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채용건강검진은 기업이 신규 채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검진으로,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업무 적합성을 평가하고, 직업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됩니다.
채용건강검진의 검사 항목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기업의 규모, 사업장 특성, 채용 직종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용건강검진에는 다음과 같은 검사 항목이 포함됩니다.
* **신체계측** : 신장, 체중, 허리둘레, 혈압, 체지방률 등을 측정합니다.
* **혈액검사** : 혈액형, 빈혈, 당뇨, 간 기능, 신장 기능, 콜레스테롤, 혈액암 등을 검사합니다.
* **소변검사** : 당뇨, 단백뇨, 혈뇨 등을 검사합니다.
* **흉부 X-선 촬영** : 폐렴, 결핵, 흉부 질환 등을 검사합니다.
* **색신검사** : 색각 이상 여부를 검사합니다.
* **시력검사** : 시력, 시야, 난시 등을 검사합니다.
* **청력검사** : 청력, 난청 등을 검사합니다.
이외에도 치과검진, 정신건강검사, 심전도 검사 등이 추가로 실시될 수 있습니다.
채용건강검진을 받으실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 : 혈액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특이 사항은 의료진에게 알리기** : 만약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질환이나 기저 질환이 있다면, 검사 전 의료진에게 알리시기 바랍니다.
채용건강검진 결과는 기업에서 채용 결정에 참고하는 자료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채용건강검진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 채용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3.12.2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