜찮았는데 이젠
정차시 rpm상승으로 매연을 빼려해도 나오지 않는데 출발 할 때 검은매연이 확 쏟아져나옵니다
흡기클리닝이나 인젝터클리닝을 해아할까요? 쌍용 직영 서비스센터에 가보니 여러가지 복합문제라고
자동차검사 전에 찾아오면 매연을 빼서 합격시켜주겠다고하는데 이 상황에 회피하는 듯한 반응이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엔진을 갈아버리기엔 비용이 어마어마하고 고민입니다.
해결책좀 알려주세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어느날부터 발생한 매연
그동안 엔진오일은 무엇을 사용했습니까?
엔진오일 교환 주기는 몇킬로마다 교환했습니까?
평소 주행지역은 어디인가요?
평소 운행속도는 얼마나 됩니까?
이런 내용에 대하여 모르는 경우 드릴 수 있는 답변은
스캐너를 이용해 진단하는 것을 추천하는데
정비사들이 스캐너에서 보여주는 데이터를 분석할 능력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찾아갔던 직영센터 역시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비할 능력이 없는 분들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이 같은 실력을 가진 분들로 판단되어
추측정비를 하게 되지요.
추측이란 다름아닌 이지알을 갈아볼까? 흡기크리닝을 해 볼까?
인젝터 청소를 해 볼까? 그외 머플러를 털어내볼까?
대부분의 정비사들의 정비사들의 정비방법이 이런식입니다.
이제는 이런 방법으로 정비한다 하면 그곳을 나오셔야 합니다.
어렵더라도 여러곳을 전전하면서 찾아야 합니다.
스캐너를 걸고 여러가지 데이터 중에서 어떤 문제가 있어서
매연을 뿜어내는가를 찾는 능력자 정비사를 찾는 것이 가장 빠르게
정확히 저비용으로 정비하는 방법입니다.
지금 매연정비를 위해 스캐너에서 주목할 항목을 몇가지 안내해 드리겠으니
참조하여 정비사들이 진단할 때 어떤 항목을 가지고 매연이 나온다고 하는지
관찰해 보기 바랍니다.
1. 엑셀포지션센서
2. 레일압력
3. 냉각수온도센서
4. 인젝터 분사시기
5. 인젝터 분사량
6. 엔진토크제어량
7. 인젝터 구동전압
8. 공기량센서
9. 부스터압력센서
10.알피엠입니다.
위와같이 나열해 드린 10가지 항목을 가지면 질문자님의 자동차에서 매연이 어느 항목의 잘못에 의해 발생하는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답변을 읽으면서 주의할 것은 나열된 항목에는 여러 센서가 있으니 혹시 나열한 것을 교환하면 되는 것으로 오판하지 않기 바랍니다. 즉 센서 불량으로 매연이 나오는 일은 지극히 드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센서의 불량에 의한 매연이 아니라 데이터값을 보고 데이터값이 정상이 아닌 센서값을 발견하면 무엇 때문에 데이터가 변했는가를 찾는 것이 데이터값을 볼 수 있는 정비사는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정비사에게 나열한 센서들 교환하면 매연 없어지냐는 말을 해서는 않된다는 것입니다. 오직 나열된 항목 중에서 매연을 배출할 원인이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정비사를 만나는 것이 가장 정확히 정비하는 방법이라는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답변이 길더라도 잘 숙지하셔서 매연정비의 진수가 무엇인가 꼭 경험하기 바랍니다.
2014.07.21.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중고차 제휴점 엄과장입니다.
우선 질문자님의 차량과 같은 증상으로 많이 고생한 1인입니다. 흡기 클리닝하시면 많이 좋아지십니다.
인젝터까지는 안해도 됩니다. 쌍용 서비스에서는 비싸기만한고 아시는 동네 카센타에서 하시길 권합니다.
흡기 클리닝하시고 흡기안에 터보차져에 바람들어가는곳을 막는 방법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비용은 20만
안밖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알피엠 높이신다고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뜯어보면 안에 기름때같은게 진득히
붙어 있을 겁니다. 클리닝이 제일 싸고 확실 합니다.
질문에 유용한 답변이 됐으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2014.07.17.
디젤차량 흑연매연은 불완전연소에 의한 매연 입니다.
즉 공기량보다 연료량이 많다는 것인데 커먼레일 시스템의 특성을 정확히 알아야 원인을 해결할수가 있습니다.
흡기계통 카본 누적에의한 공기량부족.
EGR계통 이상.
인젝터 이상.
터보차져계통등 원인은 다양 합니다.
이중 흡기계통 및 인젝터 계통의 원인이 가능성이 높습니다.
흡기계통 크리닝과 인젝터 파워발란스 조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201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